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전이성 저위험군 융모성질환에서 MTX와 EMA 화학요법제의 치료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for the efficiency of MTX and EMA in the patients of metastatic gestational trophoblastic tumor at low ris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3597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4년 3월부터 1994년 6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강남성모병원을 내원하여 임신 성융모성 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중 ,FIGO의 해부학적 분류에 따른 임상기 결정과 WHO 의 항암제 내...

      1984년 3월부터 1994년 6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강남성모병원을 내원하여 임신 성융모성 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중 ,FIGO의 해부학적 분류에 따른 임상기 결정과 WHO 의 항암제 내성 예측을 위한 인자에 근거한 예후점수제에 의해 병기 III의 저위험군으로 분류된 35명에서 일차약제로 MTX 와 FA를 단독으로 사용한 단일 화학요법군 22명과 EMA(VP-16, MTX 그리고 Act-D)를 사용한 복합 화학요법군 13명으로 나누어 각각의 치료효 과를 약제독성, 경쾌율, 약제 내성발현, 치료횟수, 치료기간 및 치료경비 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 군간에 예후인자에 따른 임상적 특징에 차이는 없었다. (p$gt;0.05). MTX 예민군과 저항 군들 사이에도 예후인자에 따른 임상적 특징에 차이가 없었다. (p$gt;0.05).
      2. MTX 군은 22명중 MTX만으로 경쾌에 이른 경우는 10명(45.5%)였고 12명(54.5%)은 MTX에 대한 약제내성을 나타내어 이차약제를 사용하였다. MTX군의 전체적인 경쾌율은 95.5%였고, 반면에 EMA군에서는 약제내성을 나타낸 경우 없이 100%의 경쾌율을 보였다.
      3. 완전경쾌까지의 평균 치료 횟수는 MTX군에서 5.8회(range 3-10)로 EMA군의 3.9회(3-6)에 비하여 현저히 많은 횟수의 화학요법제 사용이 필요하였다. (p$lt;0.05). 화학요법 시작부터 완 전경쾌까지의 평균 치료기간은 MTX군에서 평균 14.3주 (8.4-23.9)였고 EMA군에서는 평균 7.6주(4.9-10.6)로 EMA군의 치료기간이 MTX군에 비해 현저히 짧았다(p$lt;0.05).
      4. 약제독성은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p$gt;0.05).
      5. 완전경쾌까지의 평균 총치료경비는 EMA군이 MTX군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p$lt;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병기 III의 저위험군 환자에서 지금까지 일차약제로 사용하고 있 는 MTX와 FA 단독요법으로 많은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이고는 있지만 EMA 의 사 용으로 비교적 적은 독성과 약제내성의 발현없이 높은 관해율을 구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단일화학요법군에 비하여 치료횟수와 기간이 짧고 경비를 절감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저위험 군 전이성 임신성 융모성 질환환자에서 EMA는 MTX단독사용에 비하여 더 효과적인 치료 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더 많은 임상 자료의 축적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March 1984 through June 1994 thirty-five patients with stage III GTT at low risk were involv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randomly sub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first line chemotherapy regimen. Twenty-two patients had Methotrexate...

      From March 1984 through June 1994 thirty-five patients with stage III GTT at low risk were involv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randomly sub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first line chemotherapy regimen. Twenty-two patients had Methotrexate(MTX) with folinic and (FA). Thirteen patients had normal hCG value for 3 consecutive weeks, we comsidered is as remission. If the patients show plateau for more than 2 consecutive weeks we considered of hCG and if there is new evidence of metastasis we used second line chemotherapy .
      In the MTX group , 12 patients (54.5%) showed MTX-resistance and required second line chemotherapy , In contrast, of those 13 patients initially treated with EMA, no one showed chemoresistant disease. In the sensitive cases of MTX group , complete remission (CR) was achieved by 4.3 courses of chemotherapy (range, 3-6). In the EMA group 3.9 couses(range, 3-6) were required for CR. The mean interval between the initiaion of chemotherapy and induction of CR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MA group than sensitive cases of MTX group (7.6 vs 11.1 weeks). The costs of therapy to induce CR in two groups were compared. The overall cost of EMA group was less expensive than that of MTX groups. In both treatment group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oxicity of drugs. Accordio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ed that EMA regimen seems to be more effective than MTX with FA in the management of stage III GTT patients at low risk. EMA regimen also seems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chemoresistant cas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