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 승려 惠便의 渡倭와 飛鳥寺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256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高句麗승려 惠便은 574년 이후에 傳法활동(또는 정치적 도피)을 위해 개인적 자격으로 渡倭했지만, 당시 倭는 불교를 받아들이기에 미숙했기 때문에 播磨國일대에 還俗해 있었다. 그러다가 ...

      高句麗승려 惠便은 574년 이후에 傳法활동(또는 정치적 도피)을 위해 개인적 자격으로 渡倭했지만, 당시 倭는 불교를 받아들이기에 미숙했기 때문에 播磨國일대에 還俗해 있었다. 그러다가 혜편은 584년에 蘇我馬子의 스승이 되어 왜 조정에 등장하였다.
      소아마자는 飛鳥寺조영을 추진했는데, 비조사의 가람배치가 1탑3금당식의 고구려식이라는 점에서 비조사의 조영 계획에 혜편이 관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비조사와 관련된 기록에서 혜편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는데, 阿倍比等古臣의 고구려 파견이 실패로 끝난 것이 원인으로 짐작된다.
      혜편은 아배비등고신의 고구려 파견을 소아마자에게 건의하여 고구려의 불교문화를 입수하고자 노력했지만, 고구려의 소극적인 자세로 인해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혜편은 소아마자에게 신뢰를 잃었고, 비조사의 조영과 관련된 제반 업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
      혜편의 행적이 이후에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역사의 전면에서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혜편이 일선에서 물러남에 따라 왜 조정에서는 백제의 불교문화가 빠르게 확산되었지만, 고구려의 불교문화가 완전히 밀려난 것은 아니었다. 비조사의 가람배치가 1탑3금당식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점과 慧慈가 聖}德太子의 스승이 된 점 등은 고구려의 불교문화가 정착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왜 조정에서 고구려의 불교문화가 성장할 수 있었던 계기는 앞선 시기에 소아마자의 스승이 되어 불교의 전반적인 지식을 전해주었고, 비조사의 창건계획에 관여했던 혜편의 영향 때문이 아닌가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Hyepyeon(惠便), Buddhist monk from Goguryeo(高句麗), went to Japanese Wae for the purpose of missionary activity of Buddhism (or political escape) in his individual capacity in 574, then the Hyepyeon remained secular life all over Harima...

      Although Hyepyeon(惠便), Buddhist monk from Goguryeo(高句麗), went to Japanese Wae for the purpose of missionary activity of Buddhism (or political escape) in his individual capacity in 574, then the Hyepyeon remained secular life all over Harima-kuni(播磨國) because the state was unaccomplished in acceptance of Buddhism. Afterward, he launched into politics in 584 becoming a teacher of Sogano Umako(蘇我馬子), the most influential person in then Wae(倭).
      Sogano Umako rushed through the construction work of Asukadera(飛鳥寺) and in this process the buddhist temple was arranged in the form of having 1 tower and 3 main buildings, which was the style of Goguryeo. Considering this fact, it is assumed that Hyepyeon was involved in planning the construction of Asukadera. However, Hyepyeon is not mentioned at all from related documents of Asukadera. In this context, the reason is presumably attributed to the failure of dispatching envoys including Ahbaeno Hirako(阿倍比等古臣) to Goguryeo.
      Though Hyepyeon proposed this dispatch to Sogano Umako to introduce the Buddhist culture from Goguryeo, it failed to get a satisfying result. Accordingly, Hyepyeon lost trust from Sogano Umako and became unable to perform overall affair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Asukadera.
      Provided his activities after that incident are not confirmed from records, it seems that Hyepyeon disappeared from the center stage of history from then on. After he took a step back from the front lines, Buddhist culture from Baekje(百濟) spread rapidly in the government of Wae. Yet Buddhist culture from Goguryeo didn"t completely lose influence. The fact that Asukadera was placed based on the style of architecture and Hyeja(慧慈) became Prince Shotoku(聖德太子)"s mentor shows Buddhist culture of Goguryeo still lied in royal court of Wae to some degree. This growth of Buddhist of Goguryeo was probably caused in that Hyepyeon was Sogano Umako"s mentor and had influence on the building of Asukader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관련 사료 제시
      • Ⅲ. 惠便의 渡倭
      • Ⅳ. 惠便과 飛鳥寺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관련 사료 제시
      • Ⅲ. 惠便의 渡倭
      • Ⅳ. 惠便과 飛鳥寺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종훈, "羅濟同盟의 結成 背景과 高句麗의 對外關係" 대구사학회 105 : 1-38, 2011

      2 李政編, "한국불교인명사전" 불교시대사 1993

      3 정천구, "원형석서(하)" 씨아이알 2010

      4 백미선, "사비시대 백제의 대왜 불교 교류와 慧聰" 한국사상사학회 (34) : 1-40, 2010

      5 윤재운, "고대 환동해 교류사-1부ㆍ고구려와 왜-" 동북아역사재단 2010

      6 정병삼, "고대 한국과 일본의 불교교류" 한국고대사학회 27 : 111-140, 2002

      7 타무라 엔초, "고대 한국과 일본불교" 울산대학교 출판부 1997

      8 남무희, "고구려 승랑 연구" 서경문화사 2011

      9 이성제, "高句麗와 倭의 關係 -570~572년 고구려 사절의 越 표착과 귀환 과정을 중심으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3) : 1-36, 2012

      10 李萬, "高句麗義淵의 唯識敎學-中國地論宗의 法上과의 關係를 중심으로-" 21 : 1996

      1 강종훈, "羅濟同盟의 結成 背景과 高句麗의 對外關係" 대구사학회 105 : 1-38, 2011

      2 李政編, "한국불교인명사전" 불교시대사 1993

      3 정천구, "원형석서(하)" 씨아이알 2010

      4 백미선, "사비시대 백제의 대왜 불교 교류와 慧聰" 한국사상사학회 (34) : 1-40, 2010

      5 윤재운, "고대 환동해 교류사-1부ㆍ고구려와 왜-" 동북아역사재단 2010

      6 정병삼, "고대 한국과 일본의 불교교류" 한국고대사학회 27 : 111-140, 2002

      7 타무라 엔초, "고대 한국과 일본불교" 울산대학교 출판부 1997

      8 남무희, "고구려 승랑 연구" 서경문화사 2011

      9 이성제, "高句麗와 倭의 關係 -570~572년 고구려 사절의 越 표착과 귀환 과정을 중심으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3) : 1-36, 2012

      10 李萬, "高句麗義淵의 唯識敎學-中國地論宗의 法上과의 關係를 중심으로-" 21 : 1996

      11 金東華, "高句麗時代의 佛敎思想(側面的考察의 一試圖)" 2 (2): 1959

      12 南武熙, "高句麗後期佛敎思想硏究-義淵의 地論宗思想受用을 중심으로-" 95 : 2001

      13 鄭善如, "高句麗僧侶義淵의 活動과 思想" 20 : 2000

      14 문명대, "高句麗佛像이 日本佛像에 미친 영향" 67 : 2003

      15 김희선, "高句麗 長安城의 築城過程과 遷都의 背景" 역사문화연구소 22 (22): 3-32, 2005

      16 이병호, "飛鳥寺에 파견된 百濟瓦博士의 性格" 한국상고사학회 81 (81): 35-60, 2013

      17 坪井淸足, "飛鳥地方における寺院跡發掘調査の成果" 4ㆍ5 : 1982

      18 서영교, "遣高句麗使 阿倍狛比等古臣-『續日本紀』에 보이는 阿倍狛秋麻呂의 請本姓과 관련하여-"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2) : 195-234, 2012

      19 "續日本紀"

      20 上田正昭, "神と佛の古代史" 吉川弘文館 2009

      21 이다운, "百濟瓦博士考" 호남고고학회 20 : 125-157, 2004

      22 鈴木靖民, "百濟王興寺の舍利容器ㆍ莊嚴具と飛鳥寺-飛鳥文化の源流-" 136 : 2008

      23 田中史生, "百濟王興寺と飛鳥寺と渡來人" 136 : 2008

      24 이병호, "百濟寺院과 日本 飛鳥寺 三金堂의 源流" 백제연구소 (57) : 131-176, 2013

      25 金煐泰, "百濟佛敎思想史硏究" 東國大學校出版部 1985

      26 趙源昌, "百濟二層基壇築造術의 日本飛鳥寺傳播" 35 : 2002

      27 小笠原好彦, "百済‧新羅と日本の古代寺院"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18 : 31-58, 2011

      28 "本朝高僧傳"

      29 李鍾徹, "日本에 傳授한 百濟의 漢字文化에 대하여-元興寺露盤銘을 中心으로-" 34 : 1977

      30 黃壽永, "日本飛鳥寺址發掘調査槪要" 10 : 1958

      31 박재용, "日本書紀에 인용된 道顯의 日本世記" 한국고대사학회 (47) : 117-158, 2007

      32 "日本書紀"

      33 鄭孝雲, "推古時代와 遣隋史" 6 : 1997

      34 荻須純道, "師蠻の本朝高僧傳について" 6 : 1974

      35 양은경, "大陸과 海洋을 품은 高句麗 佛敎彫刻" 한국고대학회 (28) : 73-111, 2008

      36 全浩天, "古代朝日關係史ノート" そしえて 1985

      37 中井眞孝, "古代日本における高句麗佛敎の受用" 12 : 1988

      38 양은경, "北韓의 불교사원지 출토 高句麗, 渤海 佛像의 출토지 문제와 계승관계" 고구려발해학회 31 : 179-210, 2008

      39 "元興寺伽藍緣起幷流記資財帳"

      40 "元亨釋書"

      41 水野弘元, "佛典解題事典" 春秋社 1966

      42 金井基, "伽藍配置의 比較" 16 : 1988

      43 李萬, "三國時代佛敎思想의 定立을 위한 試論-逸失된 著書와 僧侶들을 중심으로-" 21 : 1994

      44 淸武雄二, "ヤマト王權の佛敎受容と外交政策" 27 : 1995

      45 백미선, "『해동고승전』을 통해 본 각훈의 고구려 불교사 인식" 한국사학사학회 (23) : 39-76, 2011

      46 成耆赫, "『風土記』所載의 韓國關連傳承에 관한 硏究-『播磨國風土記』渡來人傳承을 中心으로-" 12 : 2009

      47 李根雨, "『日本書記』에 인용된 百濟三書에 관한 연구"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4

      48 정효운, "『日本書紀』批判序說Ⅱ-6ㆍ7世紀의 東아시아 情勢와 ‘任那의 調’-" 9 : 1995

      49 中村修也, "『日本書紀』佛敎傳來記事의 편찬에 대해서" 백제연구소 46 (46): 135-154, 2007

      50 松本眞輔, "『元亨釋書』の三韓關係記事の檢討" 631 : 2000

      51 정효운, "《日本書紀》와〈推古紀〉" 15 : 1996

      52 鄭孝雲, "《日本書紀》批判序說Ⅲ-7세기 전반의 倭와 百濟의 對外交涉" 26 : 1995

      53 鄭孝雲, "《日本書紀》批判序說Ⅰ-推古8, 30년조의 ‘임나의 조’ 기사를 중심으로-" 2 : 1994

      54 방용철, "7세기 고구려 불교정책의 한계와 國祖神" 한국고대사학회 (72) : 191-224, 2013

      55 大橋一章, "6세기 후반 백제사원의 사리안치에 대하여" 백제문화연구소 1 (1): 257-276, 2013

      56 이영재, "6세기 말 고구려의 정국과 대왜 교섭 재개(再開)의 배경" 한국역사연구회 (83) : 21-57, 2012

      57 정선여, "6세기 高句麗의 佛敎信仰" 34 : 2001

      58 崔在錫, "6세기 百濟威德王의 對大和倭불교정책과 法興寺(飛鳥寺)조영" 65 : 1996

      59 강희정, "5∼7세기 고구려인의 사후세계에 대한 관념 분석-고분벽화와 불교조작을 중심으로-" 12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