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현대 충청유림의 유학정신과 위상 - 권중면, 권태훈을 중심으로 - = The Spirit and Status of Confucianism of Confucian Scholars in Chungcheong Province Sincerity and Reverence in Modern Times - Focusing on Kwon Jungmyeon (權重冕) and Kwon Taehun (權泰勳)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근현대 충청유림의 유학정신과 위상을 취음 권중면(翠陰 權重冕, 1856-1936)과 그의 아들 봉우 권태훈(鳳宇 權泰勳, 1900-1994) 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권중면, 권태훈은 전통적인 성...

      본고에서는 근현대 충청유림의 유학정신과 위상을 취음 권중면(翠陰 權重冕, 1856-1936)과 그의 아들 봉우 권태훈(鳳宇 權泰勳, 1900-1994) 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권중면, 권태훈은 전통적인 성리학자로서의 유학자라기보다는 한학자, 단학가, 한의학자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의 저술과 활동에는 유학정신에 바탕한 유교 지식인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권중면은 정미칠조약으로 대한제국의 모든 국가권력이 강탈당하자 고종과의 군신간의 의리를 지키고자 벼슬을 버리고 칩거를 시작하였다. 말년에는 계룡산 자락 상신리에 은거하면서 `용산구곡`을 만들어 인재 양성을 통한 구국의 염원을 담기도 하였다. 또한 권태훈도 영남지역의 거유(巨儒) 곽종석을 진정한 스승으로 삼고, 유학의 성인관(聖人觀), 성경(誠敬) 중심의 수양론, 16자(字) 심법(心法) 등을 강조하며 그의 민족사상의 핵심을 유학정신에서 찾고 있다. 물론 이러한 유학적 편린들을 바탕으로 이들이 전형적인 유학자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들은 항일의식을 바탕으로 `수구거지(去之守舊)`나 `거의소청(擧義掃淸)`을 실천한 전형적 항일유림이다. 이들은 굴곡의 근현대 시기를 거치는 동안 한 순간도 군신의 의리, 국가와 민족에 대한 사랑을 버리지 않고 꿋꿋이 자신의 의지를 지켜 나갔다. 이렇게 볼 때 꺼져가는 대한제국 한민족의 전통과 사상을 단절 없이 지켜내고 끝까지 지조와 절개를 지키고자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이들은 진정한 선비이며, 지행합일(知行合一)의 도학정신을 실천한 유교 지식인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spirit and status of Confucianism of Confucian scholars based in Chungcheong region in modern times, focusing on father and son, Kwon Jungmyeon (權重冕, 1856-1936) and Kwon Taehun (權泰勳, 1900-1994). Both Kwon Jungmyeon...

      This study discusses the spirit and status of Confucianism of Confucian scholars based in Chungcheong region in modern times, focusing on father and son, Kwon Jungmyeon (權重冕, 1856-1936) and Kwon Taehun (權泰勳, 1900-1994). Both Kwon Jungmyeon and Kwon Taehun were widely known as scholars of the Chinese classics, Danhak (the study of Dan or bioessence, 丹學) and oriental medicine, than of traditional NeoConfucianism. But, their published works and activities showed aspects of Confucian intellectuals based on the spirit of Confucianism. When all national authorities of the Korean Empire were seized due to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of 1907 (丁未七條約), Kwon Jungmyeon abandoned his government post and lived in seclusion in order to remain as a loyal subject of King Gojong. During the retirement in Sangsinri near Mount Gyeryong in his late years, the senior Kwon made “Yongsangugok (Nine Poems of Dragon in the Mountain, 龍山九曲)” honoring Koreans` wishes to save the country and cultivating talents in the region. His son Kwon Taehun took Kwak Jongseok (郭鍾錫), a great Confucian scholar of Gyeongsang region, as his teacher and searched for the core of nationalism through Confucianism while emphasizing the view of sage as ideal (聖人觀) of Confucianism, sincerity and mindfulness (誠敬)oriented theory of selfcultivation (修養論), and the sixteenword message for cultivating the mind (十六字心法).” From such small parts of confucianism they displayed, the two men cannot be affirmed as Confucian scholars. But, they were typical antiJapanese Confucian scholars who practiced “Defend old values in hiding (去之守舊)” or “Raise the righteous army and defeat traitors (擧義掃淸)” based on antiJapanese spirit. Throughout modern times of ups and downs, they did not once desert their loyalty as the royal subject and love for the country and people, while steadfastly guarding their will. In this regard that they made an effort to maintain their loyalty and fidelity to the end without losing the tradition and idealism of Koreans in the Korean Empire, Kwon Jungmyeon and Kwon Taehun were authentic scholars and can be evaluated as Confucian intellectuals that practiced the spirit of Taoism,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知行合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김봉규, "현판기행 고개를 들면 역사가 보인다" 담앤북스 2014

      3 최영성, "한국유학통사 하" 심산 2006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정재승, "선도공부" 솔 2006

      6 권태훈, "봉우일기 1, 2" 정신세계사 1998

      7 봉우사상연구소, "봉우선인의 정신세계" 정신세계사 2001

      8 윤명철, "봉우 권태훈 선생의 생애와 사상" 2 (2): 1998

      9 권태훈, "백두산족에게 고함" 정신세계사 1989

      10 "네이버 지식백과"

      1 "論語"

      2 김봉규, "현판기행 고개를 들면 역사가 보인다" 담앤북스 2014

      3 최영성, "한국유학통사 하" 심산 2006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정재승, "선도공부" 솔 2006

      6 권태훈, "봉우일기 1, 2" 정신세계사 1998

      7 봉우사상연구소, "봉우선인의 정신세계" 정신세계사 2001

      8 윤명철, "봉우 권태훈 선생의 생애와 사상" 2 (2): 1998

      9 권태훈, "백두산족에게 고함" 정신세계사 1989

      10 "네이버 지식백과"

      11 권중면, "구한말 사대부들의 편지" 배규호 2015

      12 "舊雨聯稿"

      13 "翠陰先生詩選"

      14 이향배, "翠陰 權重冕의 한시에 나타난 노년기 삶의 지향과 죽음" 근역한문학회 44 : 87-115, 2016

      15 "毅菴集"

      16 "書經"

      17 "景止堂誌丙子"

      18 "景止堂未定草"

      19 "忠賢書院誌"

      20 이지형, "心山과 韓國儒林" (겨울) : 1979

      21 "宋史"

      22 "孟子"

      23 "大學"

      24 "中庸"

      25 "http://blog.daum.net/ngm54/213"

      26 "http://blog.daum.net/leekwonhee1947/33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Confucianism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9 1.162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