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논리학 및 과학기술철학의 현황과 그 확대 방안 = The Present State of Logic and Philosophy of Science-Technology as General Educations and Their Enlargement Polic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will argue that logic is the core in human thinking and constructing knowledge systems and it must be a compulsory subject as a general education or a basic of sciences, human or social or natural, in college curricula. And I will a...

      In this article, I will argue that logic is the core in human thinking and constructing knowledge systems and it must be a compulsory subject as a general education or a basic of sciences, human or social or natural, in college curricula. And I will also argue that when in addition to logic as a formal science philosophy of science-technology is set up both subjects really become so substantial in the forms and their contents that the general or basic capacity education will have efficacy and effectiveness in universities.
      The subject Logic(Logic and Thinking,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Arguments and Criticism and so on) is the universal methodology of sciences. And The subject Philosophy of Science-Technology is the method of philosophying their contents or the contents-tropical discipline. Both disciplines are the central core in consumer-centered curricula or knowledge/science-centered curricula in the comtemporary science-technological age of the so called knowledge-based society or knowledge-and-information society.
      Although that is very fire-clear, Logic or Philoso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not installed as compulsory subjects at mos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and if any, as selective subjects nowadays.
      I eventually argue that Logic and Philosophy of Science-Technology should not be ignored as general educations. And I also argue that by recognizing the right concepts about general education and by implementing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a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which a logician or a philosopher of science suggests at the council of general education Logic and/or Philosophy of Science-Technology will be installed increasingly as a compulsory or a selective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I argue that for the purpose of those enlargement of installing Logic and/or Philosophy of Science-Technology both should be included into graduation certificate requirements and that we must make the institution of Test of Logical Think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논리학이 인간의 사고와 지식 체계 구성에 있어 핵심이므로 교양 또는 학문의 기초로서 교과과정에서 필수가 되어야 한다는 것과 형식 과학으로서의 논리학에 내용 과학으로서의 과학기술...

      논리학이 인간의 사고와 지식 체계 구성에 있어 핵심이므로 교양 또는 학문의 기초로서 교과과정에서 필수가 되어야 한다는 것과 형식 과학으로서의 논리학에 내용 과학으로서의 과학기술철학이 이차적 과목으로서 함께 개설될 때 형식과 내용의 양 측면에서 충실성을 갖게 되어 대학에서의 교양 또는 기초 교육이 실효성을 갖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 개진될 것이다.
      논리학(논리와 사고,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논증과 비판 등)은 과학의 보편적인 탐구 방법론이며, 과학기술철학은 내용을 담아 철학하는 방법 내지 내용 학문이다. 이 두 과목은 과학기술 시대인 지식기반사회 또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소비자(수요) 중심의 교과과정 편성이나 지식/학문 중심 교과과정에 있어서 중핵에 해당한다. 그렇지만 각 대학의 현실에서 논리학이나 과학기술철학이 필수로 되어 있는 학교가 거의 없으며, 있더라도 선택 교과로 개설되어 있다.
      결론적인 제안으로서 논자는 논리학과 과학기술철학이 교양과목이라고 무시되어서도 안되며, 교양의 개념에 몰이해에 대해 인식이 바르게 정립된다면, 그리고 교양과정위원회에 논리학자/과학철학자가 위원으로 선임되어 제대로 교과과정이 운영된다면 논리학과 과학기술철학이 교양과목 또는 기초과목으로 확대되어 개설될 수 있을 가능성을 주장한다. 또한 양 과목이 대학교양과목으로서 필수화 내지 확대되기 위해서 논자는 그 과목들이 졸업인증과목들에 포함될 것과 논리적 사고력 시험을 제도화할 것을 주장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인문사회연구회, "한국 인문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03

      2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 장기발전계획: VISION 2015" 2006

      3 SBS. SBS 스페셜, "출세만세 4편: 리더에게 길을 묻다"

      4 유현숙, "지식 기반사회에서의 한국교육 정책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1999

      5 남성희,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3

      6 이코마도시아키, "일본이 나아가야 할 길" 2009

      7 김경한, "인문학의 진흥책으로서 교양학부제의 확대개편을 통한 문화학부제의 도입 연구" 인문사회연구회 2002

      8 이은경, "인문학과 정보과학기술의 학제간 연구·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06

      9 김동노, "인문학 활성화를 위한 학술 정책" 인문사회연구회 한국교육개발원 2002

      10 김여수, "인문학 진흥을 위한 분야별 정책 제안" 인문사회연구회 한국교육개발원

      1 인문사회연구회, "한국 인문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03

      2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 장기발전계획: VISION 2015" 2006

      3 SBS. SBS 스페셜, "출세만세 4편: 리더에게 길을 묻다"

      4 유현숙, "지식 기반사회에서의 한국교육 정책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1999

      5 남성희,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3

      6 이코마도시아키, "일본이 나아가야 할 길" 2009

      7 김경한, "인문학의 진흥책으로서 교양학부제의 확대개편을 통한 문화학부제의 도입 연구" 인문사회연구회 2002

      8 이은경, "인문학과 정보과학기술의 학제간 연구·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06

      9 김동노, "인문학 활성화를 위한 학술 정책" 인문사회연구회 한국교육개발원 2002

      10 김여수, "인문학 진흥을 위한 분야별 정책 제안" 인문사회연구회 한국교육개발원

      11 이명현, "열린사회와 그 적들Ⅱ" 민음사 1997

      12 KBS. 일요스페셜, "스티브 잡스의 애플, 혁신을 말하다"

      13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생각의 탄생" 에코의서재 2007

      14 손동현, "새로운 교육수요와 교양기초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1 (1): 2007

      15 김상길, "바람직한 공학교육인증제도(ABEEK) 시행을 위한 교양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 (1): 2007

      16 달, "민주주의" 동명사 1999

      17 최미리, "미국과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비교" 양서원 2001

      18 김원석, "디지털생존교양" 갤리온 2010

      19 박종렬, "대학교육에 대한 산업체 만족도 조사 및 조사결과 Feedback 체제화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20 홍경남, "대학『비판적 사고』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중앙대학교 <논리와 사고> 평가시스템 개발을 중심으로 -"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41-71, 2010

      21 이영호, "대학 인문교양교육의 현황 진단 및 정책대안" 인문사회연구회. 한국교육개발원 2003

      22 박진희, "대학 교양교육에서 STS 강좌의 위상화 미래" 과학문화연구센터 2010

      23 이지헌,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분과 학문의 성찰" 교육발전연구원.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5

      24 노관범, "대학 교양교육 진흥을 위한 정책 제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0

      25 우정규, "논리와 추리: 과학방법론의 기초 및 PSAT/LEET 문제풀이를 위한 응용 기법" 대종출판 2010

      26 민경찬, "기초학문 진흥 및 확산을 위한 대학교양교육 강화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5

      27 김재영, "기업 CEO의 교육에 관한 의식 조사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28 김주섭, "기술혁신과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7

      29 손동현,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화 그 강화 방책"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2009

      30 손동현, "교양교육에서 ‘레토리케’ 교육의 위상 및 의의"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21-40, 2010

      31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교양교육 60년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32 박연호, "교사교육 교양과목 프로그램 개발: 교대 교양과정의 제 문제와 개선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3

      33 우정규, "과학을 위한 게임·확률 의미론과 적용" 대종출판 2002

      34 박희숙, "과학 기술 분야 교양과목 사례 연구 - 국민대학교의 "현대사회와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2 (2): 2008

      35 "http://www.toct.org/"

      36 "http://www.tesat.or.kr/tesat_info.html"

      37 일본과학기술진흥기구, "21세기 과학기술과 지식정보사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