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수문·수질 변화 = Assessing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Components in Nakdong River Bas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187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낙동강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추출을 위해 CGHR(T63) 모형과 A1B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를 통계적 규모내림방법으로 대상유역의 규모로 축소 변환한 후, 수문 수질의 거동변화 등의 영향을 ...

      낙동강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추출을 위해 CGHR(T63) 모형과 A1B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를 통계적 규모내림방법으로 대상유역의 규모로 축소 변환한 후, 수문 수질의 거동변화 등의 영향을 모의하기 위해 SS와 T-P를 대상으로 SWAT 모델을 적용하였다. 과거 30년 자료와 비교한 결과, 지표유출은 지역에 따라 최대 60%까지, 오염배출부하는 TSS와 T-P의 경우 각각 35~45%, 5~20%정도 변화되어,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지표유출과 오염부하 배출은 향후 뚜렷한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그 증가 경향은 낙동강 하류지역보다 상류지역에 크게 나타나며 계절별로는 겨울과 봄철의 증가가 크고 먼 미래로 갈수록 증가하는 반면, 여름과 가을철에는 먼 미래로 갈수록 증가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갈수기 지표수 수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jected changes and their impacts on water quality are simulated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tressors. CGHR (T63) simulation on the A1B scenario is converted to regional scale data using a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and applied to SWAT model...

      Projected changes and their impacts on water quality are simulated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tressors. CGHR (T63) simulation on the A1B scenario is converted to regional scale data using a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and applied to SWAT model to assess water quality impacts in Nakdong River basi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rainfall-runoff and pollutant loading in the future (2011~2100) will clearly increase as compared to the last 30-year average. The rate of pollutant loading increase is expected to continue its acceleration until 2040s. Runoff also shows similar patterns to the precipitation, increasing by 60%. Accordingly, the runoff increase results in escalation of pollutant loading by 35~45% for TSS and 5~20% for T-P. This phenomenon is more pronounced in the upper basin during winter and spring seas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일원, "유출모형이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1 (41): 907-917, 2008

      2 손태석, "유역기반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하천유량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3 (43): 865-881, 2010

      3 한수희, "식생 물 부족 지수의 추계학적 거동과 기후변화가 그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환경학회 25 (25): 507-514, 2009

      4 환경부, "수자원·수질 부문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 인벤토리 발굴 연구(I)" 2008

      5 안종호, "물관리 취약성 과 물안보 전략 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3-64, 2009

      6 장재호, "낙동강 유역의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모델링 적용 연구" 한국물환경학회 28 (28): 409-417, 2012

      7 이아연, "낙동강 유역 환경유량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27 (27): 273-285, 2011

      8 이동규, "기후변화에 의한 한반도 기후와 유출량의 변화" 대한설비공학회 37 (37): 8-12, 2008

      9 양해근,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의 물수지 변화" 대한지리학회 42 (42): 405-420, 2007

      10 손태석,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기온 경향성 및 수온과의 탄성도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26 (26): 822-833, 2010

      1 정일원, "유출모형이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1 (41): 907-917, 2008

      2 손태석, "유역기반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하천유량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3 (43): 865-881, 2010

      3 한수희, "식생 물 부족 지수의 추계학적 거동과 기후변화가 그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환경학회 25 (25): 507-514, 2009

      4 환경부, "수자원·수질 부문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 인벤토리 발굴 연구(I)" 2008

      5 안종호, "물관리 취약성 과 물안보 전략 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3-64, 2009

      6 장재호, "낙동강 유역의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모델링 적용 연구" 한국물환경학회 28 (28): 409-417, 2012

      7 이아연, "낙동강 유역 환경유량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27 (27): 273-285, 2011

      8 이동규, "기후변화에 의한 한반도 기후와 유출량의 변화" 대한설비공학회 37 (37): 8-12, 2008

      9 양해근,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의 물수지 변화" 대한지리학회 42 (42): 405-420, 2007

      10 손태석,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기온 경향성 및 수온과의 탄성도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26 (26): 822-833, 2010

      11 정제호,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댐유역의 장기 수질변화 예측"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 (20): 107-121, 2011

      12 박종윤, "기후변화가 충주댐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위한 유역 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 42 (42): 877-889, 2009

      13 이정호, "기후변화 연동 4대강 유역 지하수 함양량 예측 및 이용 가능량 산정 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149, 2010

      14 안종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수질제어 및 관리방안(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202, 2011

      15 안종호, "기후변화 대응 수질제어 및 관리방안 (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12-132, 2010

      16 환경부, "국제환경현안 대응‧해결기술: 기후변화에 의한 물순환의 예측 및 평가"

      17 Neitsch, S.L.,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nd Texa 1-476, 2005

      18 Nash, J.E., "River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 10 (10): 282-290, 1970

      19 Tung, C.P., "Modelling climate-change impacts on stream temperature of Formosan landlocked salmon habitat" 20 : 1629-1649, 2006

      20 Nearing, M.A., "Modeling response of soil erosion and runoff to changes in precipitation and cover" 61 : 131-154, 2005

      21 Michael, A., "Impact of expected increase in precipitation intensities on soil loss results of comparative model simulations" 61 : 155-164, 2005

      22 Kim, B.S.,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in Youndam Dam Basin, Korea" 21 : 355-373, 2007

      23 Bouraoui, F.,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water cycle and nutrient losses in a Finnish catchment" 66 : 109-126, 2004

      24 국립기상연구소, "IPCC 5차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보고서" 1-117, 2011

      25 Donigian, Jr., A.S., "HSPF Training Workshop Handbook and CD. Lecture #19.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Issues, Slide #L19-22, EPA Headquarters, Washington Information Center, 10-14 January, 2000"

      26 최대규, "CGCM 미래기후정보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병성천 유역 수문 및 수질반응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2 (42): 921-931, 2009

      27 ASCE, "ASCE Task Committee on Definition of Criteria for Evaluation of Watershed Models" 119 (119): 429-442, 1993

      28 Komatsu, E., "A modeling approach to forecast the effect of long- term climate change on lake water quality" 209 : 351-366, 2007

      29 환경부, "2007년 상수도 통계연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