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호・점필재 부자의 현실인식과 실천궁행 = Awareness of Reality and Actual Practice by Father and Son Gangho・Jeompilj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6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실천적 유학이 강조되고 있었던 조선 초기의 사상적풍토 속에서, 유교경전을 중심으로 철학적 사색을 심화시키고 그 사회적 실천을 역설한 강호 김숙자와 점필재 김종직 ...

      본 논문의 목적은 실천적 유학이 강조되고 있었던 조선 초기의 사상적풍토 속에서, 유교경전을 중심으로 철학적 사색을 심화시키고 그 사회적 실천을 역설한 강호 김숙자와 점필재 김종직 부자의 현실인식과 실천궁행에 대해 고찰하는데 있다.
      강호는 스승 길재로부터 정몽주의 학문을 이어받아 다시 그것을 아들인 점필재에게 전수함으로써 조선 초기의 학통을 형성하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수행하였고, 점필재는 조선 초기 사림파의 선두 주자로서, 훈구파와의 대립과 갈등양상을 지양하면서 사림파의 정계 진출을 도모하는데 많은 도움을 제공하였다.
      강호와 점필재 부자에 대한 후세 평가는 대체로 양면적이었는데, 허균과 장유의 부정적 평가와 달리, 이들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조광조에 의하여 일정한 결실을 보게 됨으로써 후세 학자들의 존숭이 체계적이며 적극적으로 드러났다. 정몽주에서 조광조까지의 조선 초기 도학의 정통계보 흐름에서 강호와 점필재가 중요 매개 구성원으로써 언급되는 바, 이러한 조선 초기
      의 학통형성은 의리계열의 학문을 계승한 사림파에게 학문적인 정당성을 확보시켜주는 것으로 그 사상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examine awarness of reality and actual practice of Kim Sukja and Kim Jongjik, a father and his son, who deepened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nd stressed its social practice in early Joseon’s ideological climate where practical Con...

      This paper is to examine awarness of reality and actual practice of Kim Sukja and Kim Jongjik, a father and his son, who deepened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nd stressed its social practice in early Joseon’s ideological
      climate where practical Confucianism was emphasized.
      Kim Sukja followed study of Jeong Mongju from his teacher Giljae and handed it down to his son Kim Jongjik,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a scholastic mantle in early Joseon and Kim Jongjik, as a leader in early Joseon’s Sarim school, tried to avoid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against Hungu school and greatly helped to promote Sarim school’s sortie into politics.
      Kim Sukja and Kim Jongjik were assessed as ambivalent by posterity and unlike negative assessment by Heo Gyun or Jang Yu, positive one bore some fruit by Jo Hwangjo, which led to systematic and active respect presented
      by scholars of later generations. In the genealogy of authentic ethics of early Joseon from Jeong Mongju to Jo Gwangjo, Kim Sukja and Kim Jongjik are referred to as connecting members and the formation of this theory of
      Taotong academically justifies Sarim school that inherited study of thought on righteousness, where significance in terms of history of thought lies 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여는 말
      • 2. 강호, 점필재의 시대진단과 대응양상
      • 3. 풍속교화와 향교의 활성화
      • 4. 후세 평론과 조선 초기의 학통형성
      • 5. 맺는 말
      • 1. 여는 말
      • 2. 강호, 점필재의 시대진단과 대응양상
      • 3. 풍속교화와 향교의 활성화
      • 4. 후세 평론과 조선 초기의 학통형성
      • 5. 맺는 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