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의 유희성으로 바라본 「토끼전」의 특성과 의의 =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okkijeon」 from the Playfulness of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87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language of pansori novels is more playful than other classical novels, and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this approach. To this end, after exploring the playfulness of the language and its implementation aspects, we tried 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language of pansori novels is more playful than other classical novels, and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this approach. To this end, after exploring the playfulness of the language and its implementation aspects, we tried to analyze the pansori novel 「Tokkijeon」 from the perspective of playfulness and presen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is approach.
      Language essentially has the character of playfulness whil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entertainment situation of conversation intentionally and unintentionally violate the norms of communication. This playfulness is realized in three aspects: competition, theatricality, and entertainment.
      The utterance of each character revealed in 「Tokkijeon」 could also be classified into three aspects from the perspective of playfulness. First, while competition is revealed as an aspect that justifies one's opinion and a question-and-answer aspect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o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s are taking a competitive structure through words. Second, theatricality was revealed as a pattern of resett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erson, deceiving the other person based on fiction, and persuading the other person through false consider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s were 'pretending to be ~'. Third, entertainment appears as an aspect of describing the appearance of a character based on similarity to the aspect of using language play, and an aspect of using exagger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induces pleasure through the properties of the language itself.
      This approach to 「Tokkijeon」 has two meanings. First of all, the playfulness of language can be a new conceptual tool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novels that have been discussed previously, such as the two-sided differentiation of satire and subject.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ovide example materials for discourse for speech education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character utterance of pansori novels compressively shows the essence of languag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various expansion of literary works as educational sanc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판소리계 소설의 언어가 여타의 고소설에 비해 유희성이 두드러짐을 밝히고 이러한 접근이 갖는 의의를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언어의 유희성과 그 구현 양상을 탐색한 후, 유...

      본고는 판소리계 소설의 언어가 여타의 고소설에 비해 유희성이 두드러짐을 밝히고 이러한 접근이 갖는 의의를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언어의 유희성과 그 구현 양상을 탐색한 후, 유희성의 관점에서 판소리계 소설인 「토끼전」을 분석하고 이러한 접근이 갖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언어는 대화라는 오락적 상황에 참여한 참가자들이 의도적, 비의도적으로 의사소통의 규범을 위배하는 가운데 본질적으로 유희성의 성격을 갖는다. 이러한 유희성은 세 가지 양상을 통해 구현되는데, 이는 경합성과 연극성 그리고 오락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토끼전」에 드러난 각 인물의 발화 역시 유희성의 관점에서 세 양상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경합성은 자신의 의견을 정당화하는 양상과 상대의 정체 확인을 위한 문답 양상으로 드러나는 가운데, 인물들이 서로 말을 통해 경쟁의 구도를 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극성은 상대와의 관계를 재설정하는 양상과 허구성을 기반으로 상대를 속이는 양상, 거짓 배려를 통해 상대를 설득하는 양상으로 드러나며, 인물들이 발화를 통해 ‘마치 -인 척’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셋째, 오락성은 언어유희를 활용하는 양상과 유사성에 기반하여 인물의 생김새를 묘사하는 양상, 과장을 활용하는 양상으로 나타나며, 언어 그 자체의 속성을 통해 즐거움을 유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끼전」에 대한 이러한 접근은 두 가지 시사점을 갖는다. 먼저, 언어의 유희성은 골계적 성격과 주제의 양면적 분화라는 기존에 논의되었던 판소리계 소설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적 도구가 될 수 있다. 또한, 국어교육의 차원에서 화법교육을 위한 담화의 예시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판소리계 소설의 인물 발화가 언어의 본질을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 것으로, 교육 제재로서 문학 작품의 다양한 확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