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년기 여성의 연령집단별 생활체육 현황 및 참여 확대 방안 = The Status of Sport-for-all Activity of the Elderly Females by Age-groups and the Plans for Participation Promo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88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sport-for-all of the elderly females and to provide the ways of promoting their participation. The object of investigation are over 50 year old females from a national survey o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sport-for-all of the elderly females and to provide the ways of promoting their participation. The object of investigation are over 50 year old females from a national survey o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Korea in 2018. The survey is carried out by one to one interview to over 10 year old Korean people who were selected by stratified multi-stage cluster sampling. The statistical methods are frequency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ANOV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sport-for-all participation shows that the rate and degree of participation are decreased with age. Therefore, the guide line of sport activity should be provided for participation inducement. In addition, the elderly tend to prefer a low sport activity cost and easily possible sport items in near sport facilities. So, the related policy needs to be extended.
      Second, the family and close friends wield influence to the elderly as the sport-for-all socializer and participation companions. And they have an higher participation rate of accompanying with local residents with age, so the promotion for expanding influences of socializer and the incentive plans of sport-for-all participation with companion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hey need more leisure time, health condition improvement, and growth of income level for their sport activity. And more old they have a higher need of health condition improvement.
      Therefore, the participation promotion policy that the elderly females can participate in sport-for-all without much money and time should be extended. Also, Korea national fitness award 100 program that provide customized exercise prescriptions should be expanded to prevent the participation restri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노년기 여성의 연령집단별 생활체육 현황 분석을 토대로 참여 확대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있다. 연구대상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18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의 50세...

      이 연구는 노년기 여성의 연령집단별 생활체육 현황 분석을 토대로 참여 확대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있다. 연구대상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18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의 50세이상 여성의 원자료이다. 노년기 연령을 50세이상으로 설정한 이유는 선진국 노인체육과 우리나라 고령사회 정책의 대상 연령이50세부터 접근되는 경향을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이 조사는 전국 만 10세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다단계층화집락추출 후 가구방문에 의한 1:1 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변량분석이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 실태 분석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참여율과 참여정도가 감소해 적정 수준의 참여 유인을 위한 체육활동 참여 가이드라인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체육활동 비용부담이 적고 근거리에서 참여 가능한 종목과 체육시설을 선호하고 있어 관련 정책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 동반자와 사회화 주관자로 친구와가족/친지의 영향력이 비교적 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지역주민과의 참여 동반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때문에 주요 참여 동반자와 사회화 주관자를 활용한 홍보와 유인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확대를 위해 시간증가, 건강상태 개선, 소득수준 증가 등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건강상태 개선 요구가 높았다. 그러므로 일상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고 참여할 수 있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건강문제로 인한 참여 제약 최소화를 위해 의료기관과 연계해 맞춤형 운동처방을 제공하는국민체력100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윤신, "한국여성노인체육의 현황 분석 (보건소운동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체육학회 26 (26): 173-183, 2012

      2 김경식, "한국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건강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4 (24): 520-530, 2013

      3 김성국, "지역유형별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건강증진행위 및 의료비 지출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755-765, 2009

      4 임안나,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가 노년기 시작연령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349-364, 2015

      5 김양례, "여성의 생애주기별 생활체육 현황 및 정책 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 30 (30): 105-124, 2016

      6 김희경,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년학회 30 (30): 279-292, 2010

      7 이경훈, "여성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제약 인식에 관한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 29 (29): 139-151, 2015

      8 고진수, "생활체육활동의 사회인구학적 참여결정요인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5 (25): 701-712, 2014

      9 배제선, "생태관광을 활용한 걷기길의 지속가능한 방안 – 산촌 지역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7

      10 장희선, "도서지역 여성독거노인의 신체적 건강, 경제상태, 사회적 관계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17 (17): 233-259, 2010

      1 남윤신, "한국여성노인체육의 현황 분석 (보건소운동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체육학회 26 (26): 173-183, 2012

      2 김경식, "한국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건강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4 (24): 520-530, 2013

      3 김성국, "지역유형별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건강증진행위 및 의료비 지출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755-765, 2009

      4 임안나,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가 노년기 시작연령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349-364, 2015

      5 김양례, "여성의 생애주기별 생활체육 현황 및 정책 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 30 (30): 105-124, 2016

      6 김희경,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년학회 30 (30): 279-292, 2010

      7 이경훈, "여성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제약 인식에 관한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 29 (29): 139-151, 2015

      8 고진수, "생활체육활동의 사회인구학적 참여결정요인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5 (25): 701-712, 2014

      9 배제선, "생태관광을 활용한 걷기길의 지속가능한 방안 – 산촌 지역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7

      10 장희선, "도서지역 여성독거노인의 신체적 건강, 경제상태, 사회적 관계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17 (17): 233-259, 2010

      11 김양례,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건강상태 및 의료비 지출의 관계"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17 (17): 125-137, 2006

      12 김정현, "노년기 연령집단에 따라 사회활동 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8 (38): 329-349, 2018

      13 이현정, "노년기 여성체육의 연구 동향과 체육학의 역할" 3-20, 2019

      14 김영희, "노년기 부부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171-184, 2018

      15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생활체육진흥종합계획" 2013

      16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생활체육진흥기본계획" 2018

      17 European Commission, "Sport and physical activity" 2018

      18 문화체육관광부, "2018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 2018

      19 문화체육관광부, "2017 체육백서" 2018

      20 문화체육관광부, "2017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 2017

      21 대한민국정부, "2016-2020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2016

      22 문화체육관광부, "2002년도 주요업무계획"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98 0.8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