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예(禮)의 기원과 상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019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1차년도 ○ 길례(제사)의 기원과 상징 1. 대․중․소사(小祀)를 구분하는 연원과 변천과정 및 그 기준 - 시일(時日)의 농사절기 및 천문, 월령 등과의 관계 그리고 정기제사와 비정기제사의 ...

      제1차년도
      ○ 길례(제사)의 기원과 상징
      1. 대․중․소사(小祀)를 구분하는 연원과 변천과정 및 그 기준
      - 시일(時日)의 농사절기 및 천문, 월령 등과의 관계 그리고 정기제사와 비정기제사의 구분 기준
      - 축판(祝版)의 기원
      - 향(香)의 기원 및 종류와 조달방법, 전향(傳香) 절차, 상향(上香)의 도구와 의미
      - 조선에서 향실(香室)의 설치와 기능
      2. 제사는 크게 두 의식으로 나눌 수 있다. 그것은 공식(共食)과 전폐(奠幣)이다. 전폐는 예물로서 희생(犧牲)을 드리는 것을 말하며, 신분에 따라 옥백을 올리기도 하였다.
      - 희생 등 전폐의 연원과 변천과정 및 등급화 그리고 상징
      - 조선에서 사용한 우(牛, 黑牛를 사용함)․양(羊)․시(豕)의 진공(進貢)과 사육 실태 및 전생서(典牲暑)의 설치와 기능
      - 성생(省牲)부터 할생(割牲)하여 간(肝)․수(脺, 뇌)․료(膋, 기름)․모혈(毛血) 등을 받고 희생을 삶아서 제수로 준비하기까지의 과정과 그 전통 및 의미
      3. 제사는 공식이 핵심이다. 제사 절차는 음식을 준비하여 상을 차리고 먹는 과정대로 나누어서 배치한다. 특히 희생과 제기의 배치에 중점을 두어, 성생(省牲)과 진기(陳器) 등이 하나의 절차로 중시되었다.
      - 제기(祭器)의 기원과 변천과정 및 용도․형태․무늬․규격에 따른 상징
      - 제기의 등급 및 배치의 원리, 사전별(祀典別) 제기수의 다소 기준, 찬실(饌實, 제사음식)의 종류와 사전별 등급 기준
      4. 제복(祭服)의 신분별(국왕․왕세자․군신(群臣) 등) 등급과 그 기원 및 변천과정, 각 복식의 상징
      - 복식에 있어서 왕과 왕세자, 왕비, 군신(群臣) 등 신분에 따른 등급화는 매우 철저하였다. 물론 예의 차별적 성격에 비추어 등급화가 적용되지 않은 형식이 없기는 하지만, 복식의 등급화에 대한 연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구장복(九章服)과 칠장복, 부마의 명복(命服), 왕비의 명복인 적의 그리고 그 이하 신분의 명복이 있으나, 명복과 등급의 관계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학계의 현실이다.

      제2차년도
      ○ 노부(반차)의 기원과 상징
      1. 국왕 출궁 때의 행렬 규모를 대가(大駕)․법가(法駕)․소가(小駕)로 삼분
      - 삼가(三駕)의 기원과 변천과정 및 상징
      - 조선의 삼가의 지위
      2. 국왕의 시위(侍衛) 체계
      - 국왕의 출궁 이전의 준비과정 및 당일의 삼엄(三嚴)과 작문(作門), 시위 행렬의 완성과 해산
      - 국왕․왕비․왕세자․왕세자빈 등 신분에 따른 시위 규모와 의장의 차등, 출입 문로(門路)와 봉지자(奉持者)의 구별, 호련대(扈輦隊)의 설치와 기능
      - 병위(兵衛)와 시위(侍衛)의 결합 및 배치의 원리
      - 삼명일(三名日)의 조하(朝賀)와 회백관(會百官)의 배반도(排班圖) 분석
      - 조선후기 배반의 반차(班次)로의 전환 과정과 시위체계의 변화
      3. 의장. 국왕과 그 이하의 신분에 따라 의장의 수량과 종류에는 차등을 두었다. 신분에 따라 각 의장물은 상징성을 담고 있는데, 거기에는 유교뿐 아니라 도교․불교의 관념이 습합되어 있다.
      - 각 의장의 기원과 상징
      - 의장의 종류와 구성
      - 의장군과 시위자 등의 복식과 그 상징 및 승마(乘馬)와 도보 구분의 의미
      - 의장의 준비절차

      제3차년도
      ○ 흉례의 기원과 상징
      1. 상장(喪葬)에 관한 여러 제도와 절차인 상제(喪制) 중에서 상구(喪具)의 연원과 상징
      - 염빈(斂殯)의 제 도구의 기원과 용도 및 상징
      - 빈전의 내부 구조와 구성
      - 육신의 가매장 전통과 찬궁(欑宮)의 조성 및 재궁(梓宮)의 안치
      2. 흉의장과 길의장. 발인 때의 반차도에는 당연히 흉의장이 주류를 이루며, 선상대 다음에 일부의 길의장이 동원된다. 길의장은 보통 반우 때 사용하기 위해 가져간다.
      - 흉의장의 종류와 기원 및 상징
      - 흉의장의 배치 원리
      3. 명기(明器)와 복완(服玩)
      - 명기와 복완의 기원과 변천과정
      - 오례의 규정에서 벗어난 명기와 복완의 매장과 그 의미
      - 목용(木俑) 등 순장(殉葬)의 영향 및 자취
      4. 신주의 기원
      ○ 서․결론
      - 서론에는 국가의례에 있어서의 예의 형식, 예와 왕권 및 종법과의 관계 등에 관한 서술을 통해, 조선왕조의 정치와 사회의 기초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유도한다.
      - 결론에서는 예의 군자(국왕)와의 관계를 미학적 측면에서 서술하여, 현대인의 삶의 태도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