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과 융합한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A Study on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Visual Art Education Integrated with Sc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98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visual art education integrated with scienc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reviewing prior literature and research, and discussions with 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visual art education integrated with scienc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reviewing prior literature and research, and discussions with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to investigate teachers’ awarenes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5 questions related to the following 5 areas: ‘comprehensionㆍdemanding’, ‘objectsㆍeffects’, ‘methodㆍcontents’ ‘teacher professionality’, and ‘linkage with Nuri cont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6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x2-tes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visual art education integrated with science. Finally, ways to promote efficiency of visual art education integrated with science for young children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융합한 미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는데 있다. 과학과 융합한 미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집단, 유아...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융합한 미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는데 있다. 과학과 융합한 미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집단, 유아교사와의 협의를 통해 연구도구인 설문지를 개발하고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과학과 융합한 유아미술교육 ‘이해ㆍ요구’, ‘목표ㆍ효과’, ‘운영ㆍ내용’, ‘교사의 전문역량’, ‘누리과정 내용 연계’의 5개 영역 총 2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256명의 유아교사들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x2, t-검증, One-Way ANOVA를 통해 분석하였고 집단 간의 차이 분석은 Scheffé 검증을 통해 추후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과 융합한 미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유나,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53-80, 2012

      2 이효녕,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30-45, 2012

      3 노현희, "탐구중심 과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11 (11): 47-69, 2006

      4 김왕동,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과제 :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STEAM)" 67 : 1-31, 2011

      5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1-41, 2010

      6 백은주, "융합인재교육(STEAM) 개념에 근거한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과 미술 통합 활동 유형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93-112, 2014

      7 지성애,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99-133, 2010

      8 지성애, "유치원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5-29, 2013

      9 김치곤,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SMR 과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10 조형숙, "유아교사의 과학지식과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 5 (5): 117-139, 2001

      1 임유나,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53-80, 2012

      2 이효녕,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30-45, 2012

      3 노현희, "탐구중심 과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11 (11): 47-69, 2006

      4 김왕동,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과제 :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STEAM)" 67 : 1-31, 2011

      5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1-41, 2010

      6 백은주, "융합인재교육(STEAM) 개념에 근거한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과 미술 통합 활동 유형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93-112, 2014

      7 지성애,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99-133, 2010

      8 지성애, "유치원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5-29, 2013

      9 김치곤,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SMR 과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10 조형숙, "유아교사의 과학지식과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 5 (5): 117-139, 2001

      11 지성애, "유아 미술감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5-29, 2013

      12 김남연, "예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107-130, 2013

      13 지성애, "만 3세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23-48, 2014

      14 이연승, "누리과정에서 STEAM(융합인재교육)의 방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27-341, 2014

      15 박성익,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e-Learning 기반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효과 : 초등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27-55, 2006

      16 이석희, "과학 실험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과학 태도, 자아존중감, 자기유능감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538-551, 2010

      17 지성애, "감각운동 중심 미술활동이 만 3세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언어능력,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79-105, 2014

      18 Gazzaniga, M., "The Dana Consortium Report on Arts and Cognition" Dana Press 2008

      19 French, L., "Science as the center of a coherent, integrat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19 (19): 138-, 2004

      20 Kohl, M., "Science arts’ : Discovering science through art experience" 학지사 2005

      21 UNESCO, "Road Map for Arts Education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Building Creative Capacities for the 21st Century"

      22 Piaget, J.,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Norton 1962

      23 Charlesworth, R., "Math and science for young children" Delmar Publishers 2006

      24 박호철, "MBTL 수업절차 모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25 Taylor, C. A., "In science education and information transfer" Pergamon(for ICSU Press) 1987

      26 Özbey, S., "Identifying the general ideas, attitudes and expectations pertaining to science activities of the teachers employed in preschool education" 5 (5): 123-131, 2008

      27 Koster, J. B., "Growing artists : Teaching the art to young children" Delmar 2012

      28 Sharapan, H., "From STEM to STEAM: How early childhood educators can apply Fred Rogers' Approach" 67 (67): 36-40, 2012

      29 Johnston, J., "Early explorations in science" Open University Press 2005

      30 Mayesky, M.,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Delmar Publisher Inc 2004

      31 Alberts, R., "Beyond penquins and polar bears"

      32 Alvino, F. J., "Ar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 A look at art in early childhood settings"

      33 Fox, J. E.,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Delmar Pub 2012

      34 Efland, A.D., "Art and cognition : Integrating the visual arts in the curriculum" 교육과학사 2002

      35 Garvis S., "An investig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in the teaching of arts Education" 12 (12): 1-15, 2011

      36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