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습 장애에 인지증진치료의 활용 고찰 = The Review about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on the Learning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596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찰 논문은 새로운 치료적 접근의 하나로서 인지증진 치료를 소개하였으며 특히 학습장애에 대한 활용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뇌손상 환자를 위한 인지재활 치료에 뿌리는 둔 ...

      본 고찰 논문은 새로운 치료적 접근의 하나로서 인지증진 치료를 소개하였으며 특히 학습장애에 대한 활용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뇌손상 환자를 위한 인지재활 치료에 뿌리는 둔 인지증진치료는 1990년대 이후 정신의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생물심리사회적 모델이 대두되면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모으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Corrigan과 Yodofsky(l996)는 개념적 모델을,Schutz와 Trainor(2007)는 형태모델을 제시하는 등 인지증진치료에 대한 개념적 틀을 형성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가장 적절하게 받아들여지는 인지증진치료 모델은 ‘전체적’ 접근 모델로서 인지적 행동적 결함에 대한 치료뿐 아니라 전통적 심리치료와 환경적 개입을 모두 통합하여 접근 하는 입장이다 많은 선행 연구들을 통하여 인지 영역들이 보다 세분화되고 구체화되고 있으며 각 영역에 대한 측정방법들도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세부 인지 영역은 주의(자동주의과정,작업기억),기억,언어기능,시공간 구성 능력,문제 해결 능력,운동기능과 사회지각능력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정확한 평가를 통해 취약 영역을 파악한 후에는 손상된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하거나 보상할 수 있는 치료적 책략 계획 수립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해서 본 연구자는 손상의 기저가 되는 세부 인지 기제에 대한 반복 훈련을 제안하였다.
      인지증진치료의 적용분야 중 하나로서 학습 장애를 본 논문에서는 다루었다 학습 장애에 대한 명확한 진단은 아직까지도 일치된 합의가 부족하다. 그러나 진단적 측면이 아닌 인지 영역별로 취약 영역을 구분해 내고 그에 적합한 치료적 계획을 수립하는 인지증진치료개입은 학습 장애에 대한 매우 효과적인 개입방법임을 주장하였다. 이밖에 학습 능력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작업기억에 대한 최근 연구들을 고찰하면서 작업기억을 중심으로 한 인지증진치료가 학습 장애에 매우 적절한 치료 책략임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view introduced the Cognitive Enhancement Therapy,especially the focusing the application on the Learning Disability. 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based on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the brain injury patients became the interesting fie...

      This review introduced the Cognitive Enhancement Therapy,especially the focusing the application on the Learning Disability. 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based on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the brain injury patients became the interesting field from 1990’s,since the biopsychosocial model had emerged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psychiatry. There were many trials to build the conceptual frame, for example,Corrigan & Yodofsky (1996) proposed conceptual model and Schutz & Trainor (2007) suggested the frame model. The ’holistic model' is regarded as the relatively proper model for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include the conventional psychotherapy and environmental intervention as well as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therapy for the deficits. Through much studies,the cognitive areas were divided in detail and the various measurements were suggested. The current common cognitive sub-areas are follows: attention (automatic processing,working memory),memory,language ability,visual-spatial consσuction ability,motor function and social perception ability. Following the identifying the weak areas,it should be made the therapeutic plan of the restoring and compensating for the cognitive deficit. As the researcher and clinician this field,I suggested that the repeated practicing the exact weak area causing the specific cognitive deficit would be the efficient therapeutic strategy.
      This paper reviewed the Learning Disability (LD) as the applicable field of the 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There are still controversy about the diagnostic consensus about LD.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it would be more efficient therapeutic strategy based on the cognitive function than based the diagnostic aspect. Besides,the recent studies about the working memory (WM) was reviewed,It was suggested that the WM cognitive training would be the very proper strategy in the restoring or compensating the LD problem because WM is closely related to the academic abil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