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청미래 덩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eaf Extr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979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t-water and 70%-ethanol Smilax china leaf extracts were prepared, and thei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DPPH-radical-scavenging ability, nitrite-scavenging 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determin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

      Hot-water and 70%-ethanol Smilax china leaf extracts were prepared, and thei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DPPH-radical-scavenging ability, nitrite-scavenging 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determin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hot-water and ethanol extract were 5.433±0.171 and 13.060±0.110 mg/g, respectively; their flavonoid contents were 1.599±0.017 and 3.005±0.084 mg/g; their DPPH-radical-scavenging abilities, assayed at 1.0 mg/mL, were 33.6 and 92.3%; and their nitrite-scavenging abilities, assayed at 0.1-2.0 mg/mL, were 37.9-61.6 and 38.4-77.8%. The 70%-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the hot-water extract.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high in Bacillus cereus,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y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that order. The antimicrobial substances in the two extracts were maintained after heating at 65-125℃ for 30 mi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왕명현, "화살나무 잎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569-574, 2007

      2 김은영,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33-338, 2004

      3 박찬성,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631-636, 2005

      4 서종권, "하고초 부위별 용매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425-1432, 2010

      5 김은정, "프로폴리스추출물 제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분석을 위한 비색법의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37 (37): 918-921, 2005

      6 송희순, "청미래덩굴(Smilax china)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133-1138, 2006

      7 차배천, "청미래덩굴 잎의 항산화 활성 성분" 한국생약학회 38 (38): 31-36, 2007

      8 김철암, "청미래 덩굴잎(Smilax china)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621-625, 2004

      9 박성진, "질경이의 영양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212-218, 2011

      10 이승욱,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233-240, 2005

      1 왕명현, "화살나무 잎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569-574, 2007

      2 김은영,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33-338, 2004

      3 박찬성,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631-636, 2005

      4 서종권, "하고초 부위별 용매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425-1432, 2010

      5 김은정, "프로폴리스추출물 제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분석을 위한 비색법의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37 (37): 918-921, 2005

      6 송희순, "청미래덩굴(Smilax china)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133-1138, 2006

      7 차배천, "청미래덩굴 잎의 항산화 활성 성분" 한국생약학회 38 (38): 31-36, 2007

      8 김철암, "청미래 덩굴잎(Smilax china)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621-625, 2004

      9 박성진, "질경이의 영양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212-218, 2011

      10 이승욱,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233-240, 2005

      11 박나영, "용아초 추출물의 항균력과 식품보존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244-248, 2004

      12 최남영, "올리브 잎 분획물의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 평가" 한국식품과학회 40 (40): 257-264, 2008

      13 이옥환, "올리브 잎 분획물의 항균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204-210, 2004

      14 조혜은,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아질산 소거능 및 α-Glucosidase 저해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481-486, 2010

      15 이기영, "연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82-186, 2006

      16 김선재, "약용식품 추출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검색과 폴리페놀 함량"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207-213, 2004

      17 박찬성, "쑥과 솔잎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248-252, 2002

      18 장상훈, "수확시기별, 부위별 선학초의 폴리페놀함량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의 변화" 한국약용작물학회 16 (16): 397-401, 2008

      19 김석중, "송화분, 참나무 및 백합화분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한국식품과학회 37 (37): 833-837, 2005

      20 고무석, "삼백초(Saururus chinensis Baill) 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098-1105, 2004

      21 김용두, "밤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257-262, 2005

      22 이명렬, "모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177-182, 2007

      23 박찬성, "동충하초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109-113, 2002

      24 김현진, "국내산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의 항균활성과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219-225, 2011

      25 이신호, "강황추출물이 두부 부패미생물과 병원성 미생물에 미치는 항균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207-212, 2007

      26 Branen AL,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52 : 59-63, 1975

      27 Piddock LJG,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68 : 307-318, 1990

      28 Takashi Y, "Studies on the formation of nitrosamines; The effects of some polyphenols on nitrosation of diethylamine" 19 : 224-, 1978

      29 Lee BW,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23 : 200-204, 1991

      30 Song J,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various cultivars of sweet potato" 50 : 141-146, 2005

      31 Gray JI,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40 : 981-985, 1975

      32 Shenoy NR, "Effect of certain phenolics on nitrosamine formation" 37 : 721-, 1989

      33 Mirvish SS, "Ascorbate-nitrite reaction; Possible means of blocking the formation of carcinogenic N-nitroso compounds" 177 : 65-, 1972

      34 Cho MH, "Appl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to food industry" 38 : 36-45, 2005

      35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26 : 1199-1200, 1958

      36 Choi HY,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Smilax china leaf" 19 : 22-30, 2004

      37 Song JH, "Antimicrobial activity of crude extracts from Smilax china root" 12 : 560-564, 1997

      38 Kong YJ, "Antimicrobial activity of Quercus mongolica leaf ethanol extract and organic acids against food-borne microorganisms" 33 : 178-183, 2001

      39 Lee KS,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Briton var. acuta Kudo on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6 : 239-244, 1999

      40 Kim TJ, "Alpine flowers of Korea" Kyohaksa 542-, 1993

      41 Folin AD,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s (and phenol derivatives) in urine" 22 : 305-308, 1915

      42 Shu XS, "-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activities of Smilax china L. aqueous extract" 103 : 327-332,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0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3-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 1.63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