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관해된 정신분열병과 양극성장애 환자의 언어성 기억 및 학습 기능 비교 = Contrasts between Remitted Schizophrenic Patients and Euthymic Bipolar Patients on Verbal Memory and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24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관해 상태에 있는 정신분열병과 양극성장애 환자의 언어성 기억 및 학습 기능을 평가하고 이를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기억 요소의 질환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실시하...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관해 상태에 있는 정신분열병과 양극성장애 환자의 언어성 기억 및 학습 기능을 평가하고 이를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기억 요소의 질환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방 법 :
      관해상태의 정신분열병 환자 30명과 양극성장애 환자 28명 및 정상대조군 72명을 대상으로 성, 연령, 교육연한, 발병연령, 잔여증상, 추체외로증상, 단순주의력 수준을 통제한 후 한글언어청각학습검사를 실시하여, 초과용량 즉각기억, 기억의 등록, 유지, 인출, 재인, 학습전략, 간섭효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한글언어청각학습검사 결과를 세 집단간 비교한 결과, 정신분열병은 전행성 간섭효과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저하된 기억 수행을 보였으며, 양극성장애에 비해서도 대부분의 회상 시도에서 유의한 저하를 보였다. 특징적으로 학습 전략 활용 능력이 저조하였다. 양극성장애는 대조군에비해 즉각기억, 재인,학습전략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반복에 따른 회상과 학습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정신분열병에 비해서는 전반적으로 비슷하거나 우월했지만, 간접자극 제시에 의한 회상 저하는 세 집단 중 가장 크게 나타났다.
      환자군에서 검사성적에 대한 임상적 특성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정신분열병에서는 BPRS의 무력증 소척도, 유병기간, 입원횟수 등이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극성장애에서는 우울삽화 횟수가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관해상태의 양극성장애와 정신분열병 모두에서 대조군과 구별되는 언어성 기억 및 학습 기능 저하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기억 및 학습 기능의 결함은 이들 두 장애의 고유한 질병 특성 표지자일 가능성이 높으며, 향후 이들 질환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치료적 접근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erbal memory and learning ability in remitted schizophrenic patients and euthymic bipolar patients in order to explore trait-dependent cognitive deficits of each disorder. Methods : Verbal memory was a...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erbal memory and learning ability in remitted schizophrenic patients and euthymic bipolar patients in order to explore trait-dependent cognitive deficits of each disorder.
      Methods : Verbal memory was assessed with KAVLT(the Korean version of Rey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in outpatients with remitted schizophrenia(N=30), euthmic bipolar disorder(N=28), and normal control(N=72), KAVLT is made for assessment of immediate supraspan memory, registration, retention, retrieval, recognition, learning strategy, and interference effect. Several confounding factors including age, sex, educational level, attention span, residual psychopathology, and extrapyramidal symptoms were controlled among 3 groups. Patient groups were matched according to the age of onset, duration of illness, and frequency of hospitalization.
      Results : 1) The performance of bipolar group generally fall between the performance of schizophrenia and normal controls, while being most impaired in retroactive interference. Schizophrenic group showed significant impairment on most variables of KAVLT in comparison with the groups of bipolar disorder and normal control. 2) Within group analysis revealed that residual negative symptoms, duration of illness, and number of admissio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impairment of verbal memory and learning in schizophrenics. Number of depressive episodes and ag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verbal memory and learning among bipolar disorder patients.
      Conclusions : Both remitted schizophrenia and euthymic bipolar patients showed distinctive impairment in verbal memory and learning compared with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ecific impairment of verbal memory and learning in remitted state can be trait-dependent marker in both diseases. These deficits can give clu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and searching for more appropriate therapeutic interventions of mental disorders to improve cognitive deficits in remitted pati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방 법
      • 1.연구대상
      • 2.연구도구
      • 3.통계분석
      • 서 론
      • 방 법
      • 1.연구대상
      • 2.연구도구
      • 3.통계분석
      • 결 과
      • 1.인구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
      • 2.언어성 기억 및 학습 기능
      • 3.임상적 특성과 기억 기능의 관계
      • 고 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