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탈산업화에 따른 선진 공업도시의 지역재생정책 연구: 이탈리아의 자동차도시 토리노를 사례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664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선진공업국의 자동차 도시, 이탈리아 토리노에 관한 연구이다. 토리노는 이탈리아 최대의 자동차 회사, 피아트(FIAT)의 본사와 주 공장이 있는 도시인데 필자가 이 도시에 관심을 ...

      본 연구는 선진공업국의 자동차 도시, 이탈리아 토리노에 관한 연구이다. 토리노는 이탈리아 최대의 자동차 회사, 피아트(FIAT)의 본사와 주 공장이 있는 도시인데 필자가 이 도시에 관심을 갖게 된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필자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자동차 도시인 울산의 인접지역에서 출생, 성장하면서 울산의 성장과정을 목격하였다. 무계획적으로 조성된 석유화학단지, 아름다운 해안을 매립하여 대규모 조선소 및 자동차 공업단지를 조성하는 것 등을 보면서 필자는 먼 훗날 그러한 공업단지가 노후화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면 그 곳을 어떻게 처리하게 될 지 궁금하게 생각했다. 필자는 그 후 3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여러 기회를 통해 우리나라보다 먼저 산업화된 선진 공업국들이 탈산업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응방식 등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그 경험을 보다 학문적으로 발전시켜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데 정책적으로, 이론적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둘째, 필자는 지난 5, 6년 동안 유럽 굴지의 철강산업지역이었던 독일의 루르지역과 프랑스의 로렌지역에 대해 연구하면서 철강산업도시가 아닌 유럽의 공업도시, 그리고 독일과 프랑스가 아닌 다른 나라의 산업도시로 연구 영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그래서 올해에는 이탈리아의 자동차 도시인 토리노를 대상으로 연구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탈리아의 자동차 산업은 우리나라의 자동차 공업에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현대자동차의 포니가 대중화되기 전에 우리나라에 수입된 승용차가 바로 이탈리아 자동차 회사 피아트가 개발한 “브리샤”였고, 현대자동차 최초의 자동차 모델 “포니”를 디자인한 회사, 주지아로도 토리노에 위치하고 있다.
      토리노는 이탈리아에서 일찍부터 공업화가 진전되어 이탈리아 경제의 성장과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던 북부 이탈리아, 즉 제3의 이탈리아 피에몬테 주(州)의 수도로, 6,830Km2의 면적에 약 91만의 인구를 가진, 울산과 같은 규모의 도시이다. 토리노는 역사적 뿌리가 깊어서 BC 218년 카르타고 왕국 한니발의 침략과 로마군의 정복기를 거쳐 서기 415년 경부터는 로마의 지배하에서 주교관구가 되었다가 1510년 이후로는 대주교관구가 되었다. 따라서 시내에는 교회와 성당, 성벽, 왕실 가족들의 무덤 등과 같은 유적이 많다.
      토리노는 이탈리아 자동차공업의 중심지로 이탈리아 자동차 생산량의 80%이상을 차지하는 피아트와 란차의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피아트는 1899년 토리노에서 이탈리아 최초의 자동차 회사로 출발하여 1919년부터 이미 종업원 4만 명, 1939년에는 6만 명을 가진 기업이 되었고, 최근에는 국내외적으로 총 22만 명의 종업원을 거느리는 회사로 성장하였다. 피아트는 토리노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국가 전체 차원에서도 중요한 회사이다. 그러나 피아트는 탈산업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1980년대부터 승용차와 상용차 생산 중심에서 철강, 경합금, 부품 생산 등의 분야로 사업을 다각화 했고, 생산 거점도 국제화하여 토리노에의 집중도가 많이 떨어졌다.
      1980년대의 구조조정과정에서 토리노는 “국제도시 토리노, 도시를 부흥시키기 위한 전략적 계획”이란 사업을 기획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을 추진하기 “국제 토리노 협회”를 결성하여 84개의 사업을 선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들은 토리노를 확실히 변화시키고 있는 바, 주 정부는 훈련과 연구를 위한 정부가 되고, 문화, 관광, 교역, 스포츠 등과 같은 산업을 육성하여 주민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위와 같은 사회, 경제, 문화적 자산을 가진 토리노는 1970, 80년대에 어떠한 경제적 위기를 겪었으며, 지역의 정치, 경제계는 어떻게 대처하였으며, 그 결과는 어떠한 지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해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이다. 본 연구는
      1) 1970, 80년대 토리노의 탈산업화 형태를 규명하고,
      2) 그로 인한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3) 그에 대비한 정책의 내용과 집행과정, 성과를 분석하고,
      4) 그 과정에 참여하는 혁신주체들을 규명하며,
      5) 그 주체들간의 사회적 관계(Social Network)를 분석하고,
      6) 그러한 경험이 타 공업지역 (울산 등)에 제공하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며,
      7) 사건구조분석, 사회 네트워크 분석기법 등 방법론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한편,
      8) 토리노의 경험이 제공하는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