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Jay E. Adams와 Gary R. Collins의 기독교 상담이론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n Christian Counseling between Jay E. Adams and Gary R. Colli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558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makes people confused about their values, and science and material civilization make people isolated, depressed, and deeply discouraged. They do not know where to go, do not have stability, and are suffering from inner...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makes people confused about their values, and science and material civilization make people isolated, depressed, and deeply discouraged. They do not know where to go, do not have stability, and are suffering from inner conflicts.
      Christian counseling can help church to save people from anxious and conflicts because it has answers for those questions. It also give church vitality as a method of changing people's relationships. It will help church to be a good community where God's love can be experienced by restoration the power of love. Not only in church but also in society, christian counseling can help people to have abundant life by making them have deep relationships.
      Therefore, a counselor's understanding and concept of people according to theological view is important. Also, a counselor's theoretical background is a basic premise for solving counselee's problems.
      With these reasons, the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Jay E. Adams' and Gary R. Collins' counseling theories, they are leading figures in Christian counseling, counseling and tried to find ideological background and difference and similarities of their theories. This procedure helped the researcher to have bigger insight and sills as a Christian counselor.
      More way to go left as a professional Christian counselor, but I want to provide counseling based on the Bible, and with enthusiasm and frontier spir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 1
      • B.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 3
      • Ⅱ. 제이 아담스의 상담이론 분석 = 4
      • A. 제이 아담스의 사상적 배경 = 4
      • Ⅰ. 서론 = 1
      •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 1
      • B.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 3
      • Ⅱ. 제이 아담스의 상담이론 분석 = 4
      • A. 제이 아담스의 사상적 배경 = 4
      • 1. 아담스의 생애 = 4
      • 2. 심리학에 대한 아담스의 견해 = 5
      • 3. 인간에 대한 아담스의 신학적 이해 = 6
      • B. 제이 아담스의 상담이론 고찰 = 8
      • 1. 개념의 정의 = 8
      • 2. 상담의 요소 = 9
      • 3. 상담의 목적 = 11
      • 4. 문제 해결의 과정과 원리 = 12
      • C. 제이 아담스의 상담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 15
      • 1. 상담의 접근방법과 비판 = 15
      • 2. 기독교와 심리학의 관계적 차원과 비판 = 16
      • Ⅲ. 게리 콜린스의 상담이론 분석 = 18
      • A. 게리 콜린스의 사상적 배경 = 18
      • 1. 콜린스의 생애 = 18
      • 2. 심리학에 대한 콜린스의 견해 = 19
      • 3. 인간에 대한 콜린스의 신학적 이해 = 20
      • B. 게리 콜린스의 상담이론의 고찰 = 25
      • 1. 개념의 정의 = 25
      • 2. 상담의 요소(원리) = 26
      • 3. 상담의 목적 = 31
      • 4. 문제해결의 과정과 원리 = 33
      • C. 게리 콜린스의 상담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 34
      • 1. 상담의 접근방법과 비판 = 34
      • 2. 기독교와 심리학의 관계적 차원과 비판 = 35
      • Ⅳ. 제이 아담스와 게리 콜린스의 상담이론 비교 = 37
      • A. 인간이해에 대한 비교 = 37
      • 1. 아담스의 견해 = 37
      • 2. 콜린스의 견해 = 38
      • B. 심리학에 대한 관점의 비교 = 39
      • 1. 아담스의 관점 = 39
      • 2. 콜린스의 관점 = 41
      • C. 상담유형과 방법에 관한 비교 = 43
      • 1. 아담스의 상담유형과 방법 = 43
      • 2. 콜린스의 상담유형과 방법 = 45
      • D. 아담스의 공헌과 한계점 = 46
      • 1. 공헌 = 46
      • 2. 한계점 = 47
      • E. 콜린스의 공헌과 한계점 = 49
      • 1. 공헌 = 49
      • 2. 한계점 = 50
      • Ⅴ. 결론 = 52
      • 참고문헌 = 55
      • ABSTRACT =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