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老乞大⟫系列的名量词研究 ―以名量词的历时演变为中心― = The research of the measure words for nouns found in Laoqida Se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539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老乞大⟫시리즈의 4종 판본인⟪原本老乞大⟫, ⟪老乞大谚解⟫, ⟪老乞大新释⟫, ⟪重刊老乞大⟫의 비교를 통해 명량사 체계의 통시적인 변화를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

      본 논문은 ⟪老乞大⟫시리즈의 4종 판본인⟪原本老乞大⟫, ⟪老乞大谚解⟫, ⟪老乞大新释⟫, ⟪重刊老乞大⟫의 비교를 통해 명량사 체계의 통시적인 변화를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명량사 구조의 통시적인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老乞大⟫시리즈의 4종 판본 중의 명량사 구조는 이미 매우 발전한 단계에 있었는데 元明清 시기에 “数+量+名”구조의 사용은 보편적이고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통용량사 “个”의 통시적인 변화를 고찰했다. “个”는 元明清의 각 시기에 사용 빈도가 다른 명량사보다 높았다. “個”의 쓰임새에 따라 본다면, 사람, 동물, 물품, 장소, 시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사람을 지칭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4종 판본은 거의 같았다. “个”의 이러한 용법은 현대한어 중의 용법과 대체로 일치한다. 셋째, 접미사“兒”가 명량사 뒤에 쓰인 현상에 대해 고찰했다. 元明시기의 ⟪老乞大⟫에서 접미사“儿”가 명량사 뒤에 쓰인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런 현상은 고립된 언어현상이 아니고 그 당시 어휘체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것은 元明시기⟪老乞大⟫의 언어가 당시 북방구어의 특징을 많이 지니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점차적으로 감소해왔고 현대 한어에서는 드물게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刘世儒, "魏晋南北朝量词研究" 中华书局 1965

      2 张赬, "金元时期“名量词+儿”的用法" (2) : 1993

      3 "现代汉语频率词典" 北京语言学院出版社 1985

      4 何杰, "现代汉语量词研究" 北京语言大学出版社 2008

      5 郭先珍, "现代汉语量词用法词典" 语文出版社 2001

      6 王力, "汉语语法史" 商务印书馆 2000

      7 王力, "汉语史稿" 中华书局 2004

      8 石毓智, "句子中心动词及其宾语之后谓词性成分的变迁与量词语法化的动因" (1) : 1998

      9 郑光, "原本老乞大"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2002

      10 叶桂郴, "六十种曲明代量词研究" 岳麓书社出版 2008

      1 刘世儒, "魏晋南北朝量词研究" 中华书局 1965

      2 张赬, "金元时期“名量词+儿”的用法" (2) : 1993

      3 "现代汉语频率词典" 北京语言学院出版社 1985

      4 何杰, "现代汉语量词研究" 北京语言大学出版社 2008

      5 郭先珍, "现代汉语量词用法词典" 语文出版社 2001

      6 王力, "汉语语法史" 商务印书馆 2000

      7 王力, "汉语史稿" 中华书局 2004

      8 石毓智, "句子中心动词及其宾语之后谓词性成分的变迁与量词语法化的动因" (1) : 1998

      9 郑光, "原本老乞大"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2002

      10 叶桂郴, "六十种曲明代量词研究" 岳麓书社出版 2008

      11 褚福侠, "元曲“量词+儿”用法考" 27 (27): 2009

      12 邓帮云, "元代量词语法特征概说" 24 (24): 2009

      13 彭文芳, "元代量词研究札记" (6) : 2004

      14 정광, "元代汉语⟪老乞大⟫" 33 : 1999

      15 竹越, "佐藤进教授还历纪念-中国语学论集" 好文出版株式会社 2007

      16 贝罗贝, "上古、中古汉语量词的历史发展" 22 : 1998

      17 "⟪老乞大谚解⟫奎章阁资料丛书 语学篇(二)"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18 贝罗贝, "⟪老乞大⟫的个体量词和语言循环现象之关系" 10 : 2010

      19 刘玉朝, "⟪元刊全相平话五种⟫量词研究" 河北师范大学 2008

      20 "⟪<老乞大新释><重刊老乞大>⟫奎章阁资料丛书 语学篇(二)"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21 李泰洙, "<老乞大>四种版本语言研究" 语文出版社 2003

      22 康寔镇, "<老乞大><朴通事>研究" 台湾学生书局 1985

      23 양우진, "<老乞大><朴通事>研究" 제인앤씨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5 0.299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