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순자(荀子) 군자관의 실천적 지성인상-공·맹(孔孟) 군자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practicing intellectual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Xun Zi`s view of a gentleman-Comparison with the Confucius and Mencius` 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14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학(儒學)에서는 성숙한 인격자나 지도자를 가리켜 군자(君子)라고 부르고 있다. 군자는 현실 속의 이상형으로, 바람직한 지성인의 인격이다. 군자가 되기 위한 학문은 도덕이고 수양이며, ...

      유학(儒學)에서는 성숙한 인격자나 지도자를 가리켜 군자(君子)라고 부르고 있다. 군자는 현실 속의 이상형으로, 바람직한 지성인의 인격이다. 군자가 되기 위한 학문은 도덕이고 수양이며, 더 나아가 현실 비판을 통하여 전개되는 실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순자(荀子)에 의하면, 군자다움의 근본은 도덕이며, 도덕적 실천은 지성인으로서의 자신의 임무이다. 도덕의 극치로 표현되는 예(禮)는 이론적 지식으로부터 행동적 실천에 이르는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것으로, 학문과 교육을 통하여 선비와 군자 그리고 성인이 되기 위한 필수조건이 된다. 또한, 군자는 정치가가 되어야 하고 정치적인 규율에 따라 일처리를 해야 한다. 군자는 일처리나 대인관계에 있어서의 내강외유적인 자세를 견지하여야 하며, 현실감과 효율성을 갖추어야 한다. 순자(荀子)가 제시한 군자의 주된 가치관과 군자가 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은 실천적 지성인상으로서의 진면목을 드러내고 있다. 순자의 군자관은 도덕적 실천의 측면에서 공자와 맹자를 중심으로 하는 유학의 군자관을 계승하고 있지만, 정치적 실천의 측면에서는 차별화되는 지점도 분명히 존재한다. 순자의 군자론은 이전까지 도덕 이상주의적 입장에 머무른 군자를 현실 정치가의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onfucianism, a mature man of character or leader is called as a gentleman. A gentleman is an ideal man in the real world and desirable intellectual character. A scholarship to be a gentleman is a moral and self-discipline, and furthermore it n...

      In the Confucianism, a mature man of character or leader is called as a gentleman. A gentleman is an ideal man in the real world and desirable intellectual character. A scholarship to be a gentleman is a moral and self-discipline, and furthermore it need to be supported by practice from criticism of reality. According to Xun Zi, the basis of being a gentleman is moral and moral practice is a duty as a gentleman. The ritual which is represented by the ultimate in moral, include everything from theoretical knowledge to behavioral practice and is a prerequisite to be a classical scholar, a gentleman, and a saint through scholarship and education. A gentleman should be a politician and do work according to the political regulation. A gentleman should stick to be an iron hand in a velvet glove at work an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have a sense of reality and effectiveness. The gentleman`s core values and various methods to be a gentleman, presented by Xun zi, show real worth of the practicing intellectual image. While Xun zi`s view of a gentleman succeed to the Confucianism of Confucius and Mencius in view of moral practice, it is clearly differentiated in the view of political practice. Xun zi positively interpret a gentleman as a practical politician who belonged to the moral idealism in the pas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지준호, "한국전통사상의 현대적 계승을 통한 바람직한 청소년의 가치관 모색" 유교문화연구소 1 (1): 5-36, 2010

      3 勞思光, "중국철학사" 탐구당 1986

      4 황지원, "인성론의 기반 위에서 본 순자의 공부론" 11 : 2003

      5 천병돈, "인간의 자연성과 사회성" 한국동서철학회 (26) : 163-188, 2002

      6 이상익, "유교의 忠恕論과 自由主義" 한국철학회 (80) : 5-30, 2004

      7 지준호, "순자의 학문관 고찰" 한국철학사연구회 (46) : 211-233, 2015

      8 이운구, "순자 1, 2" (주)도서출판 한길사 2006

      9 고병익, "동아시아의 전통" 일조각 1982

      10 "荀子, 唐⋅楊倞 주석본"

      1 "論語"

      2 지준호, "한국전통사상의 현대적 계승을 통한 바람직한 청소년의 가치관 모색" 유교문화연구소 1 (1): 5-36, 2010

      3 勞思光, "중국철학사" 탐구당 1986

      4 황지원, "인성론의 기반 위에서 본 순자의 공부론" 11 : 2003

      5 천병돈, "인간의 자연성과 사회성" 한국동서철학회 (26) : 163-188, 2002

      6 이상익, "유교의 忠恕論과 自由主義" 한국철학회 (80) : 5-30, 2004

      7 지준호, "순자의 학문관 고찰" 한국철학사연구회 (46) : 211-233, 2015

      8 이운구, "순자 1, 2" (주)도서출판 한길사 2006

      9 고병익, "동아시아의 전통" 일조각 1982

      10 "荀子, 唐⋅楊倞 주석본"

      11 王應麟, "漢藝文志考證"

      12 杨琥, "戊戌时期章太炎尊荀思想及其中西学术渊源" 42 : 2005

      13 "孟子"

      14 "四書大全"

      15 "周易"

      16 지준호, "君子의 人格과 公共性" 한국철학사연구회 (26) : 249-271, 2009

      17 司馬遷, "史記"

      18 송인재, "1980년대 이후 중국의 전통 독법" 한국유교학회 (58) : 275-304,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