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섬진강 하구역에서 환경요인 및 기초생산성의 변화 =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61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섬진강 하구역에서 일차생산을 조절하는 환경요인과 기작을 포악하기 위하여 엽록소 a, 영양염, pH, 부유물질, 용존산소, 염분과 일차생산을 2001년 2월, 4월, 8월, 10월 네 차례에 걸쳐서 측정하...

      섬진강 하구역에서 일차생산을 조절하는 환경요인과 기작을 포악하기 위하여 엽록소 a, 영양염, pH, 부유물질, 용존산소, 염분과 일차생산을 2001년 2월, 4월, 8월, 10월 네 차례에 걸쳐서 측정하였다. 조사기간 중 일차생산의 범위는 50.7에서 14,203.3 mg C $m^{-3} day^{-1}$의 범위를 보여주었다. 다른 하구역과는 대조적으로 본 조사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시기에 높은 수층 투명도로 인하여 광 조건이 광합성의 제한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염분이 10에서 20 psu사이의 지역에서 가을철 대증식이 발생하였는데, 이 현상은 매년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그 기작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일차생산을 조절하는 주된 요인 중의 하나인 영양염의 거동은 염분에 의하여 지배되는 것으로 보인다. 질소계 영양염의 주된 공급원은 섬진강으로부터의 담수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반면, 인은 광양만 유역의 산업폐수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사지역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차생산은 시간적 공간적인 변화를 보이며, 수층의 투명도와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고, 인접한 광양만 내의 연안역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aquatic environmental factors and processes controlling primary produc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chlorophyll a, nutrients, pH, SS, DO, temperature, salinity and primary productivity were measured in February, April, August a...

      To investigate the aquatic environmental factors and processes controlling primary produc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chlorophyll a, nutrients, pH, SS, DO, temperature, salinity and primary productivity were measured in February, April, August and October, 2001. Primary productivity values ranged between 50.7 and 14,120.3 mg C $m^{-3} day^{-1}$ during the sampling period. In contrast to other estuaries, light condition did not seem to be the important limiting factor far primary production due to high water-column transparency during most of the time. The autumn bloom occurred in regions where salinity values ranged between 10 and 20 psu. This phenomenon appeared to develop every year and deserves further investigation. The behavior of nutrients, which is one of the major factors controlling the primary productivity, appeared to be governed by salinity regimes. The main source of nitrogenous nutrients seemed to be the freshwater runoff from the Seomjin River. However, that of phosphorus seemed to be from the industrial wastewater in Gwangyang area. The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tudy area varied with space and time, showing a close correlation with water column transparency, and exhibited higher values compared to those of adjacent coastal regions in Gwangyang B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섬진강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입자성유기물의 분포" 35 : 86-96, 2002

      2 "섬진강 하구역의 환경요인에 따른 해양생태계 및 생산성 변화" 2002

      3 "섬진강 하구역에서 영양염의 하구내 거동과 플럭스" 9 : 153-163, 2004

      4 "섬진강 수계 수질과 부착조류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19 : 276-283, 2000

      5 "동진강 하구에서의 박테리아 및 식물플랑크톤의 역할과 상호 관계" 1993

      6 "동진강 하구 표영생태계의 무생물 환경과 일차생산자 환경 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1991

      7 "낙동강 하구역의 담수유입에 따른 해양환경 및 일차생산력 변화" 16 : 165-178, 2001

      8 "금강하구역의 부유물질변동에 관한 연구" 1988

      9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퇴적물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1993

      10 "광양만 생태계의 미생물군집에 관한 환경요인 분석" 16 : 143-150, 1998

      1 "섬진강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입자성유기물의 분포" 35 : 86-96, 2002

      2 "섬진강 하구역의 환경요인에 따른 해양생태계 및 생산성 변화" 2002

      3 "섬진강 하구역에서 영양염의 하구내 거동과 플럭스" 9 : 153-163, 2004

      4 "섬진강 수계 수질과 부착조류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19 : 276-283, 2000

      5 "동진강 하구에서의 박테리아 및 식물플랑크톤의 역할과 상호 관계" 1993

      6 "동진강 하구 표영생태계의 무생물 환경과 일차생산자 환경 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1991

      7 "낙동강 하구역의 담수유입에 따른 해양환경 및 일차생산력 변화" 16 : 165-178, 2001

      8 "금강하구역의 부유물질변동에 관한 연구" 1988

      9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퇴적물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1993

      10 "광양만 생태계의 미생물군집에 관한 환경요인 분석" 16 : 143-150, 1998

      11 "nutrients and turbidity in the Chesapeake" 1988

      12 "diatom and freshwater productivity maximum in Atlantic coastal plain estuaries" 1986

      13 "Very low salinity regions of estuaries important sites for chemical and biological reactions" 1978

      14 "The use of radioactive carbon for measuring organic production in the sea" -14, 1952

      15 "The distribution pattern of nutrients at the cultivation ground of laver in Kwangyang Bay" 19881986

      16 "The determination of dissolved oxygen in water" 1888

      17 "The chemistry of the Delaware estuary" lim ocea (lim ocea): 1982

      18 "The behaviour of dissolved iron and its variability in the Keum estuary a macrotidal system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ocea (ocea): 1992

      19 "The behavior of trace metal in the Geum estuary" 1990

      20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nutrient and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York River Estuary Analyses of long-term data" 22 : 1999

      21 "Sources of nitrogen and phosphorus to northern San Francisco Bay" 1992

      22 "Seasonal variability and biogeochemistry of phosphorus in the Scheldt Estuary" 1994

      23 "River discharge controls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northern San Francisco Bay" 16 : 1983

      24 "Primary productivity regime and nutrient removal in the Danube Estuary" 45 : 1997

      25 "Phytoplankton productivity response to nutrient concentrations light availability and temperature along an Australian estuarine gradient" 20 (20): 1997

      26 "Nutrients and primary production in permanently well-mixed temperate coastal water" 1983

      27 "Hydrodynamic trapping in the formation of chlorophyll a peak in turbid very low salinity waters of estuaries" 1990

      28 "Diatom of Yeosu coasts of Korea in spring" 1977

      29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173-, 1984

      30 "2000년 추계 섬진강하구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HPLC와 현미경 자료 분석 비교" 16 : 179-188, 2001

      31 "10대강 유역의 물수지"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바다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9 0.93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