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靑瓷 발 指壓用 立體타일 디자인 開發 硏究 : 瓦當紋樣을 中心으로 =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Design of Celadon Solid Tile : based on the pattern of Wad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184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 상감청자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의 하나로 그 우수성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그 명성은 고려시대 전반에 걸쳐 약 500여년간 지속되었다. 강진은 고려청자 최대...

      고려 상감청자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의 하나로 그 우수성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그 명성은 고려시대 전반에 걸쳐 약 500여년간 지속되었다. 강진은 고려청자 최대의 요장으로서 우수한 청자기술의 발원지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국보, 보물급 청자 중의 80%가 강진에서 제작된 것이며 전국적으로 발견된 400여개소의 옛 가마터 중 188개소가 강진에 현존하고 있다. 강진은 고려청자의 집산지로 해상교통의 발달, 태토, 연료, 기후 등 여건이 적합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조상에게 물려받은 찬란한 유산인 강진의 고려청자가 최근 재현 사업 등 을 통해 활발히 연구되어지고 있다.
      “전통과 현대의 조화” 조금은 거창한 주제 같아 보인다.
      하지만, 도예업계에 몸담고 있는 지금의 우리에게 주어진 크나큰 숙제라고도 볼 수 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그 숙제를 풀어나가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고려청자의 그 찬란한 아름다움을 그대로 간직하면서 현대사회에서 보다 보편화되고 실용화되어 우리 삶속에 들어와 활용되는 청자, 박물관의 유리관 속에 가둬놓는 청자가 아닌 우리의 먹을 것을 담아내고 우리의 생각을 담는 실용청자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실용 청자의 개발은 청자산업의 활성화와 더불어, 또한 우리의 아름다운 문화유산을 전 세계에 알리는 기회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도자사(陶瓷史)는 고대의 빗살무늬 토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의 도자기의 기능은 단순히 곡식, 물 등을 담는 기(器)형태의 것이었다면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져 왔다. 특히 건축 분야에서의 역사를 살펴보면 흙을 구워 만든 기와지붕, 벽돌, 전(塼) 등의 형태로 제작되었고 고려시대에는 청자로 만든 전(塼)이나 청자 도판(陶版)이 제작되었고 청자기와 등이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최근 다양한 디자인의 청자 도판 등이 연구 개발되고 있고 건축자재로서 연계되어 건축물의 내, 외장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자재로서 다양하게 발전 되어져 온 청자 도판에 최근 급변하는 사회적 변화를 기반으로 나타나게 된 “웰빙트렌드(Well-Being Trand) ”와 접목시켜 지압이라는 기능성을 추가한 청자 지압타일(도판)을 개발하고자 한다.
      “웰빙 트랜드”란 풍요와 편리함으로 대변되던 20세기가 물질만능 사회로 변질될 무렵 사람들은 스스로 생활환경을 되돌아보며 자연친화적인 생활방식, 즉 자유로움과 여유를 추구하고 자신을 건강을 지키기 위해 운동을 하거나 유기농 식단을 꾸미는 등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로 최근 점점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건축도자의 영역을 넘어 급변하는 현대인의 요구에 부흥하는 새로운 제품개발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바쁜 현대 산업사회에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한옥 기와의 와당의 문양을 재해석하여 청자 지압용 입체 타일에 적용함으로써 우리고유의 정서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시각적인 미(美)와 더불어 웰빙(Well-Being)의 미(美)를 가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상품으로 연구 개발하고자 한다.
      최근 유명한 관광지에 가면 가벼운 산책로에 지압로가 많이 설치가 되어 있다. 큰 돌멩이나 자갈, 그리고 나무 등으로 지압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 관광객들이 신을 벗고 지압로를 걷는 풍경을 많이 볼 수 있다. 하지만 강진에서만큼은 다른 관광지와 차별화되는 강진만의 독특한 재료인 청자를 소재로 지압로를 만든다면 지역의 특색을 살리고 보다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홍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최근의 웰빙 트렌드와 접목된 아름다운 우리의 전통문화인 강진 청자로 지압타일을 제작하여 청자 지압로(指壓路)를 만들어 강진을 찾는 많은 관광객들에게 강진청자의 우수성을 알리는 한편 지압로 체험 후 관광상품 구매로 이어져 강진 청자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청자 지압용 입체타일은 바쁜 현대 산업사회에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한옥 기와의 와당의 문양을 재해석하여 청자 지압타일에 적용함으로써 우리고유의 정서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시각적인 미(美)와 더불어 웰빙(Well-Being)의 미(美)를 가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상품으로써 연구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대 자동차, 삼성 전자제품 등 해외에서 잘 팔리는 제품 하나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홍보대사 역할을 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청자 지압용 입체타일의 개발이 우리의 전통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고 우리나라의 가치와 역량을 높이는 큰 역할을 했으면 하는 바램 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laid celadon in Goryeo Dynasty is one of the most famous cultural heritage in Korea, the superiority of the inlaid celadon has been known over the world, and the fame was lasted over 500 years through Goryeo Dynasty. Gangjin is the place of the orig...

      Inlaid celadon in Goryeo Dynasty is one of the most famous cultural heritage in Korea, the superiority of the inlaid celadon has been known over the world, and the fame was lasted over 500 years through Goryeo Dynasty. Gangjin is the place of the origin of Celadon, and has the largest numbers of kilns for producing celadon. Over 80 percents of celadon as national treasure in Korea was produced in Gangjin, 400 of old kiln sites have been found in Korea, and 188 of kiln sites of them currently exist in Gangjin. Gangjin was a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enter for trade of celadon because of development of marine transportations, proper conditions such as soil, fuel, and climate for producing celadon. Celadon, one of cultural inheritances from our ancestors, in Gangjin has been studied actively through the cultural enterprise for reproduction of celadon.
      "The Harmony of Tradition and Modern" as theme of this thesis might feel heavy. However, the way to make harmony of tradition and modern must be one of big assignments for ceramists who work for pottery and produce ceramic products. The practical celadonware, which not only retains classical beauty but also can be used in our routine life to carry our meals and our life, is solely needed to be produced rather than celadon as beautiful decorations in the showcase in the museum. The production of various kinds of practical celadonware must be the chance to announce our treasure to the world and to invigorate the celadon industry.
      The history of Korean pottery starts with the earthware designed with the pattern of comb's teeth. The function of the very first earthware was just to carry grains or water. The only function was developed to various functions in many fields as time went by. Especially in architectural history, roof tiles and bricks which were made by baking clay were produced for the first time and celadon artworks were produced and the celadon roof tiles were used narrowly. Various kinds of celadon artwork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and used as interior or exterior materials in construction.
      This research is about production of acupressure therapy tile for foot made of celadon, which is used various purposes as architectural materials and has been represented well-being trend, as one example of the sudden change of world.
      Since 20th century as the period of wealth and convenience turned into the period of materialism, well-being trend has been spreaded to the modern men who have changed their life style doing exercise, taking rests, or having heath mea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bout creation of practical ceramic production which can be fulfilled the needs of modern men who live in this world changing rapidly.
      The modern men who live in this industrialized society can feel the emotion of traditional culture with Wadang pattern applied to celadon solid tile for acupressure therapy for foot, so this celadon solid tile can be produced as one of cultural products which represent the beauty of well-being and visual art.
      The acupressure roads can be seen easily in the famous places or parks. The tourists seem to enjoy walking with naked feet on the acupressure road which surface is studded with rounded stones or rocks and pieces of wood.
      If Celadon acupressure tile is used for the walking road in Gangjin, the celadon walkway can attract more tourists and help to promote celadon more wide.
      Also, celadon acupressure walkway can inform the superiority of celadon, after walking on the street, the tourists may want to buy celadon souvenir, so the celadon can be high value product in this country.
      People who live in modern world can feel the emotion of Korean tradition with celadon solid tile for acupressure therapy for foot designed with Wadang pattern which is reinterpreted and applied on, so this tile must be a representable cultural product which has beauty of well-being trend and visual art.
      The vehicle from Hyundai, or electric device from Samsung can be an honorary embassador out of Korea. The hope is put in this research, which is this celadon solid tile is able to let people know our tradition, and be the role to rise value and capability of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 論 ………………………………………… 1
      • 1. 硏究目的 ………………………………………… 1
      • 2. 硏究範圍 및 方法………………………………… 2
      • Ⅱ. 本 論 ………………………………………… 3
      • 1. 타일(陶版)의 期初硏究 …………………………… 3
      • Ⅰ. 序 論 ………………………………………… 1
      • 1. 硏究目的 ………………………………………… 1
      • 2. 硏究範圍 및 方法………………………………… 2
      • Ⅱ. 本 論 ………………………………………… 3
      • 1. 타일(陶版)의 期初硏究 …………………………… 3
      • 1) 타일(陶版)의 정의 및 기원……………………… 3
      • 2) 타일(陶版)의 分類 및 기능……………………… 10
      • 3) 建築陶瓷로서의 타일(陶版)……………………… 14
      • 2. 靑瓷陶版 및 입체타일에 관한 考察 ……………… 16
      • 1) 高麗靑瓷 도판(陶版) …………………………… 16
      • 2) 傳統기법을 이용한 타일 開發 사례……………… 20
      • 3) 입체타일 및 전(塼)돌 …………………………… 23
      • 4) 瓦當 ……………………………………………… 25
      • 3. 발 指壓用品의 現況 ………………………………… 30
      • 1) 웰빙 産業의 前望 ………………………………… 30
      • 2) 발지압의 효능 …………………………………… 30
      • 3) 발지압용품의 현황 조사………………………… 35
      • 4. 청자 지압용 입체타일 시작품 제작 ……………… 40
      • 1) 시작품의 디자인 의도 …………………………… 40
      • 2) 제작과정 ………………………………………… 40
      • 3) 시작품 해설……………………………………… 56
      • 4) 활용방안 ………………………………………… 61
      • Ⅲ. 結 論 …………………………………………… 67
      • 參 考 文 獻 …………………………………… 69
      • ABSTRACT ………………………………………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