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기업 적용을 위한 학습민첩성의 개념정의와 구성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13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학습민첩성은 Lombardo and Eichinger(2000)가 그 개념을 최초로 주창한 이래 다양한 관점에서 개념정의와 구성요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국내기업에의 적용을 위한 목적에서의 연구는 ...

      [연구목적] 학습민첩성은 Lombardo and Eichinger(2000)가 그 개념을 최초로 주창한 이래 다양한 관점에서 개념정의와 구성요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국내기업에의 적용을 위한 목적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이에 실천적 관점에서 국내기업에의 적용을 위한 학습민첩성의 개념정의와 구성요인을 탐색해보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국내 인적자원개발 관련 산학연 전문가를 활용한 델파이 기법, 초점집단면접을 연구방법으로 채택함으로써 삼각검증을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사전적 구성요인을 도출하였고, 산학연 전문가 23명으로부터 3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통하여 개념정의와 구성요인을 확인하였고, 2차와 3차 델파이조사 뒤에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최종적인 개념정의와 구성요인을 확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내용타당도비율(CVR)을 파악하여 델파이조사의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국내기업에의 실질적 적용을 위한 학습민첩성의 개념적 정의에 있어서 포괄적 접근 관점에서의 개념정의가 이루어졌다. 구성요인은 크게 성장지향, 자아성찰, 관계지향, 변화지향, 유연한 사고, 도전적 실험의 6개가 도출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학습민첩성 구성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실천적 관점에서의 교육과정 개발과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Since Lombardo and Eichinger(2000) advocated the concept of learning agility, a lot of studies had been conducted worldwide. But the research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o Korean compani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

      [Purpose] Since Lombardo and Eichinger(2000) advocated the concept of learning agility, a lot of studies had been conducted worldwide. But the research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o Korean compani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constructs of learning agility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triangulation by adopting literature review, 3-round Delphi method, and 2-round focus group interview. 23 experts from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ies participated in the Delphi survey. CVR(Content Validity Ratio) was used as a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constructs.
      [Findings] The characteristic of learning agility concept derived from Delphi method and FGI is that it takes the comprehensive approach. 6 major constructs of growth-oriented, self-reflective, relationship-oriented, change-oriented, flexible thinking, and challenging experiments are derived.
      [Implications] Identified constructs provide a foundation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rrelation analysi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As a result, it can help reinforce learning agility in Korean compan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경민, "핵심인재 육성 프로그램 현황 및 시사점 :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8 (8): 71-87, 2006

      2 김택진, "학습민첩성이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8 (48): 27-46, 2016

      3 임창현, "학습민첩성(Learning Agility)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19 (19): 81-108, 2017

      4 류혜현, "학습민첩성 연구의 쟁점과 과제" 한국인력개발학회 18 (18): 119-147, 2016

      5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7) : 191-214, 2007

      6 탁진국, "심리검사 :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8

      7 고경순, "델파이 조사방법의 유용성에 관한 실증적 고찰" 4 : 33-64, 2000

      8 노승용,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 : 전문적 통찰로 미래예측하기" 299 : 53-62, 2006

      9 임창현, "국내 기업 임원의 리더십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특성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5 (5): 33-59, 2010

      10 Billett, S., "Workplace participatory practices : conceptualising workpl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16 (16): 312-324, 2004

      1 서경민, "핵심인재 육성 프로그램 현황 및 시사점 :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8 (8): 71-87, 2006

      2 김택진, "학습민첩성이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8 (48): 27-46, 2016

      3 임창현, "학습민첩성(Learning Agility)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19 (19): 81-108, 2017

      4 류혜현, "학습민첩성 연구의 쟁점과 과제" 한국인력개발학회 18 (18): 119-147, 2016

      5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7) : 191-214, 2007

      6 탁진국, "심리검사 :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8

      7 고경순, "델파이 조사방법의 유용성에 관한 실증적 고찰" 4 : 33-64, 2000

      8 노승용,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 : 전문적 통찰로 미래예측하기" 299 : 53-62, 2006

      9 임창현, "국내 기업 임원의 리더십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특성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5 (5): 33-59, 2010

      10 Billett, S., "Workplace participatory practices : conceptualising workpl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16 (16): 312-324, 2004

      11 Van Velsor, E., "Why executives derail : Perspectives across time and cultures" 9 (9): 62-72, 1995

      12 McCall, M. W., "What makes a top executive?" 17 (17): 26-31, 1983

      13 Bedford, C. L., "The role of learning agility in workplace performance and career advancement" University of Minnesota 2011

      14 Dries, N., "The role of learning agility and career variety in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high potential employees" 41 (41): 340-358, 2012

      15 Drucker, P., "The practice of management" HarperCollins 1954

      16 McCauley, C.,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leadership: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imperatives confronting today’s leaders" Jossey-Bass 347-383, 2001

      17 McCall, M. W., "The lessons of experience: How successful executives develop on the job" Lexington Books 1988

      18 De Meuse, K. P.,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 assessment of learning agility" Korn/Ferry International 2011

      19 Kovach, B. E., "The derailment of fast-track managers" 41-48, 1986

      20 Birdir, K., "Research chefs’ competencies : a Delphi approach" 12 (12): 205-209, 2000

      21 Hezlett, S. A., "Prioritizing the learning agility research agenda" 5 (5): 296-301, 2012

      22 Lombardo, M. M., "Preventing derailment : What to do before it’s too late"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1989

      23 Mitchinson, A., "Learning agility? : Spanning the rigor-relevance divide" 5 (5): 287-290, 2012

      24 Swisher, V., "Learning agility: the “X” factor in identifying and developing future leaders" 45 (45): 139-142, 2013

      25 Eichinger, R. W., "Learning agility as a prime indicator of potential" 27 : 12-16, 2004

      26 DeRue, D. S., "Learning agility : many questions, a few answers, and a path forward" 5 (5): 316-322, 2012

      27 De Meuse, K. P., "Learning agility : a construct whose time has come" 62 (62): 119-130, 2010

      28 DeRue, D. S., "Learning agility : In search of conceptual clarity and theoretical grounding" 5 (5): 258-279, 2012

      29 De Meuse, K. P., "Leadership development : exploring, clarifying, and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learning agility" 5 (5): 280-286, 2012

      30 McCall, M. W., "Identifying leadership potential in future international executives : Developing a concept" 46 (46): 49-, 1994

      31 Lombardo, M. M., "High potentials as high learners" 39 (39): 321-329, 2000

      32 Doz, Y. L., "Fast strategy : how strategic agility will help you stay ahead of the game" Pearson Education 2008

      33 Lombardo, M. M., "Explanations of success and derailment in upper-level management positions" 2 (2): 199-216, 1988

      34 Dewey, J., "Experience and education" Collier Books 1938

      35 Capretta, C., "Executive derailment: Three cases in point and how to prevent it" 48-56, 2008

      36 Spreitzer, G. M., "Early identification of international executive potential" 82 (82): 6-29, 1997

      37 Garvin, D., "Building learning organizations" 71 (71): 78-91, 1993

      38 Connolly, J. J.,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 measure of learning agility"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2001

      39 Clark, T. R., "Agile learning : thriving in the new normal" 8 (8): 18-21, 2009

      40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 563-575, 1975

      41 Leslie, J. B., "A look at derailment today: North America and Europe"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1996

      42 Trilling, B., "21st century skills :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Jossey-Bass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교육논총 -> 경영교육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8 1.351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