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탄올 농도에 따른 벌개미취 추출물의 페놀성분 및 항산화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54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ter koraiensis Nakai (A. koraiensis) which has been used as a food and medicinal plant in the past, is valuable as functional food material.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properties and major phenolics of A. korai...

      Aster koraiensis Nakai (A. koraiensis) which has been used as a food and medicinal plant in the past, is valuable as functional food material.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properties and major phenolics of A. koraiensis extracts with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0, 50, 70, and 100% aqueous ethanol solution). When ethanol concentration in the extraction solvent was increased, extraction yield decreased; 34.2, 23.2, 21.0, and 5.5% in 0, 50, 70, and 100% ethanolic extracts, respectively. Total phenolic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were increased in an ethanol concentration-dependant manner. The major phenolics in the extracts were chlorogenic acid (21.264~58.666 mg/g), isochlorogenic acid A (10.432~145.353 mg/g), and isochlorogenic acid C(0.239~13.148 mg/g), and these phenolic contents were higher in 70 and 100% ethanolic extracts than other extract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ethanol concentration of extraction solvent, antioxidant properties, and major phenolic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al ethanol concentration for extraction was 70%.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 론
      • 재료 및 방법
      • 1. 재료
      • 2. 에탄올 농도별 벌개미취 추출물 제조
      • Abstract
      • 서 론
      • 재료 및 방법
      • 1. 재료
      • 2. 에탄올 농도별 벌개미취 추출물 제조
      • 3. 항산화 특성
      • 4. 페놀성 화합물 분석
      • 5. 통계분석
      • 결과 및 고찰
      • 1. 에탄올 농도에 따른 벌개미취 추출물의 추출수율 및항산화 특성
      • 2. 에탄올 농도에 따른 벌개미취 추출물의 주요 페놀성화합물 조성
      • 3.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와 항산화 특성 및 페놀성 화합물간의 상관성 분석
      • 요약 및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하규, "한국산 잡곡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99-1404, 2010

      2 이광재, "큰수리취 및 국화수리취 용매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893-1897, 2010

      3 김은미, "자생 엉겅퀴의 부위별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406-414, 2009

      4 박성진, "씀바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 (사)한국조리학회 20 (20): 133-142, 2014

      5 최향숙, "수확 시기에 따른 벌개미취 정유의 주요 화합물 함량 변화" 한국식품영양학회 27 (27): 194-202, 2014

      6 남효훈, "생육환경에 따른 한국특산식물 벌개미취의 광합성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9 (29): 393-399, 2016

      7 신언환, "벌개미취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74-79, 2014

      8 김정현, "벌개미취 에탄올추출물의 STZ-유도 당뇨 모델에서의 최종당화산물의생성 및 교차결합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약학회 47 (47): 312-318, 2016

      9 김라정, "국내산 품종별 쑥의 항산화 및 암세포성장 억제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2 (22): 844-851, 2012

      10 이태구, "국내산 벌개미취 잎 추출물의 α-glucosidase 억제능 및 항산화 활성 평가" 한국약용작물학회 26 (26): 382-390, 2018

      1 이하규, "한국산 잡곡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99-1404, 2010

      2 이광재, "큰수리취 및 국화수리취 용매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893-1897, 2010

      3 김은미, "자생 엉겅퀴의 부위별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406-414, 2009

      4 박성진, "씀바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 (사)한국조리학회 20 (20): 133-142, 2014

      5 최향숙, "수확 시기에 따른 벌개미취 정유의 주요 화합물 함량 변화" 한국식품영양학회 27 (27): 194-202, 2014

      6 남효훈, "생육환경에 따른 한국특산식물 벌개미취의 광합성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9 (29): 393-399, 2016

      7 신언환, "벌개미취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74-79, 2014

      8 김정현, "벌개미취 에탄올추출물의 STZ-유도 당뇨 모델에서의 최종당화산물의생성 및 교차결합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약학회 47 (47): 312-318, 2016

      9 김라정, "국내산 품종별 쑥의 항산화 및 암세포성장 억제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2 (22): 844-851, 2012

      10 이태구, "국내산 벌개미취 잎 추출물의 α-glucosidase 억제능 및 항산화 활성 평가" 한국약용작물학회 26 (26): 382-390, 2018

      11 김미정, "고들빼기의 성분분석과 항산화효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5 (25): 354-359, 2010

      12 Kim J, "The extract of Aster koraiensis prevents retinal pericyte apoptosis in diabetic rats and its active compound, chlorogenic acid inhibits AGE formation and AGE/RAGE interaction" 8 : 585-, 2016

      13 최향숙, "Terpenoid 분석을 통한 취나물류의 향기지표물질 비교" 한국식품영양학회 25 (25): 930-940, 2012

      14 Zhao DX, "Simultaneous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phenolic acids, pentapeptides, and triterpenoid saponins in the root of Aster tataricu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38 : 571-575, 2015

      15 Tepe B,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potentials of six Salvia species from Turkey" 95 : 200-204, 2006

      16 Hong SC, "In vivo anti-inflammation potential of Aster koraiensis extract for dry eye syndrome by the protection of ocular surface" 12 : 3245-, 2020

      17 Re R. Pellegrini N,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18 Balamurugan R, "Anti-nosemosis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derived from Artemisia dubia and Aster scaber" 1-11,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