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홍상수 영화의 음악사용에 대한 일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333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홍상수의 등장은 한국영화계에 신선한 충격이었다. 연출, 연기, 미장센, 주제의식, 서사구조 등이 기존의 한국영화와는 판이하게 달랐다. 그는 지난 20여 년 동안 20작품 남짓 만들면서 명실...

      홍상수의 등장은 한국영화계에 신선한 충격이었다. 연출, 연기, 미장센, 주제의식, 서사구조 등이 기존의 한국영화와는 판이하게 달랐다. 그는 지난 20여 년 동안 20작품 남짓 만들면서 명실공이 해외에서 가장 인정받는 한국 감독이 되었다. 홍상수 작품을 연구하는 것은 영화학자나 비평가에게는 의무이자 시련이다. 담론의 홍수 속에서 새롭게 무엇인가를 이야기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홍상수 담론은 구조주의, 기호학, 정신분석, 서사학, 심리학, 미학 심지어 윤리학의 영역에 걸쳐 이미 많은 결과물을 내놓았다. 그렇기 때문에 새롭게 등장하는 글은 자칫하면 동어반복이 되거나 하나마나한 이야기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필자는 오랫동안 가져온 홍상수 영화에 대한 관심을 하나의 논문으로 내놓기 위해 그의 영화 세계를 관통하는 수많은 이론들을 피해 새로운 사선 하나를 그리려고 노력했다. 사선을 잇는 두 개의 점은 음악과 텍스트였다. 홍상수는 무림의 고수가 칼을 다루듯이 음악을 다룬다. 그는 감정이입 음악, 비감정이입 음악, 불협화음으로 인물의 심리를 반어적으로 표현하거나, 대위법을 통해 관객을 낯선 전경화의 세계로 이끈다. 홍상수가 사용하는 재료는 오리지널 스코어, 대중음악, 클래식, 자작곡 등 매우 다양하다. 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서 이미지와 서사 사이 이외에, 사운드와 서사, 사운드와 이미지 사이에서도 변증접적 몽타주가 가능하다는 것을 체감했다. 홍상수는 드라마투르기에만 새로운 언어를 도입한 것이 아니라 사운드의 활용 방면에서도 참신한 문법을 도입해 관객을 낯선 세계로 이끈다. 그러므로 홍상수 영화는 연구자를 위한 보고(寶庫)와 같다. 음악분석을 통해 살펴본 홍상수의 예술 세계가 필자에게는 무한한 굴곡을 가진 규정할 수 없는 다면체로 다가왔다. 음악이라는 단 하나의 단서로 그의 궤적을 온전히 추적하는 것은 요원한 일이지만 서사의 원칙이 사운드의 활용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은 이 지난했던 연구의 작은 소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ppearance of Hong Sang Soo was a fresh shock to the Korean film history. Directing, acting, mise-en-scene, theme, and narrative structure were different from existing Korean films. He has made more than 20 pieces over the last 20 years and became...

      The appearance of Hong Sang Soo was a fresh shock to the Korean film history. Directing, acting, mise-en-scene, theme, and narrative structure were different from existing Korean films. He has made more than 20 pieces over the last 20 years and became the most recognized Korean director 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cene. It is an obligation and a trial for film scholars and critics to study Hong Sang Soo works. Because, it is not easy to talk about something new in the flood of discourse. Discourse about Hong Sang Soo has already produced many results in the areas of structuralism, semiotics, psychoanalysis, narrative theory, psychology, aesthetics and even ethics. That is why it is very likely that newly appeared texts will be repetitive. I tried to have a new perspective by avoiding numerous theories that penetrated the world of Hong Sang soo. As a result, I can now have a new way of analyzing music. Hong Sang soo deals with music as master of oriental martial arts deals with a knife. He expresses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 ironically with emotional music, non-emotional music, and dissonance. sometimes He leads the audience through a counterpoint to a world of unfamiliarity of foregrounding. The materials used by Hong Sang soo are very diverse, including original scores, popular music, classics, and own compositions. Through this study, I have noticed that there is a dialectical montage between sound and narrative, sound and image, as well as between image and narrative. Hong Sang Soo not only introduces a new language to Dramaturgy but introduces novel grammar in the use of sound to lead the audience to a strange world. Therefore, Hong Sang Soo films is like a treasure house. The art world of Hong Sang Soo examined through music analysis came to me as an infinite polyhedron. It is a small benefit of this hard work to discover the fact that the principle of narrative is applied to the use of sound, though it is troublesome to track his trajectory with a single clue of mus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들어가기 대신, ‘더없이 행복할 홍상수
      • 2. 음악이 영화에 복무하는 방식에 관하여
      • 3. 홍상수의 음악 전략
      • 4. 나오며
      • 국문요약
      • 1. 들어가기 대신, ‘더없이 행복할 홍상수
      • 2. 음악이 영화에 복무하는 방식에 관하여
      • 3. 홍상수의 음악 전략
      • 4. 나오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경, "히치하이커의 철학여행" Humanist 2013

      2 오윤홍, "홍상수 영화의 ‘사실적 영화연기’ 연구 :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강원도의 힘>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2015

      3 백로라, "홍상수 영화에 재현된 ‘서울’의 공간적 의미 - <극장전>과 <북촌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225-243, 2012

      4 이상우, "홍상수 영화 <해변의여인>에 나타난 실재계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97) : 251-272, 2016

      5 장병원, "홍상수 내러티브의 '비조화 패턴'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2

      6 "해변의 여인"

      7 "하하하"

      8 이윤희, "퍼스(Peirce) 기호학적 접근으로 본 서사적 커뮤니케이션 - 홍상수 감독의 『생활의 발견』을 중심으로 -" 한국기호학회 25 : 455-488, 2009

      9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10 신형철, "정확한 사랑의 실험" 마음산책 2017

      1 이진경, "히치하이커의 철학여행" Humanist 2013

      2 오윤홍, "홍상수 영화의 ‘사실적 영화연기’ 연구 :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강원도의 힘>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2015

      3 백로라, "홍상수 영화에 재현된 ‘서울’의 공간적 의미 - <극장전>과 <북촌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225-243, 2012

      4 이상우, "홍상수 영화 <해변의여인>에 나타난 실재계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97) : 251-272, 2016

      5 장병원, "홍상수 내러티브의 '비조화 패턴'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2

      6 "해변의 여인"

      7 "하하하"

      8 이윤희, "퍼스(Peirce) 기호학적 접근으로 본 서사적 커뮤니케이션 - 홍상수 감독의 『생활의 발견』을 중심으로 -" 한국기호학회 25 : 455-488, 2009

      9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10 신형철, "정확한 사랑의 실험" 마음산책 2017

      11 "잘 알지도 못하면서"

      12 "자유의 언덕"

      13 "우리 선희"

      14 "옥희의 영화"

      15 Chion, Miche, "오디오 비전" 한나래 2003

      16 "오! 수정"

      17 Chion, Miche, "영화와 소리, 지명혁" 민음사 2000

      18 고현철, "영화서술학과 홍상수의 ‘초점인물의 교체와 다성성’의 영화"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1) : 369-394, 2014

      19 Rancière, Jacques, "영화 우화" 인간사랑 2012

      20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21 홍상수, "생활의 발견 제작 노트"

      22 "생활의 발견"

      23 손보욱, "사실주의 영화에 나타난 카메라 움직임 연구- 영화 <자유의 언덕>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11 (11): 253-276, 2015

      24 "북촌방향"

      25 "밤의 해변에서 혼자"

      26 "밤과 낮"

      27 Shakespeare, William, "리어왕" 민음사 2005

      28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29 "당신자신과 당신의 것"

      30 "다른 나라에서"

      31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32 "극장전"

      33 "그 후"

      34 "강원도의 힘"

      35 "https://seojae.com/web/2014/cine21_752.htm"

      36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28"

      37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5610"

      38 "http://www.cine21.com/news/view/?idx=6&mag_id=74452"

      39 "http://www.cine21.com/ne ws/view/?mag_id=74452"

      40 "http://news.joins.com/article/21396577"

      41 "http://news.joins.com/article/1936358"

      42 "http://news.joins.com/article/1936358"

      43 Smith, F. Joseph, "The Experiencing of Musical Sound, Prelude to a Phenomenology of Music" Routledge 1979

      44 Byron Adams, "Segerstom Center for the Arts, 2017-2018 Chamber Music Series, Pacifica Quartet" Program book 2017

      45 이지현,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의 반복된 시간" 현대영화연구소 12 (12): 7-36, 2016

      46 정락길,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이후의 홍상수적 세계의 변모에 관하여" 문학과영상학회 8 (8): 247-271,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9-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영화연구
      외국어명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1.0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