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인 취업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licy Tasks of Local Government for the Enhancement of the Elderly s Employment - Focusing on the Welfare Needs and Living Conditions among the Elderly Who are Residing in Daegu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취업실태, 취업욕구, 일자리 참여의향, 취업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취업욕구는 취업노인과 미취업노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분...

      본 연구는 도시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취업실태, 취업욕구, 일자리 참여의향, 취업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취업욕구는 취업노인과 미취업노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분석을 종합하여 지방정부의 노인취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4년 실시된‘대구광역시 노인생활실태 및 욕구조사’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 노인 2,000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기술통계로는 취업노인과 미취업노인의 차이를 알기위해서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증이 사용되었으며, 미래의 취업 참여 결정요인을 알기위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현재 일을 하고 있는 노인의 특성을 보면 남자이며, 연령이 낮고, 독거노인이나 노인부부인 경우, 학력이 높고 월소득이 낮고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의 취업 의향 결정요인은 성별, 연령, 월소득, 건강수준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즉 남자인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건강할 수록 미래에 일자리를 원하고 있었다.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정부에서 노인취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대상, 급여, 전달체계, 재정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mployment needs and situation of the elderly and to present the employment policies for the elderly by local government. The respondents were 2,000 elderly residing in the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mployment needs and situation of the elderly and to present the employment policies for the elderly by local government. The respondents were 2,000 elderly residing in the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as frequency,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ing elderly were male, young-old, living alone or living with spouse, and having high education, low income, and good health condition. 2. Gender, age, income, and health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future work participat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recommendations for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elderly conducted by local government were presen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Ⅲ. 조사방법
      • Ⅳ. 조사결과 분석
      •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Ⅲ. 조사방법
      • Ⅳ. 조사결과 분석
      •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