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탄성초음파를 이용한 적외선 치료와 초음파 치료 전.후 근육의 탄력 분석 = Analysis of elasticity of muscle before and after ultrasound treatmentand infrared treatment using elastic ultrasou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733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적외선치료와 초음파치료에 따른 탄성초음파를 이용한 상지(upper extremity)의 아래팔앞칸(anterior compartment of forearm)에서 위팔노근(brachioradialis muscle)부위와 하지의 뒤칸(posterior co...

      본 연구에서는 적외선치료와 초음파치료에 따른 탄성초음파를 이용한 상지(upper extremity)의 아래팔앞칸(anterior compartment of forearm)에서 위팔노근(brachioradialis muscle)부위와 하지의 뒤칸(posterior compartment of leg)의 장딴지근 가쪽갈래(lateral gastrocnemius muscle) 1cm부위의 치료 전,후 탄성비율의 비교 분석과 키, 몸무게, BMI, 체지방량, 근육량, 기초대사량 등 다양한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7년 7월 30일부터 2017년 8월 10일 까지 20대 남자 10명을 대상으로 했다.
      초음파 치료 및 적외선 치료 시 근육의 탄성도 증가율은 상지의 forearm 근육 부위에서 초음파로 치료 시 탄성도는 1.55±0.41배 증가하였으며 적외선 치료 시는 1.23±0.10배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초음파로 치료 시 탄성도가 더 증가하였다. (p<0.05) 이는 1cm 부위에서는 심부치료에 초음파치료가 적외선 치료보다 효과적이며 좋은 결과가 나타날 거라 기대된다. 그리고 초음파치료와 적외선치료가 상지 근육에는 탄력성과 유의한 차이가 있고 하지근육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초음파 치료 시와 적외선 치료 시 상지(upper extremity)의 아래팔앞칸(anterior compartment of forearm)에서 위팔노근(brachioradialis muscle) 부위의 탄력도 증가율과 체지방량, BMI가 증가 할수록 탄성도 증가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0.05)
      향후 초음파 치료와 적외선 치료 시에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3
      • 제 2 장 이론적 배경 4
      • 제 1 절 초음파 4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3
      • 제 2 장 이론적 배경 4
      • 제 1 절 초음파 4
      • 제 2 절 적외선 6
      • 제 3 절 탄성초음파 8
      • 제 4 절 측정방법 11
      • 1. 초음파 치료 11
      • 2. 적외선 치료 12
      • 3. 탄성초음파 측정 13
      • 4. 체격과 신체 측정 14
      • 제 3 장 대상 및 방법 16
      • 제 1 절 연구대상 16
      • 제 2 절 연구방법 17
      • 제 3 절 통계적 분석 방법 26
      • 제 4 장 연구 결과 27
      • 제 1 절 forearm 근육 부위와 calf 근육 부위의 초음파 치료 및 적외선 치료 시 근육의 탄성도 27
      • 제 2 절 치료별 forearm 근육 부위와 calf 근육 부위 근육의 탄성도 28
      • 제 3 절 초음파 치료시 forearm 근육 부위의 탄력도와 각 요인별 상관 분석 29
      • 제 4 절 적외선 치료시 forearm 근육 부위의 탄력도와 각 요인별 상관 분석 30
      • 제 5 절 초음파 치료시 calf 근육 부위의 탄력도와 각 요인별 상관 분석 31
      • 제 6 절 적외선 치료시 calf 근육 부위의 탄력도와 각 요인별 상관 분석 32
      • 제 7 절 치료 시 forearm 근육 부위, calf 근육 부위의 탄력도 증가율과 각 요인별 상관 분석 33
      • 제 8 절 초음파 치료시 forearm 근육 부위의 탄력도 증가율과 각 요인별 관련 분석 35
      • 제 9 절 적외선 치료시 forearm 근육 부위의 탄력도 증가율과 각 요인별 관련 분석 36
      • 제 10 절 초음파 치료 시 calf 근육 부위의 탄력도 증가율과 각 요인별 관련 분석 37
      • 제 5 장 고찰 38
      • 제 6 장 결론 41
      • 참고문헌 42
      • 영문요약 4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재학, "전기치료학", 대학서림, , 249-284, 1987

      2 통계청, "2015년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2015

      3 통계청,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2010

      4 박정율, "만성 요통의 진단과 치료.", 대한가정의학회, 가정의학회지, 22-9 ,632-636, 2001

      5 우종인, 이정희, "치매환자를 위한 서비스 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

      6 야마자키 도시코, "원적외선 치료의 실제; 불치의 병은 없다", 한국원적외선응용연구소, 한국원적외선응 용연구소, 1996

      7 김완겸,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 대한예방한의학회,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9.2: 93-106, 2005

      8 김상명, "농촌 주민의 생활양식과 대사성증후군 요인의 관계", 2008

      9 권혁철, 정동훈, "스크린 높이와 서류 고정대 위치에 따른 경부 주위 근육의 활 성 정도 비교", 대한물리치료학회, 대한 물리치료사학회지, , 13.3: 830, 2001

      1 이재학, "전기치료학", 대학서림, , 249-284, 1987

      2 통계청, "2015년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2015

      3 통계청,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2010

      4 박정율, "만성 요통의 진단과 치료.", 대한가정의학회, 가정의학회지, 22-9 ,632-636, 2001

      5 우종인, 이정희, "치매환자를 위한 서비스 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

      6 야마자키 도시코, "원적외선 치료의 실제; 불치의 병은 없다", 한국원적외선응용연구소, 한국원적외선응 용연구소, 1996

      7 김완겸,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 대한예방한의학회,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9.2: 93-106, 2005

      8 김상명, "농촌 주민의 생활양식과 대사성증후군 요인의 관계", 2008

      9 권혁철, 정동훈, "스크린 높이와 서류 고정대 위치에 따른 경부 주위 근육의 활 성 정도 비교", 대한물리치료학회, 대한 물리치료사학회지, , 13.3: 830,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