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체육 교사의 믿음이 자율성 지지 교수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49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체육교사들이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방식에 대한 믿음과 생각이 실제 그들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 연구는 횡단 설계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체육교사들이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방식에 대한 믿음과 생각이 실제 그들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 연구는 횡단 설계의 상관연구로 151명의 체육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가이드라인에 따라 참여 교사로 하여금 자율성지지 교수방식에 대한 세 가지 믿음인 1)효율성에 대한 믿음, 2)단순함·쉬움에 대한 믿음, 그리고 3)기준·규준에 대한 믿음을 측정하는 시나리오 중심의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믿음은 모두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과 긍정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세 가지 믿음은 효율성, 기준·규범, 그리고 단순함·쉬움 순으로 실제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율성에 대한 믿음이 실제자율성지지 교수행동을 예측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선행변인이었다. 이러한 발견·결과는 현장의 체육교사들이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방식을 적용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연구자 및 연수를 진행하는 교육자들이 이론 중심의 교사연수프로그램을 적용 시 실제 체육교사들이 자율성지지의 교수방식이 효과적이며, 실질적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믿음·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사연수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s" beliefs about autonomy-supportive teaching styles on their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al behaviors in the PE practice. Design: Study design is cross...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s" beliefs about autonomy-supportive teaching styles on their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al behaviors in the PE practice. Design: Study design is cross-sectional or correlational-based. Method: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influence of teachers" three beliefs, namely 1) easiness, 2) effectiveness, and 3) normalcy about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al behaviors. 151 middle and high school PE teachers from Seoul, Korea metropolit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scenario-based questionnaire following the study guideline. Results: PE teachers" three belief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al behaviors. Specifically, teachers" beliefs about effectiveness, normalcy, and easiness on autonomy-supportive motivating style positively predicted their actual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al behaviors respectively. The belief on effectiveness is the strongest predictor of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al behaviors in the PE context. Conclusion: The finding revealed three beliefs, especially the effectiveness about autonomy-supportive teaching styles are important for PE teachers to adopt their motivating styles as being more or less autonomy-supportive toward their students. Further, it is crucial for instructors or researchers to design theory-based, teacher-focused intervention program or teacher education program of which helps teachers believe that autonomy support is effective, flexible, and practical to implement in their PE clas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중형, "초등 돌봄 교실의 신체활동 적용 실태 및 교사 인식" 한국체육교육학회 19 (19): 79-91, 2014

      2 천승현, "체육수업 내 학생들의 학습무동기 예방을 위한 교수전략의 효과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6 (26): 39-60, 2015

      3 김보연, "체육수업 내 주요타자의 사회적지지가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내적동기, 기술발달 및 신체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4 (54): 127-145, 2015

      4 박중길,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 공동체 의식, 협력학습 및 내적동기와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49-67, 2010

      5 남인수,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이 중학생의 학습의욕 및 도움요청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9 (19): 15-29, 2014

      6 유정인,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운동만족 예측을 위한 심리적 욕구와 자아탄력성의 역할" 한국체육교육학회 19 (19): 101-116, 2014

      7 천승현, "자율성지지에 기반을 둔 통합 체육활동이 중학생의 기본 심리적 욕구와 정서·행동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01-221, 2010

      8 천승현, "자율성지지 방식의 당위성 제시가 신체활동 무동기 상태 학생들의 확인규제와 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309-326, 2010

      9 천승현,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한 체육교사의 동기부여방식과 심리적 욕구 및 정서참여 간의 관계 검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4 (14): 35-49, 2012

      10 천승현, "소프트볼 수업 내 AGE프로그램이 심리적 욕구만족과 내적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5 (25): 53-72, 2014

      1 김중형, "초등 돌봄 교실의 신체활동 적용 실태 및 교사 인식" 한국체육교육학회 19 (19): 79-91, 2014

      2 천승현, "체육수업 내 학생들의 학습무동기 예방을 위한 교수전략의 효과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6 (26): 39-60, 2015

      3 김보연, "체육수업 내 주요타자의 사회적지지가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내적동기, 기술발달 및 신체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4 (54): 127-145, 2015

      4 박중길,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 공동체 의식, 협력학습 및 내적동기와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49-67, 2010

      5 남인수,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이 중학생의 학습의욕 및 도움요청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9 (19): 15-29, 2014

      6 유정인,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운동만족 예측을 위한 심리적 욕구와 자아탄력성의 역할" 한국체육교육학회 19 (19): 101-116, 2014

      7 천승현, "자율성지지에 기반을 둔 통합 체육활동이 중학생의 기본 심리적 욕구와 정서·행동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01-221, 2010

      8 천승현, "자율성지지 방식의 당위성 제시가 신체활동 무동기 상태 학생들의 확인규제와 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309-326, 2010

      9 천승현,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한 체육교사의 동기부여방식과 심리적 욕구 및 정서참여 간의 관계 검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4 (14): 35-49, 2012

      10 천승현, "소프트볼 수업 내 AGE프로그램이 심리적 욕구만족과 내적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5 (25): 53-72, 2014

      11 Deci, E. L., "The ‘what’ and ‘why’of goal pursuits :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 227-268, 2000

      12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 179-211, 1991

      13 Cheon, S. H., "The teacher benefits from giving autonomy support during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36 : 331-346, 2014

      14 Taylor, I., "The social context as a determinant of teacher motivational strategies in physical education" 19 : 235-243, 2009

      15 Downie, M. ., "The impact of cultural internalization and integration on well-being among tricultural individuals" 30 : 305-314, 2004

      16 Tessier, D., "The effects of an experimental programme to support students' autonomy on the overt behaviour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23 : 239-253, 2008

      17 Tessier, D., "The effect of an intervention to improve newly qualified teachers' interpersonal style, students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in sport-based physical education" 35 : 242-253, 2010

      18 Reeve, J., "The beliefs that underlie autonomy-supportive and controlling teaching: a multinational investigation" 38 : 93-110, 2014

      19 Hagger, M. S., "Perceived autonomy support in physical education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 A cross-cultural evaluation of the trans-contextual model" 97 : 376-390, 2005

      20 Hayes, A. F., "On the stadnard error of the difference betweeen independent regression coefficients in moderation analysis" 40 : 16-27, 2014

      21 Van den Berghe, L., "Observed need-supportive and need-thwarting teaching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do teachers' motivational orientation matter?" 14 : 650-661, 2013

      22 Cheon, S. H., "Giving and receiving autonomy support in a high-stakes sport context : a field-based experiment during the 2012 London Paralympic Games" 19 : 59-69, 2015

      23 Cheon, S. H., "Experimentally-based, longitudinally designed, teacher-focused intervention to help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e more autonomy supportive toward their students" 34 : 365-396, 2012

      24 Vansteenkiste, M., "Examining the motivational impact of intrinsic versus extrinsic goal framing and autonomy-supportive versus internally controlling communication style on early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2 : 483-510, 2005

      25 Chatzisarantis, N. L., "Effects of an interven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on self-reporte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24 : 29-48, 2009

      26 Cheon, S. H., "Do the benefits from autonomy-supportive PE teacher training programs endure? : A one-year follow-up investigation" 14 : 508-518, 2013

      27 Aelterman, 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training on need-supportive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findings" 29 : 64-75, 2013

      28 Assor, A., "Choice is good, but relevance is excellent : autonomy-enhancing and suppressing teaching behaviors predicting students' engagement in schoolwork" 27 : 261-278, 2002

      29 김계수, "Amos 16. 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7

      30 Reeve, J.,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Motivational interventions 18" Emerald Group Publishing 293-339, 2014

      31 Pelletier, L. G., "Administrative pressures and teachers' interpersonal behavior in the classroom" 7 : 174-183, 2009

      32 Taylor, I., "A self-determination theory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antecedents of teachers'motivational strategies in physical education" 30 : 75-94, 2008

      33 Cheon, S. H., "A classroom-based intervention to help teachers decrease students'amotivation" 40 : 99-111,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