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성과관리 준거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PDCA 모형을 기반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Criteria in Maj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University : Based on the PDCA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28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 혁신의 방향성으로 강조되고 있는 전공역량 기반의 대학 전공교육과정 성과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준거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PDCA 모형을 토...

      본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 혁신의 방향성으로 강조되고 있는 전공역량 기반의 대학 전공교육과정 성과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준거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PDCA 모형을 토대로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교육과정 운영 및 개선’ 지표 관련 주요 진단요소를 분석하여 세부적인 준거를 개발하고 전문가들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대학의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성과관리 준거로서 PDCA의 단계에서 총 17개 요소, 35개 세부지표를 개발하였다. Plan(계획)은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계획 체계성, 대내·외 환경분석 적절성, 요구분석 적절성, 학과 교육목표-인재상-인재양성유형 연계성, 전공역량 체계 및 구체성, 교육과정 편성 타당성의 6개 요소와 16개 세부지표로, Do(실행)는 교육과정 운영 적절성, 현장중심 교육과정 실행도, 교수-학습 방법개선 노력 정도, 교육환경 및 예신 집행 적절성의 4개 요소와 8개 세부지표로 구성하였다. Check(평가)는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결과 적절성, 교육과정 운영 성과 우수성, 교육과정 우수사례 및 대학 기여도의 3개 요소와 7개 세부지표로, Act(개선)는 교육과정 개선 및 환류체계 실행성, 개선 및 환류 실적 우수성, 성과 공유 및 확산 노력, 차년도 환류 계획 적절성의 4개 요소와 4개 세부지표를 개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nd verified the criteria for implementing performance management of university major curriculum based on major competency, which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as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deve...

      This study developed and verified the criteria for implementing performance management of university major curriculum based on major competency, which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as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detailed criteria by analyzing the main diagnostic factors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curriculum' index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in 2021 based on the PDCA model, and verified the feasibility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To summariz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 total of 17 elements and 35 detailed indexes were developed at the stage of PDCA as a criterion for performance management of university maj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Plan consists of six elements including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systemicity’, ‘Internal·external environmental analysis adequacy’, ‘Needs analysis adequacy’, Department education objectives-talent consept-talent training type linkage’, ‘Major competency system and specificity’, and ‘Curriculum organization validation’ with 16 detailed indexes, and Do consists of four factors, including ‘Adequacy of curriculum operation’, ‘Field-orien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Effort to improve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Adequacy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budget enforcement’ with eight detailed indexes. Check consists of three factors including ‘Curriculum operation performance and results appropriateness’, ‘Curriculum operation performance excellence’, and ‘Curriculum best practices and university contributions’ with seven detailed indexes, and Act consists of four elements and four detailed indexes, including 'Curriculum improvement and feedback system’, 'Improvement and feedback performance excellence', 'Performance sharing and diffusion efforts', and 'relevance of feedback plan for next year'. In addition, the performance was continuously analyzed according to the PDCA stag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data that should be managed for each performance management criterion were derived for monitor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정, "핵심역량 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65-87, 2018

      2 정성욱, "직무모형을 중심으로 한 4년제 대학 실내디자인 관련 전공교육과정 개발 연구 -K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46-555, 2019

      3 이병혁,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59-178, 2018

      4 이정하, "정보보호 관리체계 PDCA 모형에 기초한 정보보호경영 PDCA 모형 개발 및 사례분석: A 생명보험회사 중심으로"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13 (13): 221-238, 2016

      5 고은영, "융합 대학전공 교과목 및 교육과정 개발: 범죄피해케어전문가양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513-524, 2017

      6 임유나,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과제: 평가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5 (55): 33-61, 2017

      7 김수연, "역량 기반 교육과정 레퍼런스 1.0" 한국전문대학교수학습발전협의회 2019

      8 심동희, "성과관리시스템 도입에 따른 표준화된 대학경영효율화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정책학회 24 (24): 179-202, 2019

      9 교육부, "대학혁신 지원 방안" 교육부 2019

      10 김대중,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핵심역량교육학회 2 (2): 23-45, 2017

      1 박혜정, "핵심역량 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65-87, 2018

      2 정성욱, "직무모형을 중심으로 한 4년제 대학 실내디자인 관련 전공교육과정 개발 연구 -K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46-555, 2019

      3 이병혁,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59-178, 2018

      4 이정하, "정보보호 관리체계 PDCA 모형에 기초한 정보보호경영 PDCA 모형 개발 및 사례분석: A 생명보험회사 중심으로"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13 (13): 221-238, 2016

      5 고은영, "융합 대학전공 교과목 및 교육과정 개발: 범죄피해케어전문가양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513-524, 2017

      6 임유나,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과제: 평가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5 (55): 33-61, 2017

      7 김수연, "역량 기반 교육과정 레퍼런스 1.0" 한국전문대학교수학습발전협의회 2019

      8 심동희, "성과관리시스템 도입에 따른 표준화된 대학경영효율화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정책학회 24 (24): 179-202, 2019

      9 교육부, "대학혁신 지원 방안" 교육부 2019

      10 김대중,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핵심역량교육학회 2 (2): 23-45, 2017

      11 전호재, "대학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 탐색(Ⅱ) - 교양 교육과정의 수준에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89-210, 2019

      12 윤유진,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259-286, 2018

      13 "교육부 홈페이지"

      14 전영옥, "교육과정 매핑 시스템 기반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질 관리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437-466, 2019

      15 김소형, "공공부분 프로젝트 내부성과 평가모형에 대한 연구* -BSC 관점과 PDCA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상업교육학회 25 (25): 177-194, 2011

      16 Deming, W. E., "the Deming Cycle"

      17 Okoli, C., "The Delphi method as a research tool: an example, design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s" 42 (42): 15-29, 2004

      18 이성하, "Stufflebeam의 7-CIPP 평가 모형에 기초한 대학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평가 준거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8 (28): 471-496, 2016

      19 이인태, "PDCA를 활용한 서비스 프로세스 혁신 분석:IBM의 TSS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7 (17): 143-160, 2016

      20 김옥주, "PDCA기반 CIPP 모형을 적용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 연구" 한국융합학회 10 (10): 215-226, 2019

      21 신승호, "BSC 운용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PDCA 모형중심으로" 102-108, 2007

      22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23 교육부,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편람 시안 설명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발전연구소 -> 교육연구소
      영문명 : Educ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CNU Research Institute of Education
      2005-10-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발전연구소 -> 교육연구소
      영문명 : Educ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CNU Research Inxtitute of Edu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6 1.48 1.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