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명·청(明·淸)시기 강남(江南) 무나(巫儺)제사와 연극의 관계에 대한 초탐(初探)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cestral Rites and the Play in the Jiangnam Area during the Era of Ming and 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129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명·청시기 강남지역의 제사행사와 연극 관계를 실제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소성(江蘇省) 및 주변 지역의 제사행사와 연극을 구체적으로 살펴보�...

      본 논문은 명·청시기 강남지역의 제사행사와 연극 관계를 실제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소성(江蘇省) 및 주변 지역의 제사행사와 연극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극이 제사행사로부터 생성·유래되었다고 설명하기가 어려운 사례도 다수 있는데, 양자의 관계는 크게 (i) 독립·협력관계(제사행사와 연극이 각자독자적인 형식을 유지하면서, 연극이 제사행사에 일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서로 협력하는 관계), (ii) 결합관계(연극이 제사행사에 종속된 일부 구성요소로서 제사와 결합된 관계), (iii) 생성·독립관계(제사행사의 구성요소이던 연극 요소가 제사로부터 분리되어 일반적 의미의 연극으로 발전한 관계)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별된다. 연구결과 강남지역의 제사행사와 연극은 다층적이고 다양한 관계에 있다는 점이 밝혀져, 양자를 단순히 생성관계로만 볼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실증 분석을 통해 종교제사와 연극 사이의 다양한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양자 관계를 단지 생성관계로만 이해한 종전 연구의 부족한 부분과 결함을 보충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에 바탕을 두고 향후 진행될 수 있는 연구로는 첫째, `강남 나문화`와 같은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미시적 연구, 둘째 `고대 한족 무나제사와 전통연극 관계` 또는 `중국 나문화와 중국 전통연극`과 같이 종족 문화의 방향에 따라 한족 문화와 전통 연극관계의 측면으로 확대한 거시적 연구 등이 제시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categorize and analyz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ancestral rites and the play/drama in the Jiangnam area during the era of Ming and Ching dynasty in China. Many scholars believe that the play in China originally came from ance...

      This article aims to categorize and analyz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ancestral rites and the play/drama in the Jiangnam area during the era of Ming and Ching dynasty in China. Many scholars believe that the play in China originally came from ancestral rit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cestral rites and the play in the Jiangnam area, the relationship can be categorized as follow: (i) independent and cooperation, (ii) integration, and (iii) department and independent. Considering these various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ancestral rites and the play in the Jiangnam area can be described as multiple as well as various ones. Therefore it is hard to say that the Chinese play/drama simply came from ancestral rit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成貽順, "關於揚劇的發展與形成" 1991 (1991): 100-102, 1991

      2 黃瑾, "通劇歷史淵源及其文化傳承思考" 2010 (2010): 22-24, 2010

      3 王潔, "論南通童子戲的歷史發展軌迹" 2013 (2013): 22-24, 2013

      4 曲六乙, "西域戲劇與戲劇的發生" 新疆人民出版社 127-167, 1992

      5 麻國鈞, "西域戲劇與戲劇的發生" 新疆人民出版社 127-, 1992

      6 闕名, "筆記小說大觀, 第4編,第6冊" 臺灣新興書局 4041-, 1981

      7 顧祿, "清嘉錄" 中國商業出版社 99-232, 1989

      8 鄭小秋, "淮劇的淵源與形成" 1995 (1995): 181-193, 1995

      9 陳紅民, "淮劇的形與發展" 2005 (2005): 74-, 2005

      10 車錫倫, "江蘇的香火神會・神書和香火戲提綱" 2003 (2003): 31-37, 2003

      1 成貽順, "關於揚劇的發展與形成" 1991 (1991): 100-102, 1991

      2 黃瑾, "通劇歷史淵源及其文化傳承思考" 2010 (2010): 22-24, 2010

      3 王潔, "論南通童子戲的歷史發展軌迹" 2013 (2013): 22-24, 2013

      4 曲六乙, "西域戲劇與戲劇的發生" 新疆人民出版社 127-167, 1992

      5 麻國鈞, "西域戲劇與戲劇的發生" 新疆人民出版社 127-, 1992

      6 闕名, "筆記小說大觀, 第4編,第6冊" 臺灣新興書局 4041-, 1981

      7 顧祿, "清嘉錄" 中國商業出版社 99-232, 1989

      8 鄭小秋, "淮劇的淵源與形成" 1995 (1995): 181-193, 1995

      9 陳紅民, "淮劇的形與發展" 2005 (2005): 74-, 2005

      10 車錫倫, "江蘇的香火神會・神書和香火戲提綱" 2003 (2003): 31-37, 2003

      11 胡忌, "昆劇發展史" 中國戲劇出版社 352-, 1989

      12 陸萼庭, "昆劇演史稿" 上海教育出版社 383-, 2006

      13 李斗, "揚州畫舫錄" 中華書局 364-, 1960

      14 李玉蓮, "山西潞城明代『禮節傳簿』的發展與研究" 2000 (2000): 172-178, 2000

      15 陸文衡, "嗇庵隨筆(刻印本)"

      16 雷夢水, "中華竹枝詞" 古籍出版社 1213-1216, 1997

      17 張振南, "上党民間的迎神賽社再探" 1996 (1996): 103-123, 1996

      18 徐珂, "『清稗類钞』 冊 11" 中華書局 5048-, 1986

      19 中國戲曲研究院, "『中國古典戲曲論著集成』冊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