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장유물로 본 4~6세기 합천 삼가고분군 축조집단의 특징과 변천 =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Builders of the Ancient Tombs in Samga, Hapcheon, between the 4th and 6th Centuries, as seen from Funerary Artif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62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합천 삼가고분군의 부장유물을 분석하여 모두 Ⅸ단계로 구분하고 특징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4세기 대의 고식도질토기문화는 내륙양식인 함안양식의 생산ㆍ유통 체계에 포함되...

      본고는 합천 삼가고분군의 부장유물을 분석하여 모두 Ⅸ단계로 구분하고 특징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4세기 대의 고식도질토기문화는 내륙양식인 함안양식의 생산ㆍ유통 체계에 포함되며 그 기종 구성과 변화상도 유사하다. 4세 기 전엽의 Ⅰ-1호 이혈 주부곽식 목곽묘의 축조를 기점으로 이전의 삼한시대의 무덤 규모와 부장유물의 위계 차이가 뚜렷하다. Ⅰ-1호 목곽묘는 변진한의 중심지를 벗어난 합천 삼가지역에서 소국의 출현을 상정할 수 있는 수장층의 무 덤으로 이 시기 삼가고분군 축조 집단의 사회적ㆍ경제적 배경을 가늠할 수 있다. 5세기 초가 되면 영남지역 전역에서 일시적으로 유사한 토기양식이 성립되는데 삼가고분군에서도 후기가야토기 양 식이 성립되기 전까지 고배류를 중심으로 특징적인 전환기의 토기문화 양상이 나타난다. 후기가야토기 양식이 성립되 기 전인 5세기 초 무렵에 삼가고분군 내 전면에 할석이 깔린 대형의 목곽묘가 나타나는데, 압도적인 목곽의 규모와 부 장유물의 위계를 볼 때 삼가지역 뿐만 아니라 경남 서부 일대에서 최상위 수장층으로 볼 수 있다. 5세기 후반 무렵이 되면 삼가고분군 축조집단은 소가야 지역 내 계층화된 중심고분군-주변고분군 체계와 다곽식 묘 제 출현과 그 궤를 같이 한다. 세부적으로는 토기양식을 중심으로 동일한 유물복합체의 출현과 형식의 변화과정을 거 치며, 철모와 대도를 중심으로 한 무장체계가 성립된다. 이 시기 구릉상에 축조된 다곽식 구조의 고총고분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주변의 제 가야 세력의 교류 양상과 세력 확장을 보여주는 외래계 문물의 확산과 유입이 확인된다. 6세기 초 무렵이 되면 아라가야계, 특히 대가야계 문물이 본격적으로 수장묘를 중심으로 유입되지만 무덤의 양식은 재지에서 고안된 봉토의 구축 방식으로 완성된 다곽식 묘제가 6세기 전반까지 유지된다. Ⅰ지구의 M-2ㆍ3ㆍ4호분에서 출토된 조 형장철판의기를 비롯한 삼엽문환두대도, 마구류 등의 부장유물은 소가야 중심고분군로서 삼가고분군의 위상과 대내외 적인 역량을 가늠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cient tombs in Samga, Hapcheon, are proof of an ancient unglazed stoneware culture that follow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of the inland Haman style. The stoneware excavated from Samga’s ancient tombs share similar compositions an...

      The ancient tombs in Samga, Hapcheon, are proof of an ancient unglazed stoneware culture that follow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of the inland Haman style. The stoneware excavated from Samga’s ancient tombs share similar compositions and change patterns with Haman-style stoneware. Tombs built after the early 4th century’s type I-1 separate-pit wooden chamber tombs were striking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tombs of Samhan Period in terms of size and the artifacts buried therein. The type I-1 wooden chamber tombs belonged to the local rulers of the Samga area in Hapcheon. This discovery suggests the emergence of a small state in the area, away from the center of Byeonhan and Jinhan, and a glimpse of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of the builders of the Samga’s ancient tombs of that period. The early 5th century saw a temporary emergence of similar stoneware types across the Yeongnam region. The ancient tombs in Samga also held a type of stoneware culture centered on mounted cups that characterized the transitional period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post-Gaya stoneware style.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post-Gaya stoneware style in the early 5th century, the ancient tombs in Samga already featured large wooden chamber tombs with crushed stones covering their entire lengths. The overwhelming size of the chamber and the quality of the funerary artifacts indicate that the tombs belonged to the highest rulers of western Gyeongsangnam-do as well as Samga area. The emergence of the builders of the ancient tombs in Samga in the late 5th century represents the establishment of the stratified central-tomb-peripheral-tomb system and the emergence of multi-chamber tombs in the Sogaya region. Specifically, the same assemblage and stylistic changes centered on stoneware styles appeared, with the establishment of a weaponry system focused on iron helmets and war swords. The artifacts from gigantic multichamber tombs built on hills in this period confirm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foreign culture. These artifacts also show the pattern of exchange among Gaya factions in the area and their expansion. The cultures of Aragaya and, in particular, Daegaya began in the early 6th century, as can be seen from the tombs of local rulers. However, the style of the tombs implies that the multi-chamber tombs built with methods unique to the area continu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e funerary artifacts found in the M-2, 3, and 4 tombs in Zone I—which include iron-plate ritual utensils with bird decorations, round-pommel swords with three-leaf patterns, and horse harnesses—show that the ancient tombs in Samga are the central tombs of Sogaya, which is further supported by the internal and external capabilities of the a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II. 시기별 토기양식 검토 III. 철기의 부장양상과 특징 IV. 삼가고분군 축조집단의 특징과 변천 V. 맺음말
      • I. 머리말 II. 시기별 토기양식 검토 III. 철기의 부장양상과 특징 IV. 삼가고분군 축조집단의 특징과 변천 V.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봉근, "합천지역 고분연구 –6~7세기 삼가고분군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1 : 1995

      2 신강호, "합천 삼가고분군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대학원 2018

      3 하승철, "합천 삼가고분군(Ⅱ지구)"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14

      4 김훈희, "함안 말이산고분군 출토 유자이기의 변천과 의미" 영남고고학회 (82) : 33-57, 2018

      5 이희준, "신라의 가야 복속 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영남고고학회 25 : 1999

      6 김두철, "신라와 가야의 馬具" (財)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3 : 1992

      7 조성원, "소가야 토기 생산과 유통, In 소가야의 고분문화와 대외교류"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8

      8 류창환, "삼국시대 철제등자에 대한 일고찰" 부산고고학연구회 1 : 2007

      9 여창현, "묘제를 통해 본 5~6세기 소가야연맹체 연구" 영남고고학회 (78) : 117-154, 2017

      10 박천수, "대가야 분묘의 편년" 한국고고학회 39 : 1998

      1 심봉근, "합천지역 고분연구 –6~7세기 삼가고분군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1 : 1995

      2 신강호, "합천 삼가고분군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대학원 2018

      3 하승철, "합천 삼가고분군(Ⅱ지구)"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14

      4 김훈희, "함안 말이산고분군 출토 유자이기의 변천과 의미" 영남고고학회 (82) : 33-57, 2018

      5 이희준, "신라의 가야 복속 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영남고고학회 25 : 1999

      6 김두철, "신라와 가야의 馬具" (財)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3 : 1992

      7 조성원, "소가야 토기 생산과 유통, In 소가야의 고분문화와 대외교류"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8

      8 류창환, "삼국시대 철제등자에 대한 일고찰" 부산고고학연구회 1 : 2007

      9 여창현, "묘제를 통해 본 5~6세기 소가야연맹체 연구" 영남고고학회 (78) : 117-154, 2017

      10 박천수, "대가야 분묘의 편년" 한국고고학회 39 : 1998

      11 우지남, "대가야 고분의 편년 : 토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12 박승규, "가야토기 양식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13 최영준, "가야 다곽식 고분 연구" 경상대학교대학원 2017

      14 이성주, "가야 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혜안 2003

      15 조영제, "鳥形裝鐵板儀器考" 부산고고학회 (9) : 119-135, 2011

      16 坂本美夫, "馬具" ニュ一 · サイエンス社 1985

      17 여창현, "陜川 三加古墳群Ⅳ" 동서문물연구원 2014

      18 이춘선, "陜川 三加古墳群Ⅳ" 동서문물연구원 2014

      19 諫早直人, "慶州 月城路 다-6號墳 出土 複環式環板轡의 再檢討" 경북대학교박물관 (4) : 2007

      20 여창현, "小加耶聯盟體의 고고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21 瀧澤誠, "史迹森將軍塚古墳-保存整備事業發掘調査報告書-" 更埴市敎育委員會 1992

      22 高正龍, "加耶から新羅へ-韓國陜川三嘉古墳群の土器と葬制について-" 京都市埋藏文化財硏究所 3 : 1996

      23 鈴木一有, "下瀧遺跡群2" (財)浜松市文化協會 1999

      24 이현우, "三國時代 鞍裝의 構造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25 김두철, "三國時代 轡의 硏究 -轡의 系統硏究를 中心으로-" 영남고고학회 13 : 1993

      26 岡安光彦, "いわゆる「素環の轡」 についで-環狀鏡板付轡の形式學的分析と編年-" PHALANX-古墳文化硏究會- (創刊) : 1984

      27 조영제, "‘형식난립기’ 가야토기에 대하여" 부산고고학연구회 2 : 2008

      28 여창현, "4~6세기 합천 삼가고분군 출토유물 검토, In 빛나는 합천의 삼가고분군" 합천군ㆍ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798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