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omato의 品質에 關한 硏究  :  第一報 開化時期別 成熱日數와 積算溫度가 Tomato의 果實硬度에 미치는 影響 Part 1. The effect of blooming period number of repening day and accumulated temperature on hardness of tomato = Study on the Quality of Tomato(dycnpersicon esculentum, var commu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84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Tomato栽培에서 開化時의 평균온도가 成熟期間및 硬度에 미치는 影響을 규명코저 本 試驗을 수행하였던바 그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化時期에 關係없이 平均溫度가 높을수록 成...

      Tomato栽培에서 開化時의 평균온도가 成熟期間및 硬度에 미치는 影響을 규명코저 本 試驗을 수행하였던바 그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化時期에 關係없이 平均溫度가 높을수록 成熟期間이 단축되었다.
      2. 成熟期間이 지연될수록 果實의 硬度응 높아졌다.
      3. 開化가 同一할 경우 적당한 種算溫度범위내에서 80%程度가 1∼2日內에 成熟되는 경향이었다.
      4. 成熟期間은 35日에서 60日 程度였고 溫度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average temperature in flowering on ripening period and hardness in culture of tomato, thi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ithout relation with flowering period. average temperature was t...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average temperature in flowering on ripening period and hardness in culture of tomato, thi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ithout relation with flowering period. average temperature was the higher, ripening periods were the shorter.
      2. As the ripening period was postponed hardness of fruits was increased.
      3. When flowering at the same time it was about 80% to ripen in a day or two.
      4. It was taken about 35∼60days to fully ripen an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ripening period and tempera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