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明 傳奇 <驚鴻記>에 나타난 梅妃 고사의 변용과 의미 = The Transformation and Means of Mei Fei Story is Ming Dynasty’s Jing Hong J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98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홍기>는 매비를 중심인물로 한 중국 명나라 때 전기(傳奇) 작품으로, 양귀비와 당현종의 고사도 함께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일정한 의의와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큰 ...

      <경홍기>는 매비를 중심인물로 한 중국 명나라 때 전기(傳奇) 작품으로, 양귀비와 당현종의 고사도 함께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일정한 의의와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이런 상황에 착안하여 본고는 <경홍기>를 주된 연구대상으로 삼아 이 희곡 작품에서 매비 고사에 대한 변용 양상과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본고는 매비 고사가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로 당대(唐代)를 배경으로 한 <매비전>을 저본으로 삼았다. <경홍기>에서 매비 고사에 대한 변용양상은 주로 원전과 확연히 달라진 결말로 인한 이야기의 전반적인 성격 변화, 보다 지혜롭고 적극적인 모습으로 형상화된 중심인물, 추가된 설화적 요소 및 서사공간의 확대 등의 차원에서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변용 양상을 바탕으로 하여 불우의 울분에 대한 표출, 초탈과 자기 위안, 현실투영과 비판의식 등에 내재된 작가의 창작의도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양귀비 제재, 매비 제재와 그 시대 희곡 창작의 양상 등을 토대로 <경홍기>의 희곡사적 의미를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ing Hong Ji is a drama work of the China’s Ming Dynasty, centered on Mei Fei, and also includes the story of Tang Xuanzong and Yang Guifei. Although this work has a certain significance and value, i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o far. Focusing...

      Jing Hong Ji is a drama work of the China’s Ming Dynasty, centered on Mei Fei, and also includes the story of Tang Xuanzong and Yang Guifei. Although this work has a certain significance and value, i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o far. Focusing on this situation, this paper identified the pattern and meaning of the transformation of Mei Fei story in this play, using the Jing Hong Ji as the main research subject.
      This paper mainly used the novel Mei Fei Zhuan of the China’s Song Dynasty to explore how the Mei Fei story was transformed. In Jing Hong Ji, the narrative of Mei Fei is quite different with the original work. And the changes to Mei Fei stor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revealed in terms of changes in the overall nature of the story due to the significantly different ending from the original, the image of the central character is portrayed as more intelligent and positive, and the added narrative elements, and the expansion of narrative space.
      And based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Mei Fei story, the playwriter’s creative intention inherent in the expression of the disappointments of life and career, self-comfort, metaphor and criticism on the reality and problems of the country at that time. In addition, this paper also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Jing Hong Ji in the history of Chinese antient opera in the aspect of the drama work of Mei Fei’s story, Yang Guifei’s story and the trend of the creation of plays at that era resp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봉, "역사극, 무대로 나온 역사: 역사극의 기원, 개념, 범주" 한국드라마학회 (32) : 7-35, 2010

      2 多口洞天人, "驚鴻記校注" 中國書店 2007

      3 佚名, "驚鴻記 鹽梅記(明清傳奇選刊)" 中華書局 2004

      4 康保成, "關於<驚鴻記>作者的新材料" 中國戱曲學院 72-74, 1999

      5 丁如明, "開元天寶遺事十種" 上海古籍出版社 1985

      6 洪昇, "長生殿" 人民文學出版社 1958

      7 王文才, "白樸戲曲集校注" 人民文學出版社 1984

      8 張曉慧, "淺析明朝後期的廉政機制" (1) : 83-84, 2014

      9 郝曉麗, "楊貴妃題材文學的文化解讀" 內蒙古師範大學 (1) : 4-5, 2009

      10 李春燕, "梅妃故事的文本演變與文化內涵" 內蒙古師範大學 (20) : 61-63, 2015

      1 김기봉, "역사극, 무대로 나온 역사: 역사극의 기원, 개념, 범주" 한국드라마학회 (32) : 7-35, 2010

      2 多口洞天人, "驚鴻記校注" 中國書店 2007

      3 佚名, "驚鴻記 鹽梅記(明清傳奇選刊)" 中華書局 2004

      4 康保成, "關於<驚鴻記>作者的新材料" 中國戱曲學院 72-74, 1999

      5 丁如明, "開元天寶遺事十種" 上海古籍出版社 1985

      6 洪昇, "長生殿" 人民文學出版社 1958

      7 王文才, "白樸戲曲集校注" 人民文學出版社 1984

      8 張曉慧, "淺析明朝後期的廉政機制" (1) : 83-84, 2014

      9 郝曉麗, "楊貴妃題材文學的文化解讀" 內蒙古師範大學 (1) : 4-5, 2009

      10 李春燕, "梅妃故事的文本演變與文化內涵" 內蒙古師範大學 (20) : 61-63, 2015

      11 孔尚任, "桃花扇․長生殿" 吉林出版集團有限責任公司 2010

      12 廖可斌, "晚明戲曲的戲劇化傾向-以部分稀見劇本為例" 中國社會科學院文學硏究所 (4) : 109-120, 2018

      13 郭英德, "明清文人傳奇研究"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92

      14 任翔宇, "明傳奇<驚鴻記>中引用辭格探析" 韶關學院 (10) : 42-45, 2018

      15 斯维, "明代书斋剧文体历史观察与再评价" Waseda University (6) : 165-173, 2018

      16 朱棟霖, "戲劇美學" 江蘇文藝出版社 1991

      17 張庚, "中國戲曲通史" 文化藝術出版社 2014

      18 "中國古典戲曲論著集成六" 中國戲劇出版社 1982

      19 유희준 ; 민관동, "《梅妃傳》의 국내유입과 번역양상" 비교문화연구소 27 : 255-289, 2012

      20 李潔, "<驚鴻記>的作者及其家世考" 中山大學 (3) : 49-57, 2013

      21 金學智, "<長恨歌>的主體多重奏--兼論詩人的創傷心理與詩中的性格悲劇" 中國社會科學院文學硏究所 (3) : 51-58,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7-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Chosun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978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