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토대지진 시 불령선인 유언비어와 조선인 학살: 도쿠다 슈세이(德田秋聲) 「파이어건(フアイヤガン)」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Futei-Senjin” Rumors and the Massacre of Koreans After Kanto Earthquake: Through Shusei Tokuda’s Fire G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57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도쿠다 슈세이의 단편소설 「파이어건」을 중심으로 간토대지진 직후 유포ㆍ확산된 불령선인 유언비어와 조선인 학살사건을 검토한 것이다. 간토대지진 때 발생한 조선인 관련 유...

      본고는 도쿠다 슈세이의 단편소설 「파이어건」을 중심으로 간토대지진 직후 유포ㆍ확산된 불령선인 유언비어와 조선인 학살사건을 검토한 것이다. 간토대지진 때 발생한 조선인 관련 유언비어는 일본인이 가지는 조선인에 대한 뿌리 깊은 편견과 차별의식으로 인한 것이었다. 도쿠다 슈세이는 「파이어건」을 통해 간토대지진 당시 일본인들이 조선인 관련 유언비어를 무분별하게 맹신한 것을 비판하고 있으며, 조선인 학살사건이 일본인의 편견과 차별의식 때문에 일어난 잔학이었음을 지적한다. 당시 대부분의 일본 지식인ㆍ문학가들에게 조선인 학살사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결여되어 있었던 것에 비해, 도쿠다 슈세이가 언론통제가 해금되자마자 불령선인 유언비어와 조선인 학살사건에 대한 비판적ㆍ풍자적 소설을 발표한 것은 그 자체로 의의가 있다. 본고에서는 한 작품만을 분석했으나 향후 조선인 학살사건 관련 문학작품들을 종합적ㆍ다각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Shusei Tokuda’s short story Fire Gun, this paper reviews the rumors of Futei-Senjin and the Massacre of Koreans distributed and spread right after the Kanto earthquake. The rumors related to Koreans-after the Kanto earthquake-arose from ent...

      Based on Shusei Tokuda’s short story Fire Gun, this paper reviews the rumors of Futei-Senjin and the Massacre of Koreans distributed and spread right after the Kanto earthquake. The rumors related to Koreans-after the Kanto earthquake-arose from entrenched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s by the Japanese. Shusei Tokuda criticizes the Japanese through Fire Gun for indiscriminately accepting rumors about Koreans at the time and points out that the massacre was atrocities caused by their bias and the sense of discrimination. While most Japanese intellectuals and writers of those days lacked critical reflection on the Massacre of Koreans, Shusei Tokuda published a critical and satirical novel about Futei-Senjin rumors and the Massacre of Koreans as soon as the media control lifted is significant itself. Although this paper analyzes only one piece of work,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Massacre of Koreans needs to be reviewed comprehensively and variously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덕상(姜德相), "학살의 기억,관동대지진" 역사비평사. 2005

      2 윤정화, "제노사이드 기억의 재현방식과 재일한인의 정체성 -재일한인 작가 이양지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46) : 225-250, 2011

      3 조경숙,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와 관동대지진" 한국일본학회 (77) : 99-109, 2008

      4 조경숙,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之介)와 조선-조선인식의 변천을 중심으로-" 56 (56): 45-66, 2006

      5 임태균, "시마자키 도손의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子に送る手紙)」론" 한국일본학회 (89) : 179-190, 2011

      6 이지형, "마사무네 하쿠초(正宗白鳥)『살인을 저질렀지만』(人を殺したが)의 풍경- 살인의 추억 그리고 관동대지진 -" 동아시아일본학회 (10) : 137-154, 2004

      7 허석, "근대일본문학에 나타난 자연재해와 그 폭력성의 연원에 대한 연구 -關東大地震과 朝鮮人虐殺事件을 中心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383-406, 2015

      8 김창윤, "군중심리와 경찰의 군중통제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7 (7): 25-50, 2011

      9 가토 나오키(加藤直樹), "구월, 도쿄의 거리에서: 1923년 간토대지진 대량학살의 잔향" 갈무리 2015

      10 홍진희, "관동보고서-관동대지진재조선인대학살" 나무와숲 1998

      1 강덕상(姜德相), "학살의 기억,관동대지진" 역사비평사. 2005

      2 윤정화, "제노사이드 기억의 재현방식과 재일한인의 정체성 -재일한인 작가 이양지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46) : 225-250, 2011

      3 조경숙,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와 관동대지진" 한국일본학회 (77) : 99-109, 2008

      4 조경숙,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之介)와 조선-조선인식의 변천을 중심으로-" 56 (56): 45-66, 2006

      5 임태균, "시마자키 도손의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子に送る手紙)」론" 한국일본학회 (89) : 179-190, 2011

      6 이지형, "마사무네 하쿠초(正宗白鳥)『살인을 저질렀지만』(人を殺したが)의 풍경- 살인의 추억 그리고 관동대지진 -" 동아시아일본학회 (10) : 137-154, 2004

      7 허석, "근대일본문학에 나타난 자연재해와 그 폭력성의 연원에 대한 연구 -關東大地震과 朝鮮人虐殺事件을 中心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383-406, 2015

      8 김창윤, "군중심리와 경찰의 군중통제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7 (7): 25-50, 2011

      9 가토 나오키(加藤直樹), "구월, 도쿄의 거리에서: 1923년 간토대지진 대량학살의 잔향" 갈무리 2015

      10 홍진희, "관동보고서-관동대지진재조선인대학살" 나무와숲 1998

      11 이상복, "관동대지진과 조선인에 대한 유언비어- 히라바야시 다이코의 「숲 속」을 중심으로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42 : 293-308, 2018

      12 이지형, "관동대지진과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子に送る手紙) 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13) : 91-114, 2005

      13 야마다 쇼지(⼭⽥昭次),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에 대한 일본 국가와 민중의 책임" 논형 2008

      14 이미경, "관동대지진 관련 문학으로 본 조선인관‒자연주의 작가를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44) : 173-190, 2014

      15 이연, "關東⼤地震과 ⾔論統制-조선인 학살사건과 보도통제를 중심으로" 27 : 345-380, 1992

      16 ⼯藤美代⼦, "関東⼤震災「朝鮮⼈虐殺」の真実" 産経新聞出版 2009

      17 琴秉洞, "朝鮮⼈虐殺に関する知識⼈の反応" 緑蔭書房 1996

      18 アンドレ ヘイグ(Andre, Haag), "中西伊之助と⼤正期⽇本の「不逞鮮⼈」へのまなざし—⼤衆ディスクールとコロニアル⾔説の転覆" 22 (22): 81-97, 2011

      19 李善⽟, "中島敦序說- 巡査の居る⾵景 を中⼼として-" 47 (47): 2003

      20 德⽥秋聲, "フアイヤガン" 中央公論新社 1923

      21 "デジタル台⾵:100年天気図データベース-過去の天気図アーカイブと⽇本の気象観測の歴史"

      22 조미경, "1923년 간토(関東)대지진과 조선인학살 사건을 둘러싼 일본문학자의 인식 연구" 한국일본근대학회 (65) : 69-86, 2019

      23 김여진, "1919년 3·1운동 전후 부정적 조선인 표상과 불령선인 담론의 형성 :일본어 신문미디어를 중심으로" 글로벌일본연구원 (34) : 143-178,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