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태계 서비스를 위한 주민 참여형 수변완충녹지 설계 고찰 - 한강수계 경안천변 매수토지 사례 연구 - = Design of Riparian Buffer Zone by Citizen’s Participation for Ecosystem Service - Case Study of Purchased Land along Gyeongan-cheon in Han River Basi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48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변완충녹지는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고 탄소흡수원으로서 유용하며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자연기반해법이다. 더불어 수변완충녹지는 생물 다양성...

      수변완충녹지는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고 탄소흡수원으로서 유용하며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자연기반해법이다. 더불어 수변완충녹지는 생물 다양성과 인간의 행위 빈도가 높은 수역과 육역의 중간지대에 구축되는 지속가능한 사회생태시스템으로서 지역 공동체와의 긴밀한 상호 소통적 환경계획 과정으로 조성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 경안천변 용인시 모현읍 갈담리 582-2 일원의 매수토지에 추진되는 수변생태벨트 사업을대상으로 계획 및 설계를 소통적 행위로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세 가지의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과정으로 구현하였다.
      첫 번째, 관 주도의 사업을 지양하고 지역 거버넌스인 협의체를 중심으로 주민과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과정으로개선하였다. 두 번째,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생태계 서비스 기능 증진 측면의 설계 요소를 도입하고 선호하는 공간, 시설의 계획을 통해 수용성과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세 번째, 생물 서식처, 물순환 기반의 생태환경, 주민 생태체험‧휴식공간 등의 균형있는 계획과 더불어 향후 이용 주체인 주민들이 조성 효과와 생태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체감하고 조성지의 운영, 관리에 참여, 환원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설계 과정을 통해 사업 초기부터 주민참여기반의 프로세스 모델을 정착하여 주민의 수용성, 주민 의견을 투영하는 사회생태시스템으로 작동되어 주민의 가치인식, 조성 유지관리 단계까지 솔선수범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국내 수변완충녹지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향후 유사 사업 추진 시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홍 ; 류지철 ; 신동석 ; 이재관, "효과적인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접근 방향" 한국습지학회 21 (21): 140-146, 2019

      2 이재영 ; 안동만 ; 김인호 ; 김찬국 ; 김성진 ; 채혜성 ; 이재원 ; 김민우 ; 신민종 ; 박효인 ; 조경준 ; 이영, "주민주도-시민참여형 생태복원 공정 -백두대간 훼손지(강릉시 고랭지 채소밭) 시범적용과 제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1-16, 2011

      3 안동만 ; 김인호 ; 이재영 ; 김찬국 ; 채혜성 ; 이영 ; 민소영 ; 김민우, "백두대간 대규모 훼손지의 통합적 유형구분을 통한 참여형 복원 시스템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2 (12): 11-22, 2009

      4 이란 ; 구본학,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매수토지 생태복원사업 인식도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 (20): 15-28, 2017

      5 이유경 ; 최혜선 ; 전민수 ; 김이형, "도로변 및 LID 시설 내 식생종류별 식물체 내 건물률 및 영양염류 함량 변화" 한국습지학회 23 (23): 35-43, 2021

      6 반권수 ; 조명현 ; 강전경 ; 김이형, "댐 홍수터와 수변구역을 연계한 통합형 수변생태벨트 적지 선정방안 연구 - 금강 수계 대청호 사례 연구 -" 한국습지학회 23 (23): 327-341, 2021

      7 최지연 ; 홍정선 ; 강희만 ; 김이형, "고속도로 자동차 통행량에 따른 강우유출수 유출 특성 분석" 한국습지학회 18 (18): 275-281, 2016

      8 "Weather data open portal"

      9 Youngsan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Water Management Plan of Youngsan River" 2009

      10 Nakdong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Water Management Plan of Nakdong River" Nakdong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2009

      1 박재홍 ; 류지철 ; 신동석 ; 이재관, "효과적인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접근 방향" 한국습지학회 21 (21): 140-146, 2019

      2 이재영 ; 안동만 ; 김인호 ; 김찬국 ; 김성진 ; 채혜성 ; 이재원 ; 김민우 ; 신민종 ; 박효인 ; 조경준 ; 이영, "주민주도-시민참여형 생태복원 공정 -백두대간 훼손지(강릉시 고랭지 채소밭) 시범적용과 제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1-16, 2011

      3 안동만 ; 김인호 ; 이재영 ; 김찬국 ; 채혜성 ; 이영 ; 민소영 ; 김민우, "백두대간 대규모 훼손지의 통합적 유형구분을 통한 참여형 복원 시스템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2 (12): 11-22, 2009

      4 이란 ; 구본학,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매수토지 생태복원사업 인식도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 (20): 15-28, 2017

      5 이유경 ; 최혜선 ; 전민수 ; 김이형, "도로변 및 LID 시설 내 식생종류별 식물체 내 건물률 및 영양염류 함량 변화" 한국습지학회 23 (23): 35-43, 2021

      6 반권수 ; 조명현 ; 강전경 ; 김이형, "댐 홍수터와 수변구역을 연계한 통합형 수변생태벨트 적지 선정방안 연구 - 금강 수계 대청호 사례 연구 -" 한국습지학회 23 (23): 327-341, 2021

      7 최지연 ; 홍정선 ; 강희만 ; 김이형, "고속도로 자동차 통행량에 따른 강우유출수 유출 특성 분석" 한국습지학회 18 (18): 275-281, 2016

      8 "Weather data open portal"

      9 Youngsan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Water Management Plan of Youngsan River" 2009

      10 Nakdong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Water Management Plan of Nakdong River" Nakdong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2009

      11 Han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Water Management Plan of Han River" Han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2013

      12 Geum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Water Management Plan of Geum River(’14∼’18)" Geum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2013

      13 Geum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Water Management Plan of Geum River(’09∼’13)" Geum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2009

      14 Dufour S, "Tracing the scientific trajectory of riparian vegetation studies : Main topics approaches and needs in a globally changing world" 653 : 1168-1185, 2019

      15 Haines-Young R., "The Comm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Consultation on Version 4 August– December 2012" European Environment Agency Contract 2012

      16 Youngsan·Sumji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The 3rd Plan for Management of Waterfront Areas of the Youngsan·Sumjin River (2019~2023)" 2018

      17 Ha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The 3rd Plan for Management of Waterfront Areas of the Han River(2019~2023)" Ha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2018

      18 Ministry of Environment, "The 3rd Comprehensive Measures for the Management of Rainfall RunoffNonpoint Pollution Sources"

      19 Fischer M, "Summary for Policymakers of the Regional Assessment Report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for Europe and Central Asia of the Intergovernmental 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Secretariat of the Intergovernmental Science - 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2018

      20 Sweeney BW, "Streamside forest buffer width needed to protect stream water quality habitat and organisms : A literature review" 50 : 560-584, 2014

      21 Carpenter SR, "Science for managing ecosystem services : Beyond the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106 : 1305-1312, 2009

      22 "River Managemen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IMGIS)"

      23 Capon SJ, "Riparian ecosystems in the 21st century: Hotspot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Ecosystems" 16 : 359-381, 2013

      24 Dwire, K. A., "Riparian ecosystems and buffers-multiscale structure, function, and management: Introduction" 42 (42): 1-4, 2006

      25 González E, "Restoration of riparian vegetation : A global review of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pproaches in the international peer-reviewed literature" 158 : 85-94, 2015

      26 Hong SK, "Restoration ecology and engineeri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habitats and ecotope" Life science 2004

      27 Haase, D., "Nature-Based Solutions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Urban Areas" Springer 111-121, 2017

      28 "National Geospatial Image Information System(NGIIS)"

      29 Haines-Young R., "Methodologies for Defining and Assessing Ecosystem Services" Joint Nature Conservation Committee 2009

      30 Ministry of Environment, "Manual for Installa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31 Ministry of Environment, "Investigation report on the impact of the Paldang Lake test dredging" Ministry of Environment 1990

      32 Hong, EM, "Intro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generation and management plans in Gangwon province. water for futur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4 (54): 46-51, 2021

      33 Browder G., "Integrating Green and Gray:Creating Next Generation Infrastructure" World Bank and World Resources Institute 2019

      34 Ministry of Environment, "Government Innovation Action Plan" Ministry of Environment 2021

      35 Riis, T., "Global overview of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riparian vegetation" 70 (70): 501-514, 2020

      36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Synthesis Island Press,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2005

      37 Fisher B, "Defining and classifying ecosystem services for decision making" 68 : 643-653, 2009

      38 Jobin, B., "Conservation value of agricultural riparian strips in the Boyer river watershed, Quebec(Canada)" 103 : 413-423, 2004

      39 Haines-Young R, "Comm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CICES) V5 1 and Guidance on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Structure" European Environment Agency

      40 Lee EJ, "Civic Ecology Practi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82-84, 2018

      41 USDA Forest Service, "Chesapeake Bay Riparian Handbook: A guide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riparian forest buffers" 1998

      42 Bahn GS, "Analysis of environmental purification effect of riparian forest with poplar trees for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 A case study in the floodplain of the dam reservoir in Korea" 12 (12): 6871-, 2020

      43 Jo DG, "Amphibian Habitat Techniques" Landscaping Tree 35-40, 2006

      44 Ministry of Environment, "A report on the results of specific audits for the waterside ecological belt creation project"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45 Lee JW, "A Study on the Assessment Model for Riparian Eco-belt Using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 Framework" Dan Kook University 2021

      46 Geum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A Study on the Agricultural Impact and Management Plan of the Daecheong Reservoir:Research Report"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 Journal of Wetlands Researh KCI등재
      2011-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5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