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on the Self-Concept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9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향상에 효과적인지 목적을 두고 이를 확인하고자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국공립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세 ...

      본 연구는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향상에 효과적인지 목적을 두고 이를 확인하고자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국공립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실험집단은 H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13명, 통제집단은 J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13명이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6주 동안 주 2회씩, 총 12회의 협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 유아들은 6주 동안 만 4세 누리교육과정 신체활동에 참여하였다. 유아의 자아개념 측정을 위한 도구로 이경화, 고진영(2015)의‘유아용 자아개념 검사’를 사용하였고, 분석은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별 차이검증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누리교육과정의 신체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 보다 유아의 총 자아개념이 향상된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하위영역별 자아개념에 있어서는 협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누리교육과정의 신체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 보다 인지적 자아, 사회적 자아, 신체적 자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가 확인되었으나, 정의적 자아 영역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협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누리교육과정의 신체활동보다 유아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on the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are eff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on the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concept(physical, cognitive, social, emotional)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used the standardized 'Self-concept examination for young children', produced by Lee Kyung-Wha and Ko Jin-young (2015), as a tool for measuring the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The pr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using free-choice activity time and after-school hours in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self-concept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program improved more than the self-concept of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hysical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Secondly, in the sub-domains of self-concep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higher score in the cognitive self, social self, and physical self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self-concep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program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than the physical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and it is suggested that if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are actively used in the education field of young children, the children's self-concept can be improved more effective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