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6069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컨벤션전시경영학과 , 2024.2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overseas expansion competitiveness of Korea exhibitions

      • 형태사항

        ⅳ, 73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봉석
        참고문헌: p. 58-64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728273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overseas expansion competitiveness of Korea exhibitions by Yujin Cho Department of Convention & Exhibitio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Dr. Bong-Seok Kim In the global arena, heightened competition...

      A study on the overseas expansion competitiveness of Korea exhibitions

      by Yujin Cho
      Department of Convention & Exhibitio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Dr. Bong-Seok Kim

      In the global arena, heightened competition among nations has initiated noteworthy developments in the exhibition industry, marked by trends of internationalization, specialization, and consolidation. This evolution is driven by strategies aimed at fortifying national infrastructure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 sector. The conspicuous global prominence of the contemporary exhibition industry’s internationalization aligns with the prevailing era of pervasive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the world economy. Consequently, the exhibition sector is actively engaging in diverse initiatives to enhance its competitive edge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Recogniz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internationalization, the domestic exhibition sector is also responding by augmenting its infrastructure, pursuing internationalization, and striving for larger-scale operations. Despite concerted efforts by domestic organizers to venture into foreign markets, the overseas market entry of domestic exhibitions remains comparatively subdued, primarily due to deficiencies in managerial aptitude and experiential aspects necessary for international market engagement.
      The activation of overseas expansion by domestic exhibitions holds the potential to bolster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foster the growth of exhibitions, and catalyze ancillary business effects. In order to formulate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and expansion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a prerequisite is to assess the competitiveness for entry into international markets. Thus, it becomes imperative to evaluate the competitive readiness of domestic exhibitions for international market entry as a prerequisite for formulating strategies geared toward fostering overseas market engagement.
      This research seeks to comprehen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and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of exhibitors in domestic exhibitions.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derived from domestic exhibition exhibitors influence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exhibitors to engage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Based on prior research,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is defined b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s of attendees and buyers, the capabilities of exhibition organizers, and the capabilities of exhibition organizer partners. Concurrently,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of domestic exhibition exhibitors is structured around sales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performance.
      The empir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comprises 656 valid responses from enterprises participating in the SEOUL FOOD 2023 exhibition hosted at KINTEX. Employing Smart PLS 4.0, the analytical toolkit encompas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findings affirm the substantive impact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s of attendees and buyers, the competencies of exhibition organizers, and the competencies of exhibition organizer partners on both sales and communication achievements of domestic exhibition exhibitors. Furthermo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has been identified between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an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exhibitors to engage in overseas exhibitions.
      In tandem with hypothesis validation, an additional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of domestic exhibition exhibitors, an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exhibitors to engage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Within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the paths related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s of attendees and buyers, as well as the capabilities of exhibition organizer partn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However, the path associated with the capabilities of exhibition organizers themselves was deemed non-significant.
      These empirical insights hold promise as foundational knowledge for subsequent scholarly inquiries into the overseas market competitiveness of exhibitions. Moreover,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verseas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Key words
      Exhibition, Overseas expansion, Competitiveness, Exhibitor, Participation performance, Participation inten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에 관한 연구 조유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컨벤션전시경영학과 세계 각국에서는 국가 간의 경쟁이 심화하면서 국제화, 전문화, 대형화라는 조류 속에서 성장...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에 관한 연구

      조유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컨벤션전시경영학과


      세계 각국에서는 국가 간의 경쟁이 심화하면서 국제화, 전문화, 대형화라는 조류 속에서 성장해가고 있으며, 전시산업 발전 전략에 의해 각 국가의 인프라 확충도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 전시산업의 국제화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며, 국제적 무한경쟁 시대에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전시산업 역시 국제화를 통한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국내 전시산업도 국제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전시시설 등 인프라 확충, 전시회의 국제화 및 대형화를 추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시회의 해외진출을 위해 국내 전시주최자들의 여러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해외시장 진입에 필요한 경영 능력 및 경험 부족 등으로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진입이 전시산업을 선도하는 국가들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이 활성화됨으로써 국내 전시산업의 경쟁력 제고, 전시회 자체의 성장 및 이와 관련된 비즈니스 활성화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국가 이미지 및 국제적 위상 제고, 경제적 파급효과 등 국내 전시회의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입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매우 크다. 이에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활성화 및 확대 방안 강구를 위해서는 해외시장 진입을 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국내 전시회가 해외진출을 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 요소와 참가업체의 국내 전시회 참가 성과 사이의 영향 관계에 대해 파악하고, 나아가 국내 전시회 참가로 얻은 성과가 참가업체의 해외 전시회 참가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은 참관객 및 바이어 양적/질적 수준, 전시주최자 역량, 그리고 전시주최자 파트너 역량으로 설정하였으며, 국내 전시회 참가 성과는 판매성과와 커뮤니케이션 성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킨텍스(KINTEX)에서 개최된 SEOUL FOOD 2023 전시회의 참가업체가 응답한 총 656부의 유효표본을 활용하였다. 해당 유효표본을 Smart PLS 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시행 결과 국내 전시회 해외진출 경쟁력인 참관객 및 바이어 양적/질적 수준, 전시주최자 역량 및 전시주최자 파트너 역량이 국내 전시회 참가 성과인 판매성과와 커뮤니케이션 성과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판매성과 및 커뮤니케이션 성과가 참가업체의 해외 전시회 참가 의도 간의 영향 관계도 유의한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가설 검증에 더해 국내 전시회 해외진출 경쟁력, 국내 전시회 참가 성과, 참가업체의 해외 전시회 참가 의도 간의 Indirect effect 파악을 위해 추가 경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국내 전시회 해외진출 경쟁력 중 참관객 및 바이어 양적/질적 수준 및 전시주최자 파트너 역량의 경로는 유의하나, 전시주최자 역량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과 관련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에 기여할 수 있으며, 국내 전시산업의 해외진출 및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 용어: 전시회(Exhibition), 해외진출(Overseas expansion), 경쟁력(Competitiveness), 참가업체(Exhibitor), 참가 성과(Participation performance), 참가 의도(Participation inten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4
      • 제 3 절 연구의 구성 ·5
      • Ⅱ. 이론적 배경 6
      • I. 서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4
      • 제 3 절 연구의 구성 ·5
      • Ⅱ. 이론적 배경 6
      • 제 1 절 전시회의 국제화 6
      • 1. 전시회의 개념 ·6
      • 2. 전시회의 국제화 8
      • 제 2 절 전시회 해외진출 유형 10
      • 1. 기업의 해외진출 유형 10
      • 2. 전시회 해외진출 유형 12
      • 제 3 절 전시회 해외진출 경쟁력 ·17
      • 1. 전시회의 해외진출 17
      • 2. 전시회 해외진출 경쟁력 19
      • 제 4 절 전시회 참가 성과 ·23
      • Ⅲ. 연구방법 26
      • 제 1 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6
      • 1. 연구모형 26
      • 2. 연구가설 27
      • 제 2 절 조사 설계 29
      •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29
      • 2. 측정도구의 구성 ·30
      • 제 3 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2
      •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32
      • 2. 자료 분석방법 32
      • Ⅳ. 연구결과 33
      • 제 1 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33
      • 제 2 절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36
      • 1. 신뢰성 분석 36
      • 2. 타당성 검증 38
      • 제 3 절 가설 검증 44
      • 1. 가설 검증 결과 44
      • 2. 가설 검증 요약49
      • Ⅴ. 결론 및 제언 ·51
      •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51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53
      • 1. 학문적 시사점 53
      • 2. 실무적 시사점 55
      •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57
      • Ⅵ. 참고문헌 58
      • Ⅶ. 설 문 지 · 65
      • Ⅷ. ABSTRACT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