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겨우살이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 특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Dietary Korean Mistletoe on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Broil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58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산 참나무 겨우살이를 육계에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및 혈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1일령 Ross 수평아리를 4처리 4반복, 반복당 30수씩 총 480수를 공...

      본 연구는 한국산 참나무 겨우살이를 육계에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및 혈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1일령 Ross 수평아리를 4처리 4반복, 반복당 30수씩 총 480수를 공시하였고, 실험 설계는 무항생제 사료, 항생제 첨가 사료, 겨우살이 0.5% 및 1.0% 처리구로 나누어 총 49일간 사육하였다. 실험 전 기간 처리구간에 사료 섭취량과 일당 증체량에 있어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실험 종료시 공장의 길이에 있어서 겨우살이 1.0%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이나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실험 35일째, 맹장내 살모넬라 균수는 겨우살이를 급여함으로써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겨우살이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림프구와 단핵구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 또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겨우살이의 사료 내 첨가급여는 육계에서 생산성 및 혈액 성상에 아무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항생제 대체 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mistletoe (KM) on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broiler chickens. A total of four hundred eighty, 1-d-old male broiler chicks (Ross) were divided into 4 groups with 4 replic...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mistletoe (KM) on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broiler chickens. A total of four hundred eighty, 1-d-old male broiler chicks (Ross) were divided into 4 groups with 4 replicates of 30 birds each. The treatments were NC (antibiotics-free diet), PC (NC diet added antibiotics), 0.5% KM (NC diet added 0.5% of KM) and 1.0% KM (NC diet added 1.0% of KM), and the birds were raised for 49 day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among treatments. On d 49, the relative length of jejunum in 1.0% KM tended to be increased or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compare to those of other groups. On d 35, the colony forming unit of Salmonella spp. of ceca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by feeding KM. The counts of lymphocyte of KM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compare to those of the P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브제품(Animunin Power)의 급여가 산란계의 계란품질과 혈액성상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31 (31): 237-244, 2004

      2 "한방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육계의 Salmonella 방제 효과" 43 : 41-47, 2003

      3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Viscum album coloratum; KM-110)의 면역학적 활성" 19 : 571-581, 1997

      4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M11C(비렉틴 구성물질)의 생쥐 비장 대식세포로부터 Tumor Necrosis Factor-α 분비 효과와 생쥐에 Sarcoma 180으로 유도된 육종암의 성장 억제효과" 34 (34): 210-217, 2003

      5 "추출물의 동물체 내에서의 암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진수1994한국산겨우살이

      6 "생약제제(Miracle20)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률,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 43 : 671-680, 2001

      7 "사료중 Blended Essential Oil (CRINA)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계육 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45 (45): 777-786, 2003

      8 "개량 한방제제(Herb Mix Gold) 첨가가 산란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34 (34): 37-42, 2007

      9 "The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 M11C(non-lectin components) on TNF-α release and expression from macrophages" 22 (22): 207-215, 2000

      10 "The European ban on growth-promoting antibiotics and emerging consequences for human and animal health" 52 : 159-161, 2003

      1 "허브제품(Animunin Power)의 급여가 산란계의 계란품질과 혈액성상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31 (31): 237-244, 2004

      2 "한방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육계의 Salmonella 방제 효과" 43 : 41-47, 2003

      3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Viscum album coloratum; KM-110)의 면역학적 활성" 19 : 571-581, 1997

      4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M11C(비렉틴 구성물질)의 생쥐 비장 대식세포로부터 Tumor Necrosis Factor-α 분비 효과와 생쥐에 Sarcoma 180으로 유도된 육종암의 성장 억제효과" 34 (34): 210-217, 2003

      5 "추출물의 동물체 내에서의 암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진수1994한국산겨우살이

      6 "생약제제(Miracle20)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률,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 43 : 671-680, 2001

      7 "사료중 Blended Essential Oil (CRINA)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계육 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45 (45): 777-786, 2003

      8 "개량 한방제제(Herb Mix Gold) 첨가가 산란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34 (34): 37-42, 2007

      9 "The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 M11C(non-lectin components) on TNF-α release and expression from macrophages" 22 (22): 207-215, 2000

      10 "The European ban on growth-promoting antibiotics and emerging consequences for human and animal health" 52 : 159-161, 2003

      11 "Stimulation of the specific immune system by mistletoe extracts" 8 : 33-37, 1997

      12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8.e" SAS Institute Inc, Cary NC 2002

      13 "Melvin JS 1984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Cellular and Chemical Constituents of Blood."

      14 "Mechanisms of lectin (Phytohemagglutinin)-induced growth in small intestinal epithelial cells" 64 : 169-178, 2001

      15 "In vivo-induction of antibodies to mistletoe lectin-Ⅰ and viscotoxin by exposure to aqueous mistletoe extracts: a randomised double-blinded placebo controlled phase Ⅰ study in healthy individuals" 7 (7): 155-163, 2002

      16 "Herbs and botanicals as feed additives in monogastric animals" 16 : 282-289, 2003

      17 "Effect of mushroom and herb polysaccharides, as alternative for an antibiotics, on the cecal microbial ecosystem in broiler chickens" 83 : 175-182, 2004

      18 "Effect of Chinese herbal polysaccharides on the immunity and growth performance of young broilers" 82 : 364-370, 2003

      19 "Cellular and humoral adjuvant activity of lectins isolated from Korean mistletoe(Viscum album coloratum)" 1 (1): 881-889, 2001

      20 "Becker H 1986 Botany of European mistletoe" 2-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6 0.64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