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상의 실천으로서의 예술 : 김지수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740248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5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rt as everyday practice : Centering on Jeesoo KIM's works

      • 형태사항

        vii, 131p.: 삽화;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조기주
        참고문헌 : p.124-127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상은 비참의 장소인 동시에 위대함의 장소이다. 현대 사회에서 개개인의 ‘일상’은 단순히 스쳐 지나가는 무의미하고 반복적인 삶일 수 있지만, 연구자는 ‘관찰’과 ‘수집‘의 행위를...

      일상은 비참의 장소인 동시에 위대함의 장소이다. 현대 사회에서 개개인의 ‘일상’은 단순히 스쳐 지나가는 무의미하고 반복적인 삶일 수 있지만, 연구자는 ‘관찰’과 ‘수집‘의 행위를 통해 비판적이고 성찰적인 태도로 일상을 사유하려고 한다. 연구자가 경험한 결혼과 출산, 그리고 양육의 과정은 연구자의 ’일상‘을 바꾸고 동시에 일상에 대한 관점을 바꾸었으며 나아가 사회적 환경과 구조, 작업에 대한 관점의 변화까지 이끌어내었다. 연구자에게 ’일상‘은 더 이상 평온하기만한 장소가 아닌 ’지배‘와 ’피지배‘, ’억압‘과 ’불평등‘이 공존하는 장이 되었다. 또한 연구자는 일상을 반복적인 재생산의 공간이 아닌, ‘미시정치’의 관점에 근거한 권력과 저항의 무수한 만남이 일어나는 장으로 배치하였다.
      본 논문은 일상에서 사유의 과정을 실천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보고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따라서 이론적 형식에 비중을 두기 보다는 주로 연구자의 작품 분석에 집중하여 고찰하면서 중간에 작품 해석에 있어서 필요하다고 여기는 이론가와 작가를 언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구체적 출발점은 서구의 사상과 문화에서 혁명적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간주되는 1968혁명과 그것이 갖고 온 일상생활과 사고, 예술 등 사회전반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인식 및 분석이다. 여기에서는 68혁명 이후에 변화된 일상에 대한 변화된 관점을 주로 문화, 예술의 변화에 집중하여 진행하였다. 68혁명은 기성세대의 억압적, 권위적 분위기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으며, 가령 마르셀 브로타스의 제도 비판에 대한 저항 행위는 68혁명이 예술에 끼친 영향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이러한 억압에 대한 거부와 유토피아적 이상에 대한 실천적 행위들은 예술가들의 활동과 예술의 개념을 일상적이고 대중적인 영역으로 확장시켰다.
      1968년 전후의 권력과 일상에 대한 변화된 인식은 푸코의 권력개념과 세르토의 실천과 저항의 개념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푸코는 미시사회에 있어서 권력의 작용방식의 연구에 있어서 권력의 본질이나 객관적 서술보다는 권력 작동의 구체적 실천 방식에 주목하였다. 그는 개인의 미시적 행위에서 포착되는 권력의 작용에 대해 ‘모세혈관 같은 권력’이라는 표현을 통해서 인간의 육체를 어떻게 감시하고 훈육하여 통제하는지의 과정에 주목하였다. 푸코에 비해 구체적 실천 방식을 좀 더 세세하게 제시한 세르토는 일상생활에서 실천이 가지는 저항적 의미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행위는 쇼핑, 임대주택의 주거생활, 의상, 노동현장의 시간활용, 도시공간에서의 걷기 등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일상에 대한 사유에서 시작된 연구자의 작품을 수집가와 산책자의 시선에서 살펴보겠다. 또한 작업에 자주 등장하는 털실 오브제, 지퍼, 일상드로잉, 반복적인 선, 사진-텍스트 작업은 여성의 시선으로 바라본 일상의 다양한 무늬를 드러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는 억압과 긴장, 갈등, 모순과 같은 개념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일상‘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킨 모성적 경험에 대하여 크리스테바의 코라와 애브젝트 개념을 살펴보고, 메리 켈리의 <산후기록>과 함께 현대의 모성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뒤샹의 레디메이드에서 시작된 ’발견된 오브제‘의 개념이 본인의 작업에 구현되는 과정과 함께 초현실주의와 언캐니 개념을 바탕으로 동시대 미술과의 관계 속에서 메레 오펜하임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자의 작업의 전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글쓰기로서의 이미지’를 고찰하였다. 현대미술에서 언어와 미술의 관계는 흔히 언어가 이미지를 보충해 준다고 여겼던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나 언어 그 자체가 미술이 되는 지점까지 전개되었고, 오늘날 디지털 환경의 상호연결성으로 인해 개인이나 공동체가 이미지와 텍스트를 수집하고 배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생성되었다. 이러한 언어와 이미지의 관계에서 이미지를 곧 ’언어‘라고 말한 롤랑 바르트는 사람들이 흔히 믿는 상식적이고 보편적인 믿음을 ‘신화’라고 명명하며, 한 사회의 이데올로기가 일상의 이미지로서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 비판하였다. ‘신화’에 대한 이해는 우리의 일상적 관념을 재고할 기회를 제공하여, 삶에 내재된 문제에 저항, 실천하는 힘을 지닐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aily experience views itself in a dual definition of abyss and magnificent. The signification of the 'daily' may pass for the vanity in void or repetitive, whereas 'observation' and 'collection' can indeed animate, as will be argued for below, ou...

      The daily experience views itself in a dual definition of abyss and magnificent. The signification of the 'daily' may pass for the vanity in void or repetitive, whereas 'observation' and 'collection' can indeed animate, as will be argued for below, our daily routines in a critical and reflective manner. Its perspective as well as its given meanings to the human subjectivity was changed via the process of marriage, birth-giving and nurturing, transforming the 'daily' into something else. Such procedure was taken further towards the environment, structure and one's manner of operation. The field of dynamics of daily life no longer peacefully contains things, but along with it enthralls to 'colonialise' as well as to be 'oppressed', and 'unbalance'. Upon viewing the daily life as so-called 'micro-politics' in the dynamics of which unfathomable instances of encounter occur between power and the corresponding resistance, this inquiry does not consider it to be a space of tautological reproduction.
      This work has for objective to contemplate on putting the general causality in daily lives into practice, in order as consequence to actually do it; a modus operandi which means that the structure of the work will not be based on theoretical basis; but rather on the analysis of one's own outcomes, in mentioning theorists and artists and putting the matter of interpretation in the milieu of relevant thoughts.
      The starting point of my development concerns a dramatic upheaval of the revolution of May 1968, a veritable turning point in the entire western civilizations, plus the change in the areas of social perception and art, among others, affected by the ripples of the revolutionary thinking and analysis. The perspective to be taken in reading therefore rests on these ripples that touched on the daily lives of people, largely based on cultural, artistic references. The revolution of May was commenced by the new generations' resistance towards the downward pressure from the established ones tucking in columns of authority and suppression. The most extreme surfacing of this sense was perhaps Marcel Broodthaers' critical reasoning against institutionalization. The curtain of resistance behind which the utopian ideologies lurks would be used then to expand the sphere of its practical influence to the arena of artistic activities and the popular culture.
      Our mirrors to look deeply into the matter of 1968 are Michel Foucault and Michel de Certeau whose theses on the practice and resistance in and of our society would prove crucial. The former focuses not so much on the objective alignment of the basic quality of power or its operation in his micro sociology. The 'capillary functioning of power' in the micro-scale practice of individuals, whose existences are watched over and nurtured for an eventual control, comes into play. Michel de Certeau who makes a more central point of this, apropos of its practical aspect, focuses on the resistance and its entailed meanings of the very act of daily life. Its effects emerge from a wide range of activities such as shopping, rent of tenancy, mode of fashion, allocation of time in labour environment, and displacement of individuals in urban areas.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framework, we will be looking at my works from the collector's and the promenading person's points of view; and this in objet of woolen yarn, zipper, daily dessin, repetitive lines and photo-text works, with the intention of demonstrating the conflict between suppression and the structure of liberation.
      Moreover, the concept of 'chõra' and 'abject' developed by Julia Kristeva will be brought into perspective on the subject of maternal experience modifying the space of interpretation of daily life. On this particular point, <Post Partum Document> also proves decisive in analyzing the modern maternity. And works of Meret Oppenheim will also be present in my arguments in attributing them to the concept of 'uncanny' and the process of embodiment of 'found objects' the origin of which is to be seen in the 'ready-made'.
      The next point in line to be discussed is the think carefully about 'image as writing', deeply ingrained in all areas of my work. The language-art relation in our era is en route of escaping the traditional view that the former supplements the latter, in direction towards a new paradigm that language can in and of itself be an art, especially in considering the interconnectedness of our digital environment where communities collect and redistribute images and texts. Roland Barthes, who assigned an equal value to language and used it as a pair of synonym, talks about his 'Mythologies' in which the knowledge generally believed to be 'true' is in fact a version of the myth, and critiques the presence of social ideology as daily life image. Understanding this concept on 'Mythologies' can be comprehended as a chance to reflect upon our thoughts on daily life, and allows for the power of practice and also for the resistance to problems immanent in our lives.
      Here it is regarded important to look at Sophie Calles photos and texts, rendering blurred boundaries between many different structural aspects of modern art, shedding light on the relationship of image and text insinuated in my works.
      To this effect, the definition of art as daily practice is to aestheticise through sensual metaphors, the driving force originating from the invisible of the phenomena in life, and to put forth reasons and embody in sensitivity my daily operati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is is then the axe of understanding and questioning the actuality of our time in history. 'Daily life' entails thereby a tentative of never being the same, consisting of mutually differing experiences, where the subject's intervention into such a sequence helps prove its indispens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 방법 및 개요 2
      • II. 일상의 재발견 4
      • 1. 현대세계의 일상성 4
      • I. 서론 1
      •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 방법 및 개요 2
      • II. 일상의 재발견 4
      • 1. 현대세계의 일상성 4
      • 1.1 일상의 변화와 예술 7
      • 1.2 푸코(M. Foucault)의 권력비판과 세르토(M. de Certeau)의 일상의 실천 14
      • 2. 일상의 관찰과 수집 22
      • 2.1 산책자와 수집가 23
      • 2.2 수집가와 예술가 26
      • 2.3 일상의 실천과 예술 31
      • 3. 일상의 양가성 - 억압과 해방의 공존 34
      • III. 여성적 번역과 공간 45
      • 1. 여성과 예술 47
      • 1.1 여성미술의 재평가 47
      • 1.2 여성성의 현대적 이해와 표현 50
      • 2. 모성의 공간 56
      • 2.1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 - 모성적 공간 56
      • 2.2 메리 켈리(Mary Kelly)의 산후기록 58
      • 2.3 모성, 그 참을 수 없는 무거움 64
      • 3. 발견된 사물(Found object) 71
      • 3.1 메레 오펜하임(Meret Oppenheim) - 자유로운 억압 72
      • 3.2 일상의 낯설음- 언캐니(Uncanny) 77
      • IV. 글쓰기로서의 이미지 84
      • 1. 미술과 언어 84
      • 1.1 이미지를 읽다 85
      • 1.2 일상의 신화와 이미지 88
      • 1.3 소피 칼(Sophie Calle)의 사진과 텍스트 90
      • 2. 기록과 재현으로서의 글쓰기 99
      • 2.1 사라지는 것들의 기록 100
      • 2.2 보이지 않는 힘 105
      • 3. 일상의 사유와 글쓰기 113
      • 3.1 글쓰기의 실천 115
      • V. 결론 122
      • 참고문헌 124
      • 영문초록 12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