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단성과 언양 호적대장에 나타난 雇工의 노동성격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256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678년부터 1789년까지 경상도 단성현 8개面의 호적대장과 1777년부터 1861년까지 경상도 언양현 6개面호적대장의 장기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두 지역에서 고공의 사회경제적 특성...

      이 연구는 1678년부터 1789년까지 경상도 단성현 8개面의 호적대장과 1777년부터 1861년까지 경상도 언양현 6개面호적대장의 장기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두 지역에서 고공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비교해 보았다. 특히, 단성현 호적과 언양현 호적은 시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고공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장기적으로 비교하여 관찰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18세기 중반 이후의 두 지역 호적에 명기된 고공은 日雇, 季雇와 같은 단기고공이 아니라 대체로 장기고공이며, 고공의 성격이 시기에 따라 점차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고공의 노동특성이 변화하는 시기는 1735년과 1798년을 기준으로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보았다. 1735년 이전에는 고공이 농업생산을 목적으로 비교적 신분이 자유로운 남성위주 임노동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1735년 이후에는 고공이 신분적, 경제적으로 점차 예속적인 노비화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1735년 이후 고공이 노비에서 나타나는 특성인 여성화, 연소화 되었으며 고공계약은 장기화되고 신분적, 경제적으로 보다 예속적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1798년 이후에는 고공의 특성이 그 이전과 유사하고 고공계약도 장기화되었지만, 고공의 도망은 오히려 대폭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우선, 19세기에 와서 신분제 해체가 더욱 진행되어 신분적 예속성이 많이 완화되었고, 다음으로 고공정제의 개정으로 인해 고공계약이 5년 이상 장기화되었을 뿐 아니라 호적에 입안된 고공의 다수가 생계가 곤란한 나이 어린 여성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long-run series from the Old Records of household registers of Danseong and Eonyang (both in Kyungsang Province) to compare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Kogong in both regions during 1678-1861. These two registers were...

      This study examines the long-run series from the Old Records of household registers of Danseong and Eonyang (both in Kyungsang Province) to compare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Kogong in both regions during 1678-1861. These two registers were linked to compare the Kogong over periods as well as over regions such that the first one was written between 1687-1789 for Danseong and the latter was 1777-1861 for Eonyang. The study results show that Kogong were registered in a long term contract rather than in the short-term, and that they did different works over different periods. The critical years were 1735 and 1798 for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Kogong to be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periods. Before 1735, Kogong were free common male, and worked for wage as farmhands to cultivate the agricultural farmlands. Between 1735 and 1798, Kogong had been changed from the commons to the slaves (Nobi) in status, and were young female slaves in general. They seem to have done houseworks instead farming works. Their contract had been more prolonged than before to secure the slavery status in the long-term. Then, Kogong’s desertion began to increase during this period. After 1798, however, Kogong’s desertion decreased, but their characteristics kept to remain similar to these characteristics of Kogong in the previous period. This implies that the slavery system had been weakened after the 19th century and, thus, the slavery status was not more emphasiz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Kogong than befo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머리말
      • Ⅱ. 고공법제와 고공계약
      • Ⅲ. 단성현과 언양현 호적자료와 고공인구
      • Ⅳ. 고공의 사회경제적 성격: 단성과 언양 비교
      • 국문초록
      • I. 머리말
      • Ⅱ. 고공법제와 고공계약
      • Ⅲ. 단성현과 언양현 호적자료와 고공인구
      • Ⅳ. 고공의 사회경제적 성격: 단성과 언양 비교
      • Ⅴ. 고공의 출입과 고주호 신분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姜勝浩, "龜泉元裕漢敎授定年紀念論叢 下" 혜안 2000

      2 윤용출, "조선후기의 요역제와 고용노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3 崔潤晤, "조선후기「和雇」의 성격" 3 : 1990

      4 박용숙, "조선후기 향촌사회사 연구" 혜안 2007

      5 김석희, "조선후기 지방사회사 연구" 혜안 2004

      6 심재우,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호적대장 연구의 과제" 한국역사연구회 (62) : 223-246, 2006

      7 권기중, "조선후기 단성현 향리층의 분화양상" 대동문화연구원 (47) : 35-58, 2004

      8 심재우, "조선후기 단성현 법물야면 유학호의 분포와 성격" 41 : 2001

      9 김준형, "조선후기 단성지역 사회변화의 역사적 특성 -사족층의 입지변화와 대응을 중심으로" 39 : 2001

      10 김경란, "조선후기 국가의 賤人여성 파악실태와 편제방식 ― '단성현호적대장'의 ‘婢’ 기재양상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52) : 191-222, 2005

      1 姜勝浩, "龜泉元裕漢敎授定年紀念論叢 下" 혜안 2000

      2 윤용출, "조선후기의 요역제와 고용노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3 崔潤晤, "조선후기「和雇」의 성격" 3 : 1990

      4 박용숙, "조선후기 향촌사회사 연구" 혜안 2007

      5 김석희, "조선후기 지방사회사 연구" 혜안 2004

      6 심재우,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호적대장 연구의 과제" 한국역사연구회 (62) : 223-246, 2006

      7 권기중, "조선후기 단성현 향리층의 분화양상" 대동문화연구원 (47) : 35-58, 2004

      8 심재우, "조선후기 단성현 법물야면 유학호의 분포와 성격" 41 : 2001

      9 김준형, "조선후기 단성지역 사회변화의 역사적 특성 -사족층의 입지변화와 대응을 중심으로" 39 : 2001

      10 김경란, "조선후기 국가의 賤人여성 파악실태와 편제방식 ― '단성현호적대장'의 ‘婢’ 기재양상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52) : 191-222, 2005

      11 이정수, "조선후기 奴婢賣買 자료를 통해 본奴婢의 사회·경제적 성격과 奴婢價의 변동"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 363-408, 2008

      12 이정수, "조선후기 奴婢價 변동의 원인 -생산성과 노비관리비용을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23) : 171-208, 2008

      13 김건태, "조선시대 양반가의 농업경영" 역사비평사 2004

      14 이정수, "조선시대 노비와 토지 소유방식"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6

      15 권내현, "조선 후기 호적, 호구의 성격과 새로운 쟁점" 한국사연구회 (135) : 279-303, 2006

      16 李宇衍, "맛질의 農民들 -韓國近世村落生活史-" 일조각 2001

      17 호적대장연구팀, "단성호적대장연구"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3

      18 全炯澤, "노비의 저항과 해방" 34 : 1996

      19 歷史學會, "노비 · 농노 · 노예 -隸屬民의 比較史-" 일조각 1998

      20 崔元奎, "韓末·日帝下의 農業經營에 관한 硏究-海南尹氏家의 事例-" 50·51 : 1985

      21 朴成壽, "雇工硏究" 18 : 1964

      22 "秋官志"

      23 姜勝浩, "磻溪柳馨遠의 奴婢改革案-奴婢의 代案으로 제시한 雇工論을 중심으로" 6 : 1998

      24 四方博, "李朝人口に關する身分階級別的觀察" 京城帝國大學法學會 1939

      25 久間健一, "朝鮮農業の近代的樣相" 目黑書店 1935

      26 金錫禧, "朝鮮王朝後期의 慶尙道丹城縣戶籍帳籍에 關하여" 釜山大 14 : 1975

      27 金錫禧, "朝鮮朝後期丹城縣戶籍帳籍에 關하여 Ⅱ" 釜山大 17 : 1978

      28 金容晩, "朝鮮時代私奴婢硏究" 집문당 1997

      29 金容晩, "朝鮮時代17·18세기 民衆의 動向-奴婢層을 中心으로-" 37 : 1992

      30 韓榮國, "朝鮮後期의 雇工-18·19世紀大邱府戶籍에서 본 그 實態와 性格-" 81 : 1979

      31 姜勝浩, "朝鮮後期雇工定制硏究" 10·11 : 1999

      32 金容燮, "朝鮮後期農業史硏究Ⅱ" 일조각 1980

      33 李俊九, "朝鮮後期身分職役變動硏究" 일조각 1993

      34 鄭奭鍾, "朝鮮後期社會變動硏究" 일조각 1983

      35 李榮薰, "朝鮮後期社會經濟史" 한길사 1988

      36 노영구, "朝鮮後期戶籍帳籍硏究現況과 電算化의 一例" 39 : 2001

      37 李勛相, "朝鮮後期彦陽의 鄕班昌寧成氏家門과 天主敎受容者들 그리고 이에 관한 古文書- 附: 「彦陽縣丁酉式戶籍臺帳」"

      38 鄭勝謨, "朝鮮後期丹城縣의 身分構成比變化와 그 動因; 특히 兩班戶增加現象과 관련하여" 9 : 1993

      39 金俊亨, "朝鮮後期丹城士族層硏究" 아세아문화사 2000

      40 傳衣凌, "明淸社會經濟史論文集" 中華書局 2008

      41 "慶尙道彦陽縣戶籍大帳 上·下" 釜山大學校韓國文化硏究所 1989

      42 金錫禧, "慶尙道丹城縣戶籍帳籍에 관한 硏究-18세기 逃亡移居戶를 중심" 釜山大 24 : 1983

      43 "慶尙道丹城縣戶籍大帳 上·下"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

      44 "慶尙道丹城縣戶籍大帳"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3

      45 金容燮, "宣祖朝雇工歌의 農政史的意義" 42 : 2003

      46 井上和枝, "學習院大學藏朝鮮戶籍大帳等目錄-學習院大學藏朝鮮戶籍大帳の基礎的硏究(5)" 學習院大學東洋文化硏究所 2003

      47 "大典通編"

      48 金容燮, "增補版朝鮮後期農業史硏究Ⅱ" 일조각 1990

      49 金容燮, "增補版朝鮮後期農業史硏究 Ⅱ" 일조각 1990

      50 許大齡, "十六世紀十七世紀初期中國封建社會內部資本主義的萌芽" (3) : 1956

      51 鄭鉉在, "丙午式年(1606년) 丹城戶籍에 대한 기초적 검토" 9 : 1993

      52 Fenoaltea, S., "Slavery and Supervision in Comparative Perspective: A Model" 44 (44): 1984

      53 정진영, "19세기후반-20세기전반 在村 兩班地主家의 농업경영(2) - 경상도 단성 김인섭가의 병작지 경영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67) : 139-185, 2008

      54 정진영, "19세기 중반∼20세기 초반 在村 兩班地主家의 농업경영―경상도 단성 金麟燮家의 家作地 경영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2) : 105-148, 2008

      55 송양섭, "19세기 幼學戶의 구조와 성격-『丹城戶籍大帳』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47 (47): 119-162, 2004

      56 朴性植, "18世紀丹城地方의 社會構造-丹城戶籍所載職役別統計를 중심으로-" 15·16 : 1978

      57 朴容淑, "18·19세기의 雇工; 慶尙道彦陽縣戶籍의 分析" 7 : 1983

      58 崔潤晤, "18·19세기 농업고용노동의 전개와 발달" 77 : 1992

      59 韓基範, "17世紀初丹城縣民의 身分構造-戶籍分析을 중심으로-" 10 : 1982

      60 이정수, "17-18세기 雇工의 노동성격에 대한 재해석" 경제사학회 47 : 3-3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