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팔관회에 담긴 고려시대의 특성-현재적 계승과 관련하여- = The Characteristic of the Goryeo Dynasty Inherent in Its Palgwanhoe -In Relation to Its Current Succ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687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Benedetto Croce said, 'all history has a character of contemporary history’. But if this contemporary history has some preconceived view about the past history, it cannot reflect a right historical image. For example, the Joseon Dynasty very diff...

      As Benedetto Croce said, 'all history has a character of contemporary history’. But if this contemporary history has some preconceived view about the past history, it cannot reflect a right historical image. For example, the Joseon Dynasty very different in the historic image was succeeded to from the Goryeo Dynasty like Korea. And if the influence of the Joseon Dynasty has lasted up to the present, specialists as well as the masses have pointed out that there could be a limit in the understandings of the present interest and the situation.
      Seeing that the family, historical consciousness, cultural herittage and even the capital location of the Joseon Dynasty is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current Korea, contemporary Koreans have a very great affinity with the Joseon Dynasty in general. Moreover, it can be said that discontinuity with the mood of the former times is very great for each of the kingdoms on the Korean peninsula had a longer reigning period of more than 500 years compared to kingdoms in Europe. In this sense, it is thought that contemporary Koreans have a poor knowledge of the historical image of the Goryeo Dynasty and are little interested in it. It can be said that the contemporary-history meaning of history formed based on this historical understanding has some given limitation. Among other things, the method of overcoming this problem would be to throw abundant light on the positive historical image of the Goryeo Dynasty in an objective way.
      This study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Palgwanhoe in the Goryeo Dynasty having the emperor kingdom, diversity, openness and festivity and to track the meaning of contemporary succession to it. In addition, it pointed out some points for the contemporary succession of the tradition. They include the viewpoint of long-term persistence of the Korean kingdom, the re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ulture, the application of digital humanities, the importance of ceremonies and the so 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creation of the tradition from this perspect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바로, "해외 디지털인문학 동향" 인문콘텐츠학회 (33) : 229-254, 2014

      2 김종명, "한국중세의 불교의례;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 문학과 지성사 2001

      3 김효분, "한국 제의식에 나타난 가무적 요소 : 신화, 고대제의, 팔관회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4 이욱연, "한.중 문화교류와 한.중 '공동의 집'" 역사문제연구소 (69) : 128-141, 2004

      5 김동윤, "프랑스 ‘디지털 인문학’의 인문학 맥락과 동향" 인문콘텐츠학회 (34) : 9-27, 2014

      6 구미래, "팔관회의 현대적 계승과 복원" 불교학연구회 35 : 177-210, 2013

      7 김기봉, "역사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 만들기" 푸른역사 2006

      8 한흥섭, "백희가무를 통해 본 고려시대 팔관회의 실상 - 팔관회는 불교의례인가? -" 민족문화연구원 (47) : 347-388, 2007

      9 김기덕, "문화콘텐츠의 핵심 원천으로서의 역사학" 역사학회 (224) : 425-448, 2014

      10 김현, "디지털 인문학 -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구도에 관한 구상 -" 인문콘텐츠학회 (29) : 9-26, 2013

      1 김바로, "해외 디지털인문학 동향" 인문콘텐츠학회 (33) : 229-254, 2014

      2 김종명, "한국중세의 불교의례;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 문학과 지성사 2001

      3 김효분, "한국 제의식에 나타난 가무적 요소 : 신화, 고대제의, 팔관회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4 이욱연, "한.중 문화교류와 한.중 '공동의 집'" 역사문제연구소 (69) : 128-141, 2004

      5 김동윤, "프랑스 ‘디지털 인문학’의 인문학 맥락과 동향" 인문콘텐츠학회 (34) : 9-27, 2014

      6 구미래, "팔관회의 현대적 계승과 복원" 불교학연구회 35 : 177-210, 2013

      7 김기봉, "역사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 만들기" 푸른역사 2006

      8 한흥섭, "백희가무를 통해 본 고려시대 팔관회의 실상 - 팔관회는 불교의례인가? -" 민족문화연구원 (47) : 347-388, 2007

      9 김기덕, "문화콘텐츠의 핵심 원천으로서의 역사학" 역사학회 (224) : 425-448, 2014

      10 김현, "디지털 인문학 -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구도에 관한 구상 -" 인문콘텐츠학회 (29) : 9-26, 2013

      11 와다 하루키,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일조각 2004

      12 김창현, "고려의 불교와 상도 개경" 신서원 2011

      13 안지원, "고려의 국가 불교의례와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14 한정수, "고려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한국사학회 (107) : 1-44, 2012

      15 한흥섭, "고려사에 나타난 팔관회의 음악양상 및 그 사상적 배경에 관한 고찰" 한국학연구소 (24) : 325-356, 2006

      16 이원태, "고려 팔관회의 종교적 성격과 의미" 한국도교문화학회 (30) : 9-36, 2009

      17 장은영, "고려 팔관회(八關會)의 관광축제 특성" 한국관광학회 28 (28): 231-251, 2004

      18 박호원, "高麗의 山神信仰" 국립민속박물관 2 : 1995

      19 李敏弘, "高麗朝八關會와 禮樂思想"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30 : 1995

      20 蔡雄錫, "高麗時代의 國家와 地方社會"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21 한기문, "高麗時代 寺院 轉藏儀禮의 成立과 性格" 한국중세사학회 (35) : 37-68, 2013

      22 김혜숙, "高麗八關會의 內容과 機能" 한국역사민속학회 9 : 1999

      23 二宮啓任, "高麗の八關會について" 朝鮮學會 9 : 1956

      24 奧村周司, "高麗における八關會的秩序と國際環境" 16 : 1979

      25 이정란, "高麗 王家의 龍孫意識과 왕권의 변동" 고려사학회 (55) : 7-41, 2014

      26 한정수, "高麗 太祖代 八關會 설행과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86) : 195-228, 2014

      27 三品彰英, "古代祭政と穀靈信仰" 平凡社 1973

      28 都珖淳, "八關會와 風流道" 一志社 79 : 1995

      29 安啓賢, "八關會攷" 東國史學會 4 : 1956

      30 홍정욱, "‘2014 세계 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 및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인문콘텐츠학회 (34) : 53-75, 2014

      31 민경우, "2012년 에든버러 페스티벌 답사기" 2 : 2012

      32 洪潤植, "(신편)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81 1.498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