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1세기 신철기문화의 중요성과 “Neo Iron Age Movement" 문화정책 제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the Culture of the Neo Iron Age in the 21st Century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olicies in “ The Neo Iron Age Movemen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829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people loved culture and were superior in handling materials. Particularly in ancient times, the whole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was rich in iron and the culture of the Iron Age flourished in the region. What is more, the culture of the Iron...

      Korean people loved culture and were superior in handling materials. Particularly in ancient times, the whole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was rich in iron and the culture of the Iron Age flourished in the region. What is more, the culture of the Iron Age became a driving force for the modern industrialization of Korea in the 20th century, which was a marvelous success unprecedented in world history. With the rapid progress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each country in the world is competing for the development of original and creative cultural contents. This means that the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and local culture is increasingly important as a driving force of future national industrie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 in a new way and to suggest policies and execution plans for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This is a part of national policies for exploring new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identity will be a strategic keyword for enhancing pride in our culture and leading the culture of the worl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cultural identity of this country as a suzerain state of culture in the new age for developing stepwise execution plans, and reviews the meanings and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values of the culture of the Neo Iron Age, which is the origin of today’s digital civil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The 21st‐century Neo Iron Age Movement is a movement of arts and culture in the 21st century for the peace of human beings, going beyond the instrumental concept in the progress and utilization of materials including iron in the historic age, and it mean the transition from the age of labor products to the age of cultural products. This will open the future of new paradigm that realizes harmony between material and spirit and respect for the environment and human life. A huge synergy effect is expected from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industrial and economic logic with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민족은 문화를 사랑하고 물질을 다루는 능력이 뛰어났다. 특히 고대에는 한반도 전체에 철이 풍부하여 화려한 철기문화를 꽃피웠다. 또한 철기 문화는 20세기 한국 근대산업의 원동력이...

      우리민족은 문화를 사랑하고 물질을 다루는 능력이 뛰어났다. 특히 고대에는 한반도 전체에 철이 풍부하여 화려한 철기문화를 꽃피웠다. 또한 철기 문화는 20세기 한국 근대산업의 원동력이 되어 세계에 유래 없는 성공신화를 이루었다. 세계화와 정보화의 급진전에 따라 각국은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것은 민족문화와 지역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국가 미래산업의 원동력으로 보는 것이며, 그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정체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규명하고 이를 확립하기 위한 정책과 실행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새로운 문화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국가정책으로서, 우리문화에 대한 자긍심 고취와 더불어 세계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전략적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다. 또한 새로운 시대의 문화종주국으로서 단계별 실행방안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시대의 문 화 정체성을 종합적인 시각에서 조망하고, 동시대 디지털문명의 시원이 된 신철기 문화의 의미와 시대 정신적 가치를 인류 문명사적 관점에서 연결하여 재조명하고자 한다. 21c Neo Iron Age Movement 의 문화정책 제안은 역사 시대의 철을 포함한 물질의 진보와 활용에 대한 지금까지의 도구적 개념을 넘어 인류 평화를 위한 21c예술 문화 운동으로, 노동 상품 시대에서 문화 상품 시대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는 곧 물질과 정신의 조화, 환경과 생명존중이 실현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미래를 열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의 산업과 경제 논리의 중심에서 그 시각을 문화 예술 활동과 융합시킴으로서 거대한 시너지 효과를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본 론
      • Ⅲ. "Neo Iron Age Moverment" 의 문화전략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 론
      • Ⅱ. 본 론
      • Ⅲ. "Neo Iron Age Moverment" 의 문화전략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