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머 전략의 화법 교수 학습 적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ways of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of Humor Strategy in Speech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840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ways of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of Humor Strategy in Speech Education‘Humor’ which means funny word or behaviour. The ability to speak well of humor that people tend to get a better assessment. It is therefore the books on hu...

      A Study on the ways of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of Humor Strategy in Speech Education‘Humor’ which means funny word or behaviour. The ability to speak well of humor that people tend to get a better assessment. It is therefore the books on humor in a bookstore can be found easily. And then, the humor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wondering how we're dealing with it.
      In fact, among four kinds of high school speech textbook which based on seven curriculum, humor related sections of the textbook is only one. That is the niggardly result of referring of the section on humor in the curriculum. Also, the discussion of ways of using humor is abstract and predictable. Therefore, the improvement is needed.
      In this thesis, we analyzed causes of laughter through analyzing two materials of spoken language. At first, we investigate humor strategies used by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t the ‘National middle-high school story competition’. Second, we analyze humor strategies of comedian through the TV show of ‘1 Night 2 Days’. That show deals with story of travel. So we can easily analyze everyday conversation and dialogue. The biggest disadvantage of these materials is intent and pre-prepared. Actually, the best material is that of transformation from spoken language which contains everyday dialogue to written language. When recorded, we should seek to understanding to talking people in advance. However, it is not good material because of destruction of spontaneity. So, in this thesis, we try to use material of daily conversations with the most similar.
      Causes of laughter can be utilized as a strategy of humor. After the data obtained by analyzing the cause of laughter, we propose common strategy of humor compare with previous other researches. As a verbal humor strategy, there are disambiguation, dialect, slang, excretory taboos and the strategy of reversion of honorifics grammar. As a nonverbal humor strategy, there are reversal, hit on a vulnerable spot, parady, more description, humble oneself, use of weakness, overcharge, background infor -mation, sexual joke and expression of absurd situation. As a paralanguage expressions humor strategy, there is utilize of accent. As a body language, there are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
      For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to humor strategy, we set the three step processe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se three steps are understanding of humor strategy, understanding of humor situation and applying humor strategy. In the step of ‘understanding of humor strategy’, we set activity of understanding and applying to humor strategy.
      Second, through the step of ‘understanding of humor situation’, learners have attitude of utilization of humor considering on speaker, listener and scene of dialog. At last, in the step of ‘applying humor strategy’, learners apply of humor strategy with telling the story of their own. We propose teaching-learning plan based on above three steps of humor strategy and it is easily to apply directly to the class.
      However, in this thesis, we did not experiment our conclusion in real situation of teaching-learning. And there is limitation which is speaker-oriented strategy of teaching-learning. Furthermore, we expect listener-oriented research which is how to understand and accept hum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머’는 남을 웃기는 말이나 행동이라는 뜻으로, 본 논의에서는 웃음을 유발하는 말이나 행동을 모두 일컫는 넓은 의미로 사용하였으며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재담’과도 같...

      ‘유머’는 남을 웃기는 말이나 행동이라는 뜻으로, 본 논의에서는 웃음을 유발하는 말이나 행동을 모두 일컫는 넓은 의미로 사용하였으며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재담’과도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유머를 잘 구사하는 사람은 능력보다 좋은 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고 유머를 잘 구사하여 난처한 상황을 면하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런 까닭인지 서점에서 유머 화술에 대한 책들을 쉽게, 또한 종류별로 찾아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유머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실제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법 교과서 네 종류를 찾아보면 유머 관련 단원이 딱 하나 차배근(2003)에 편성되어 있다. 이것은 유머의 장점과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네 교과서 모두 긍정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되는 점이다. 유머가 중요하고 유익한 것은 인정하면서도 단원 편성은 하지 않은 것이다. 이것은 교육과정에서 유머에 대한 부분을 언급하는 데 인색한 결과이다. 어떻게 하면 유머를 잘 구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극히 추상적이고 당연한 이야기들이 많아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의에서는 두 가지의 발화 자료를 분석하여 웃음 유발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하나는 ‘전국 중·고등학생 이야기 대회’로 실제 중·고등학생들이 사용하는 유머 전략을 찾아낼 수 있다. 또 하나는 TV 프로그램 ‘1박 2일’로 시청자들에게 웃음을 선사하는 예능 전문가들의 유머 전략을 분석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더군다나 여행을 떠난다는 프로그램의 특성상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일상적인 대화와 유사한 자연스러운 장면이 나타날 가능성이 많다. 이 두 자료의 가장 큰 단점은 실제 우리 삶의 일상과는 달리 의도적이고 사전에 준비된 자료라는 점이다. 실제 일상 대화를 녹취하여 전사한 자료가 가장 좋은 자료이지만, 녹취를 할 때 사생활 침해를 피하기 위해 미리 양해를 구하면 자연스러움이 파괴된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그나마 일상 대화에 가까운 자료를 구하려 애쓰는 것에 만족해야 했다.
      웃음 유발 원인을 잘 분석하면 뒤집어서 유머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웃음 유발 원인이 모두 유머 전략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 학습자의 입장에서 유머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가려내었다. 두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도출된 웃음 유발 원인을 선행 연구의 웃음 유발 원인과 비교하여 공통적으로 겹치는 유머 전략을 정리하였다. 언어적 유머 전략에는 동음이의어, 사투리, 비속어, 배설 금기어를 활용하거나 청자 대우 등급을 바꾸는 전략이 있다. 비언어적 유머 전략으로는 비예측성을 활용하는 반전, 허 찌르기 등이 있고, 구조면에서는 패러디, 부연, 내용면에서는 자기 혹은 상대방 비하, 약점 이용, 과장, 배경지식, 성적인 농담 등이 있다. 반언어는 억양 살려 쓰기, 신체를 이용한 비언어에는 얼굴 표정, 몸동작 활용하기가 있고 우스꽝스러운 상황을 표현하거나 묘사하는 전략도 있다.
      도출된 유머 전략을 교수·학습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 세 단계의 교수·학습 전개 과정을 설정하였다. 유머 전략 이해, 유머 활용 상황 이해, 유머 전략 적용의 세 단계로 나누어 순서대로 교수·학습될 수 있게 하였다. ‘유머 전략 이해’ 부분에서는 유머 전략을 이해하고 간단히 적용해 보는 활동을 계획하였다. 또한 ‘유머 활용 상황 이해’를 통해 화자와 청자 그리고 대화 장면을 고려하여 유머를 활용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르게 된다. 마지막 ‘유머 전략 적용’ 단계에서는 유머 전략을 적용하여 직접 자신의 이야기를 해 보는 활동을 한다. 또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여 유머 구사가 필요한 가상의 문제 상황에서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유머 교수·학습 전략을 토대로 하여 실제 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여 교수·학습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그 동안 유머 화법 교육에 대한 논의가 턱없이 부족하였고 논의의 내용 또한 빈약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유머 화법 교육을 고민하는 것은 평생 유머를 사용하게 될 학습자의 입장에서 볼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본 논의는 유머 전략을 화법 교수·학습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결과이다. 그러나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 검증하지 못한 데다 화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유머 전략을 학습자들이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하였을 때 유머 구사 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지에 대한 후속연구와 유머를 어떻게 하면 잘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청자 중심의 연구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1.2. 선행 연구 검토 3
      • 1.3. 연구 범위 및 방법 10
      • 2. 웃음 유발 원인별 사례 분석과 유머 교수·학습 적용 방안 12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1.2. 선행 연구 검토 3
      • 1.3. 연구 범위 및 방법 10
      • 2. 웃음 유발 원인별 사례 분석과 유머 교수·학습 적용 방안 12
      • 2.1. 자료 검토 12
      • 2.1.1. 학생 발화 자료 13
      • 2.1.2. 예능 전문가 발화 자료 18
      • 2.2. 웃음 유발 원인별 사례 분석 22
      • 2.2.1. 언어적 원인 23
      • 2.2.2. 비언어적 원인 32
      • 2.3. 유머의 교수·학습 적용 방안 59
      • 2.3.1. 화법 교육과정 및 화법 교과서 속의 유머 교수·학습 59
      • 2.3.2. 유머 교수·학습 전략 72
      • 2.3.3. 유머 교수·학습 모형 85
      • 3. 결론 95
      • 참고문헌 97
      • ABSTRACT 1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