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담의 전문직화: 법제화를 위한 상담계 내 일치된 노력의 중요성 = Professionalization of Counseling: The Importance of Unified Efforts Within the Counseling Community for Leg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35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심리서비스법 관련 논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담계에 던진 근본적인 질문, 즉 “우리나라에서 상담은 전문직인가?”, “상담은 별도의, 독립적인 직업으로 인정될 수 있을 만큼...

      본 연구는 심리서비스법 관련 논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담계에 던진 근본적인 질문, 즉 “우리나라에서 상담은 전문직인가?”, “상담은 별도의, 독립적인 직업으로 인정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요건을 갖추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전문직의 요건에 비추어 상담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에서 상담은 전문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지식기반과 실무 역량, 회원들의 권익을 보호하는 전문단체, 사회적 책임을 포함한 윤리의식을 갖추고, 예비 상담사들의 입직을 위한 민간 차원의 자격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교육 프로그램을 인준하고 상담사 전체를 대상으로 법률로써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는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교육 프로그램 인준과 국가 수준의 자격제도를 법령으로 마련하는 일이 상담의 전문적 정체성을 제도적으로 보장받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제임이 분명해졌다. 이에 연구자들은 인준과 상담 모법 제정을 위해 정신건강전문직 간 인식의 확인과 합의, 상담 직역 내 소통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상담전문직을 통합하고 집단적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 상담계가 기울인 노력을 소개하고, 우리나라 상담계에 던지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영석 ; 안수정 ; 안하얀 ; 이소연, "한국상담심리학회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한 학회원들의 인식 Ⅰ: 학회 제반 활동에 대한 학회원들의 만족도 및 요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1 (31): 1365-1405, 2019

      2 전병재, "한국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 사회비평사 1995

      3 김인규, "한국 상담이 나아갈 방향" 한국상담학회 22 (22): 29-38, 2021

      4 김영근 ; 김현령 ; 이정인 ; 신재훈 ; 신동미 ; 이상민, "한국 상담사법 제정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641-670, 2012

      5 보건복지부, "심리서비스 입법연구" 2020

      6 신윤정 ; 이지연, "심리상담서비스 국가 자격 관리 방안 제언: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22 (22): 39-49, 2021

      7 법무법인 서희, "심리상담사법 제정 입법을위한 기초연구" 법무법인 서희 2020

      8 최정아, "심리상담 법제화 추진 동향 및 쟁점" 한국상담학회 22 (22): 11-27, 2021

      9 이상민, "심리상담 법령의 필요성"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547-557, 2020

      10 안수정 ; 안하얀 ; 서영석, "상담전문가의 정체성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3 (33): 113-158, 2021

      1 서영석 ; 안수정 ; 안하얀 ; 이소연, "한국상담심리학회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한 학회원들의 인식 Ⅰ: 학회 제반 활동에 대한 학회원들의 만족도 및 요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1 (31): 1365-1405, 2019

      2 전병재, "한국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 사회비평사 1995

      3 김인규, "한국 상담이 나아갈 방향" 한국상담학회 22 (22): 29-38, 2021

      4 김영근 ; 김현령 ; 이정인 ; 신재훈 ; 신동미 ; 이상민, "한국 상담사법 제정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641-670, 2012

      5 보건복지부, "심리서비스 입법연구" 2020

      6 신윤정 ; 이지연, "심리상담서비스 국가 자격 관리 방안 제언: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22 (22): 39-49, 2021

      7 법무법인 서희, "심리상담사법 제정 입법을위한 기초연구" 법무법인 서희 2020

      8 최정아, "심리상담 법제화 추진 동향 및 쟁점" 한국상담학회 22 (22): 11-27, 2021

      9 이상민, "심리상담 법령의 필요성"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547-557, 2020

      10 안수정 ; 안하얀 ; 서영석, "상담전문가의 정체성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3 (33): 113-158, 2021

      11 명대정, "상담의 전문직화 방안 : 주요전문직(변호사, 의사, 공인회계사)의 선례분석을 기초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2 김정진, "상담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안) 제안" 국회입법조사처 8 (8): 247-271, 2016

      13 이만우, "비의료 심리상담 법제화 논의: 통합을 위한 원칙과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21

      14 김수임 ; 최나연 ; 정문주, "국내 심리상담 자격제도 법제화를 위한 제언: 미국과 일본의 사례 검토" 한국상담학회 22 (22): 11-21, 2021

      15 Macdonald, K. M., "The sociology of the professions" Sage Publications Ltd 1995

      16 Carr-Saunders, A. M., "The professions" Frank Cass & Co. Ltd 1964

      17 Klatt, L., "The professionalization of everyone" 46 (46): 508-509, 1967

      18 Wilensky, H. L., "The professionalization of everyone" 70 (70): 137-158, 1964

      19 Hoyle, 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Routledge 42-54, 1980

      20 Greenwood, E., "The emergence of social welfare and social work" F. E. Peacock Publishers 255-276, 1981

      21 Pavalko, R. M., "Sociology of occupations and professions" F. E. Peacock Publishers 1971

      22 Evetts, J., "Short note : The sociology of professional groups : New directions" 54 (54): 133-143, 2006

      23 Foster, L. H., "Professional counselor credentialing and program accreditation in the United States : A historical review" 4 (4): 42-56, 2012

      24 Stauffer, M. D., "Introduction to the counselor profession" Pearson Education 75-99, 2005

      25 Glosoff, H. L., "Introduction to the counseling profession" Pearson Education 3-55, 2005

      26 Brodsky, S. L., "Ethical and professional demands for forensic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post-Atkins era" 13 (13): 3-9, 2003

      27 Vespia, K. M., "Defining characteristic or unrealistic ideal :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scientist-practitioner training in counselling psychology" 19 (19): 229-251, 2006

      28 Hosie, T. W., "Credentialing in counseling" Association for Counselor Supervision and Education 23-51, 1991

      29 Remley, T. P., "Credentialing in counseling" Association for Counselor Supervision and Education 81-84, 1991

      30 Owens, E. W., "Counselor identity development : Toward a model for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1 (1): 16-27, 2014

      31 Gelso, C., "Counseling psychology" Harcourt College 2001

      32 Sheeley, V. L.,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The 50th year celebration of excellence" 80 (80): 387-393, 2002

      33 Sweeney, T. J., "Accreditation, credentialing, and professionalization: The role of specialties" 74 (74): 117-125, 1995

      34 한국의학교육평가원, "ASK2019 의학교육평가인증 기준"

      35 National Board for Certified Counselors, "A work behavior analysis of professional counselors" Routledge 1993

      36 Kaplan, D. M., "A vision for the future of counseling : The 20/20 Principles for unifying and strengthening the profession" 89 (89): 367-372, 2011

      37 Carey, J., "A model for evidence-based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 Using school data, research, and evaluation to enhance practice" 108 (108): 422-430, 2008

      38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21년도 하반기 간호교육인증평가 대학용 편람"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21

      39 Kaplan, D. M., "20/20 : A vision for the future of counseling : The new consensus definition of counseling" 92 (92): 366-372,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