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 교육적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The Career Guidance Teacher's Competencies: Based on the Discussion about the Educational Need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80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areer guidance teacher's competencies in order to examine the education needs for them. For fulfilling this research purpose, literature review about five previous competency studies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areer guidance teacher's competencies in order to examine the education needs for them. For fulfilling this research purpose, literature review about five previous competency studies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15 competencies for career guidance teacher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For getting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education need analysis on those competencies, a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ose 15 competencies. The results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urrent level and future needed level for all those 15 competencies. Furthermore, several competencies including professional behavior, understanding labor market, career development assessment,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 and information management competencies were found as high ranked ones. Also, results found not so much differences in those competencies based on the individual's demographic background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빠른 경력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대의 개인들은 본인들의 진로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요구들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학교교육현장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는데 교육현장에서의 진로...

      빠른 경력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대의 개인들은 본인들의 진로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요구들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학교교육현장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는데 교육현장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은 최근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양성에 대한 실천적, 학문적 논의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토대를 기반으로 하여 단위학교에서 진로교육을 담당할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역량들 중에서 우선적으로 개발이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교교육현장에서 진로교육을 담당할 전문가에게는 15개 역량이 필요함을 밝혀내었으며, 이러한 역량에 대해서는 개인 배경변인에 따라서 큰 인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대연, "학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93-315, 2010

      2 정윤경, "진로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과 자질. In 진로진학 상담교사 역량개발"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이종범, "진로 진학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4 최동선, "생애단계별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 In 진로지도와 노동시장의 이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5 조대연, "미국, 캐나다, 호주의 진로교육 전문가 역량 비교 분석" 한국인력개발학회 10 (10): 47-64, 2008

      6 이영대,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 사업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7 임언, "대학 취업지원기 능 확충사업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8 최동선, "대학 재학생 희망직업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9 나승일, "농업교사의 전문성과 교육요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1-22, 2006

      10 길대환, "기업체 HRD 담당자의 직무교육 요구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1 (41): 153-175, 2009

      1 조대연, "학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93-315, 2010

      2 정윤경, "진로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과 자질. In 진로진학 상담교사 역량개발"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이종범, "진로 진학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4 최동선, "생애단계별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 In 진로지도와 노동시장의 이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5 조대연, "미국, 캐나다, 호주의 진로교육 전문가 역량 비교 분석" 한국인력개발학회 10 (10): 47-64, 2008

      6 이영대,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 사업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7 임언, "대학 취업지원기 능 확충사업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8 최동선, "대학 재학생 희망직업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9 나승일, "농업교사의 전문성과 교육요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1-22, 2006

      10 길대환, "기업체 HRD 담당자의 직무교육 요구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1 (41): 153-175, 2009

      11 이지연, "국내외 진로교사의 요구 역량. In 진로진학 상담교사 역량개발" 교육과학기술부 2010

      12 김봉환, "교사의 진로지도능력 향상방안" 57-74, 2002

      13 송인섭, "교과통 합형 진로지도 모형개발 및 적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14 Niles, S. G, "Training career practitioners" 57 (57): 358-365, 2009

      15 Furbish, D, "The global career development facilitator credential: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46 (46): 187-189, 2009

      16 Splete, H. H, "The emergence of career development facilitators" 48 (48): 340-347, 2000

      17 Arthur, M. B, "The boundaryless career: A new employment principle for a new organizational era"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8 Eby, L. T, "Predictors of success in the era of the boundaryless career" 24 (24): 689-708, 2003

      19 Lynch,R.L, "New directions for high school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OH: ERIC/ACVE 2000

      20 Repetto,E, "International competencies for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practitioners: An IAEVG trans-national study" 8 (8): 2008

      21 IAEVG, "International competencies for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practitioners"

      22 Patton, W, "Context and models for the analysis of individual and group needs" 57 (57): 327-334, 2009

      23 Ronald,G.S, "Competence and competence frameworks in career guidance: Complex and contested concepts" 9 (9): 15-30, 2009

      24 Hall,D.T,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Thousand Oaks, CA: Sage 2002

      25 Watts,A.G, "Career guidance policy: An international review" 54 (54): 66-76, 2005

      26 NCDA, "Career counseling competencies"

      27 National Steering Committee for Career Development Guidelines and Standards, "Canadian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career development practitioners"

      28 NCDA, "CDF competencies"

      29 O'Brien, K. M, "Broadening career horizons for students in at-risk environments" 47 (47): 215-229, 1999

      30 이무근, "21세기 지식기반사회 구현을 위한 직업교육의 방향과 전망.제1차 KRIVET HRD 정책포럼 발표논문집"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2.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1 2.47 3.62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