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통일 이후 일-가족 조화정책과 여성경제활동 =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and Women’s Employment after the Unification of Germany with a Focus on Gender Segreg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9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독일통일(1990년) 이후 노동시장정책 및 가족지원정책과 연계해 시행된 일-가족 조화정책이 여성경제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하여 연구한 글이다.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본 논문은 독일통일(1990년) 이후 노동시장정책 및 가족지원정책과 연계해 시행된 일-가족 조화정책이 여성경제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하여 연구한 글이다.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독일의 일-가족 조화정책은 여성이 가사노동과 자녀양육을 전담하고 남성은 가족부양자로서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성별분업에 토대를 두고 있다. 성별분업은 여성차별을 내포한 분업구조이다. 여성의 낮은 임금과 고위직의 어려운 진출이 그 예가 되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가족 조화정책은 한계를 보인다. 둘째, 성별에 의거한 노동시장정책은 여성의 노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여성은 서비스분야, 저임금 그리고 시간제 근무에 집중되어 있고 노동시장에 수직적으로 통합되었다. 자녀보육시설이 확보되지 않아 여성은 전일제 근무가 어렵다. 그래서 대부분 여성은 연금이나 사회보험 등에 가입이 어렵고 남편에게 재정적으로 의존한다. 수입이 낮은 여성은 경제적 빈곤과 후에는 노후빈곤을 면치 못한다. 셋째, 일-가족 조화정책은 여성의 증가된 경제활동욕구를 만족시키고 남녀평등을 목적으로 하지만, 그 실현은 아직도 먼 곳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and women’s employment after the unification of Germany (1990) with a focus on gender segregati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German work-family bal...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and women’s employment after the unification of Germany (1990) with a focus on gender segregati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German work-family balance policy encourages a division of work based on gender segregation. The woman is in charge of housework and care of children. The man is a breadwinner on the labor market. This division of work discriminates against women expressed by low incomes and difficulties in being promoted into high positions.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stands in the way of solving these problems. Second, the labor market policy follows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Women are concentrated in the service sector. They are vertically integrated in the labor market based on gender discrimination: they work in part time, low-wage jobs that often lack pensions and social insurance. They must combine housework and child-care. Child-care facilities have not developed enough to allow women to work full time. Thus they become financially dependent on the husband. Woman with low incomes leads to poverty in their declining years. Third,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does not offer a solution of women’s problems. Gender equality has yet to be fully realiz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경제활동의 개념적 이해와 성별분업에 대한 이론적 논의
      • 3. 독일통일 후의 일-가족 조화정책과 가족지원정책
      • 4. 독일통일 후의 여성 경제활동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경제활동의 개념적 이해와 성별분업에 대한 이론적 논의
      • 3. 독일통일 후의 일-가족 조화정책과 가족지원정책
      • 4. 독일통일 후의 여성 경제활동
      • 5.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