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내 한국어 교육 환경의 변화와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152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 1940년대에는 중국의 대학 중 한국어학과가 개설이 되어 있는 대학교가 5개 정도에 불과했다. 70여년이 지난 오늘, 중국 내 대학교 중에서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교는 이미 세 ...

      과거 1940년대에는 중국의 대학 중 한국어학과가 개설이 되어 있는 대학교가 5개 정도에 불과했다. 70여년이 지난 오늘, 중국 내 대학교 중에서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교는 이미 세 자리 숫자를 넘긴 지가 오래되었다. 이와 같이 한국어학과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게 된 계기는 여러 객관적인 환경 요인이 작용하였다고 본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국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많은 한국 기업이 중국으로 진출하면서부터 한국어 교육은 중국에서 더욱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으며, 이는 대학교에 한국어학과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또 중국의 개혁 개방, 경제 성장과 더불어 한류 전파 등 다양한 객관적인 요인은 한국어 교육에 대한 다양한 요구로 분화되었으며 과거의 획일적인 교육과정은 더 이상 오늘날 새로 나타난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비추어 이 논문은 중국 내 한국어 교육의 환경 변화에 대해 분석해 보고, 현재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해 봄으로써 문제점을 지적하고 앞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의 일반론과 현재 한국어 교육 전반의 이론적인 배경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개발된 여러 이론을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중국 내 한국어 교육 환경의 변화를 통하여 오늘날 대학 한국어 교육이 해결해야 할 시대적인 과제가 무엇인지 분석하여 이를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현실적으로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의 구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지역 별로 대표적인 한국어학과를 분석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한국어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분석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의 공통점 및 문제점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대학교 교육과정 구성의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이 제도적으로 가능한 범위를 알아보았다. 끝으로 지금까지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체계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주로 중국 내 한국어학과의 교육 목표와 교과과정의 구성을 둘러싸고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1940's there were less than five Universities that had Korean language departments. Since that time, a few departments have multiplied into more than one hundred departments. Many changes have occurred during the last 70 years between China and...

      In the 1940's there were less than five Universities that had Korean language departments. Since that time, a few departments have multiplied into more than one hundred departments. Many changes have occurred during the last 70 years between China and Korea that have helped determine how the curriculums should change. For example, starting in 1992 after diplomatic relations formed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n businesses in China have continuously grown. The amount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China has also grown to help meet this demand, but the curriculums are outdated and only designed to meet part of this demand.
      This paper examines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s from a sample of representative universities in China. Both the common and uncommon aspects of the curriculums are isolated and examined in order to find methods to improve the curriculums.
      The ultimate solution to this dilemma is complex and requires the restructuring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s, which goes beyond the scope of this paper. But how can the current curriculums help meet the current demands? In short, Korean language curriculums should go beyond language training and integrate the acquisition of other useful skills during language training; skills that focus on the current job demands, in the trade industry, tourist industry, or translation industry for example.
      Many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s still teach language using outdated, useless subject matter making language the only useful skill learned. Countries have no real need for people that only have intermediate to advanced language skills.
      Language takes a lot of time and energy to learn. Unfortunately, simply knowing a language is not enough. It must be paired with a certain skill set.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 direction towards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s so as to incorporate such skill se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내용 및 방법 3
      • 1.3. 선행 연구 검토 4
      • 2. 교육과정 일반론과 한국어 교육 9
      • 1. 서론 1
      •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내용 및 방법 3
      • 1.3. 선행 연구 검토 4
      • 2. 교육과정 일반론과 한국어 교육 9
      • 2.1. 교육과정의 개념과 기능 9
      • 2.2. 교육과정 개발 절차 11
      • 2.3.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과 특징 19
      • 3. 중국 내 한국어 교육 환경의 변화와 교육과정의 실제 22
      • 3.1. 중국 내 한국어 교육 환경의 변화 22
      • 3.2. 현행 중국 내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 분석 26
      • 3.2.1. 중국 대학교 교육과정의 틀 26
      • 3.2.2.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 분석 32
      • 3.2.2.1 한국어학과의 교육 목표 분석 35
      • 3.3.2.2 한국어학과의 교과목 분석 47
      • 4. 중국 내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 69
      • 4.1. 교육과정의 체계 정립 69
      • 4.2.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 71
      • 4.3. 교육과정의 교과 설정 73
      • 5. 결론 75
      • 참고문헌 78
      • ABSTRACT 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