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헌으로 본 김정은 시대 북한의 관광산업 인식 = Awareness of North Korea’s Tourism Industry Under the Kim Jong-Un Period Based on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019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North Korean literature based on research questions on how North Korea’s perception of the tourism industry changed during the Kim Jong-un era.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ourism awareness, North Korea is pursuing a somewhat act...

      This study analyzes North Korean literature based on research questions on how North Korea’s perception of the tourism industry changed during the Kim Jong-un era.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ourism awareness, North Korea is pursuing a somewhat active and advanced level of partially open tourism policies. The reason for the somewhat “active” analysis is that it recognizes tourism as a major source of foreign currency acquisition and emphasizes it. However, it was judged to be ‘somewhat’ active’ as related research has not yet taken up a large portion of the overall economy-related research, the absence of the Framework Act on Tourism, and the comprehensive tourism development master plan. The reason for the analysis as an advanced level of “partial opening” is that the tourism development zone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domestic region, and no official policy of allowing and fostering tourism-related self-employed businesses can be found.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 ‘advanced level’ was partially opened as 18 relevant economic development zones were designated, saying that only tourism development zones were guaranteed preferential treatment and favorable tourism environment.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North Korea’s tourism industry during the Kim Jong-un era to look into future conditions for promoting inter-Korean tourism coop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김정은 시기 북한의 관광산업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에 대한 연구질문을 바탕으로 북한 문헌을 분석한다. 관광산업 인식 분석틀에 따라 살펴본 결과, 북한은 다소 적극적·...

      본 연구는 김정은 시기 북한의 관광산업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에 대한 연구질문을 바탕으로 북한 문헌을 분석한다. 관광산업 인식 분석틀에 따라 살펴본 결과, 북한은 다소 적극적·진전된 수준의 부분개방 관광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소 ‘적극적’이라고 분석한 이유는 관광을 주요 외화 획득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은 관련 연구가 전체 경제 관련 연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고, 관광기본법이 부재하며 종합적인 관광 개발 마스터 플랜도 보이지 않아 ‘다소’ 적극적이라 판단하였다. 진전된 수준의 ‘부분개방’이라고 분석한 이유는 관광개발구를 국내 지역과 분리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관광 관련 자영업의 공식 허용 및 육성 정책은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관광개발구에만 특혜제도와 유리한 관광환경을 보장한다며 관련 개발구를 18곳 지정하고 있어 ‘진전된 수준’의 부분개방이라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의 북한 관광산업 인식과 수요를 분석하여 향후 남북 관광협력 추진 여건을 살피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강무, "호텔경영관리수준평가와 그 중요지표들에 대하여" (1) : 2019

      2 박정철, "현시기 세계관광경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국제관광업계의 동향에서 주목되는 문제" (4) : 2018

      3 리금별, "현시기 생태관광을 발전시키는것은 관광업발전의 필수적요구" (2) : 2018

      4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현대조선말사전" 1981

      5 박남혁, "최근 세계관광봉사의 추세" (4) : 2017

      6 최재득, "조선사회과학학술집 534 경제학편: 관광업경영방법론" 2015

      7 외국문출판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요경제지대들" 2018

      8 국가경제개발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제개발구 투자 제안서"

      9 대외경제성 합영투자개발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제개발구 설명회"

      10 김충혁,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개발에서 외국투자리용의 특성" (4) : 2017

      1 차강무, "호텔경영관리수준평가와 그 중요지표들에 대하여" (1) : 2019

      2 박정철, "현시기 세계관광경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국제관광업계의 동향에서 주목되는 문제" (4) : 2018

      3 리금별, "현시기 생태관광을 발전시키는것은 관광업발전의 필수적요구" (2) : 2018

      4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현대조선말사전" 1981

      5 박남혁, "최근 세계관광봉사의 추세" (4) : 2017

      6 최재득, "조선사회과학학술집 534 경제학편: 관광업경영방법론" 2015

      7 외국문출판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요경제지대들" 2018

      8 국가경제개발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제개발구 투자 제안서"

      9 대외경제성 합영투자개발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제개발구 설명회"

      10 김충혁,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개발에서 외국투자리용의 특성" (4) : 2017

      11 신용석, "신남북 관광협력의 정책방향과 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

      12 리금별, "생태관광자원을 합리적으로 개발하는데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4) : 2018

      13 리명일, "생태관광의 출현과 그 발전추세" (4) : 2014

      14 리명일, "생태관광의 일반적특징" (1) : 2015

      15 채영재, "사회주의관광봉사기업소의 중요형태" (2) : 2012

      16 전영명, "사회주의 관광업의 본질적특성과 역할" (1) : 2015

      17 김한규, "북한 외래관광 연구-담당조직과 유치 구조 및 전략을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2015

      18 한국관광공사, "북한 관광산업개방유형 비교분석: 쿠바·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관광공사 2000

      19 김지연, "북·중 관광협력의 현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20 "로동신문. 2018.4.21"

      21 박영진, "려행사업무의 특징" (4) : 2016

      22 강채연, "김정은 시대 관광산업의 국제화전략과 관광협력의 선택적 이중구조" 통일부 2019

      23 김은심, "국제려행사에서의 목표시장선택방법" (1) : 2017

      24 김은심, "국제려행사에서 목표시장선택의 기본방향" (2) : 2017

      25 김인정, "관광자원의 본질과 특성" (3) : 2015

      26 김인정, "관광자원의 개발리용에서 생태환경을 보호하는데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2) : 2015

      27 박종훈, "관광자원과 그 류형" (1) : 2015

      28 리제선, "관광자원개발에서 지켜야할 원칙" (3) : 2016

      29 박명순, "관광자원개발리용에 대한 통계적연구에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3) : 2015

      30 리은별, "관광업의 확대로 인한 환경파괴와 그를 막기 위한 국제적인 동향" (2) : 2017

      31 전영명, "관광업의 본질과 그 특성" (1) : 2014

      32 박광천, "관광업은 외화수입의 중요원천" (2) : 2016

      33 채재득, "관광업과 그 경제적 특성" (2) : 1996

      34 리은별, "관광업과 경제발전" (4) : 2016

      35 박남혁, "관광려행의 기술발전동향" (2) : 2018

      36 공혁, "관광개발구의 유형" (2) : 2018

      37 공혁, "관광개발구의 관리운영에서 나서는 중요문제" (3) : 2016

      38 로명성, "경제개발구를 개발하는데서 나서는 원칙적 요구" (1) : 2016

      39 "≪조선관광≫ 홈페이지"

      40 Allan M Williams, "Tourism in Transition: Economic Change in Central Europe" Tauris Publishers 2000

      41 OECD, "Tourism Trends and Policies" OECD Publishing 2018

      42 World Economic Forum, "The Travel & Tourism Competitiveness" 2019

      43 DPRK,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outlook" 2012

      44 Henken, Ted, "An Analysis of Decree-Law No. 171 on Private Home Rental" 11 : 2001

      45 세종연구소, "2019 북한 동향과 분석" 세종연구소 2020

      46 김은숙, "1998~2009년 북한 경제정책과 『경제연구』의 연계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47 공혁, "(해설)관광개발구의 특징" (2) : 2015

      48 박성철, "(무역지식)경제개발구창설지역 선정원칙" (4) :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가전략
      외국어명 : National Strate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6 0.711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