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동남해지역 해양사와 중심 포구의 이동 - 조선 초기 부산포 개항과 관련하여 - = Sea History of the Southeast Coast and Movement of the Central Port during the Goryeo Dynasty - In connection with the Opening of the Port of Busanpo(釜山浦)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42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 태종 7년(1407)에 내이포(乃而浦)와 함께 개항하는 부산포의 역사적 연원을 살펴보고자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이 포함된 ‘동남해 해양사’의 관점에서 고려시대 동남...

      본고는 조선 태종 7년(1407)에 내이포(乃而浦)와 함께 개항하는 부산포의 역사적 연원을 살펴보고자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이 포함된 ‘동남해 해양사’의 관점에서 고려시대 동남해의 포구와 해양활동을 살펴보았다. 고려시대 동남해지역은 일본과의 외교와 통상활동의 중심 권역으로, 그 중심지는 남포(南浦)가 있던 김해와 합포(合浦)가 있던 마산지역이었다. 12~13세기 중반에는 객관(客館)과 동남해도부서(東南海都部署)가 있던 금주(金州)에서 대일 외교·통상 업무를 관할하였다. 13세기 후반의 원간섭기 이후는 왜구 침입의 방어 거점인 합포진변만호부가 있던 회원현(會原縣)이 동남해 수군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신라~조선 초기 동남해지역 중심 포구의 이동 양상을 살폈다. 신라의 대외 교섭은 울주 태화강변의 율포(栗浦)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조선왕조 개창 이후 태종 7년에는 흥리왜인(興利倭人)을 위해 내이포와 부산포를 개항하였고, 16세기 중엽이 되면 부산포 단일 왜관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신라~조선 초기 동남해지역의 중심 고을과 포구는 울주(율포), 금주(남포), 회원현(합포) 그리고 동래현(부산포)으로, 오늘날의 울산-김해-창원(옛마산)-부산 순으로 이동하였다. 이러한 동남해 해양사의 중심 포구의 이동 속에서 부산포의 개항을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the opening of Busan Port along with Naeipo in the 7<sup>th</sup> year of King Taejong’s reign (1407) during the Joseon Dynas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the opening of Busan Port along with Naeipo in the 7<sup>th</sup> year of King Taejong’s reign (1407) during the Joseon Dynas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ports in the southeast coast and marine activities during the Goryeo Dynasty from the ‘sea history of the southeast coast’ perspective, including the Busan area. The southeast coast region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the central district for foreign policies and trading activities toward Japan, and the center was Gimhae where Nampo was located and Masan where Happo was located.
      To go back to the Silla Dynasty to examine the aspects of changes in the central ports in the southeast coastal region, foreign negotiation was made in Yulpo in the Taehwa riverside in Ulju. Next, in the first half and the middle period of the Goryo Dynasty, Geumju where the Southeast Sea and Islands Division and guest houses were located supervised foreign policies and trade affairs toward Japan. After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in the late 13<sup>th</sup> century, Hoewon-hyeon where the defensive work against Japanese invasion, Jinbyeon Manho-bu in Happo was located was the center base of naval forces’ activities in the southeast coast. Also, after the opening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7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 Naeipo and Busan Port were opened for Heungri-woein (Japanese Traders), and in the mid-16th century, the single Waegwan period was opened in Busan Port.
      As above, between the Silla Dynasty and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central counties and ports in the southeast coast region moved from Ulju (Yulpo) through Geumju (Nampo) and Hoewon-hyeon (Happo) to Dongnae-hyeon (Busanpo), respectively, Ulsan, Gimhae, Changwon (Former Masan) and Busan toda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pening of Busan Port in changes in the central ports in the southeast coast Sea histo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항도부산, 20" 2004

      2 김원규, "합포병영성과 마산" 27 : 2015

      3 해양수산부, "한국의 해양문화 3-상·하(동남해역)" 2002

      4 김현라, "통일신라·고려시대 부산지역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23 : 2007

      5 "태종실록"

      6 "태조실록"

      7 이종봉, "조선전기 薺浦의 倭人과 활동" 부경역사연구소 (22) : 57-102, 2008

      8 심민정, "조선 전기 낙동강 유역 水站에서 보이는 倭館的 성격 - 낙동강 하류 구간 수참을 중심으로 -"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6) : 1-33, 2017

      9 고석규, "장보고시대의 포구조사"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5

      10 구산우, "일본 원정, 왜구 침략과 경상도 지역의 동향" 한국중세사학회 (22) : 217-249, 2007

      1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항도부산, 20" 2004

      2 김원규, "합포병영성과 마산" 27 : 2015

      3 해양수산부, "한국의 해양문화 3-상·하(동남해역)" 2002

      4 김현라, "통일신라·고려시대 부산지역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23 : 2007

      5 "태종실록"

      6 "태조실록"

      7 이종봉, "조선전기 薺浦의 倭人과 활동" 부경역사연구소 (22) : 57-102, 2008

      8 심민정, "조선 전기 낙동강 유역 水站에서 보이는 倭館的 성격 - 낙동강 하류 구간 수참을 중심으로 -"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6) : 1-33, 2017

      9 고석규, "장보고시대의 포구조사"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5

      10 구산우, "일본 원정, 왜구 침략과 경상도 지역의 동향" 한국중세사학회 (22) : 217-249, 2007

      11 김현철, "울산 반구동유적" 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2009

      12 "세종실록지리지"

      13 김창석, "삼국시기 신라 外港의 변천과 그 배경" 도서문화연구원 (45) : 7-37, 2015

      14 "삼국사기"

      15 홍연진, "부산사 연구현황" 10 : 1993

      16 "동사강목"

      17 "동국여지승람"

      18 "대동지지"

      19 "대동여지도"

      20 주경업, "낙동강 물길 따라 역사 따라-역사와 문화 현장 체험-" 부산광역시 2010

      21 김광철, "고려시대 합포 지역사회" 한국중세사학회 (17) : 5-25, 2004

      22 한정훈, "고려시대 조운제와 마산 석두창" 한국중세사학회 (17) : 27-59, 2004

      23 한정훈, "고려시대 연안항로에 관한 기초적 연구" 부산경남사학회 (77) : 1-32, 2010

      24 구산우, "고려시기 김해의 지방행정구조" 한국중세사학회 (54) : 71-110, 2018

      25 "고려사절요"

      26 "고려사"

      27 朴宗基, "고려 말 왜구와 지방사회" 한국중세사학회 (24) : 173-207, 2008

      28 "경상도지리지"

      29 "경상도속찬지리지"

      30 "경국대전"

      31 "가정집"

      32 이종봉, "高麗時代 對日交流와 釜山" 부경역사연구소 0 (0): 81-117, 2004

      33 김동철, "15세기 부산포왜관에서 한일 양국민의 교류와 생활" 부경역사연구소 (22) : 27-56,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1.44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