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 쥐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매생이 추출물의 신장 보호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378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당뇨 모델 쥐에서 매생이 추출물과 그 지표물질인 pheophorbide A의 신장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5주령의 SD 랫드를 일주일간 순화시킨 뒤 40 ㎎/㎏ BW의 농도로 streptozotocin을 복강 투여하였으...

      당뇨 모델 쥐에서 매생이 추출물과 그 지표물질인 pheophorbide A의 신장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5주령의 SD 랫드를 일주일간 순화시킨 뒤 40 ㎎/㎏ BW의 농도로 streptozotocin을 복강 투여하였으며, 한달 동안의 유도기간을 거쳐 모든 당뇨 유발군에서 혈당이 400-500 ㎎/dL가 된 것을 확인한 이후 9주 동안의 샘플 투여를 진행하였다. 신장 손상과 관련한 혈액 생화학적 지표인 BUN, creatinine에서는 당뇨 유발군 사이에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진 않았다.
      신장 조직에서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지질 과산화물을 측정 하였을 때 당뇨 유발군인 STZ군(0.19±0.04)은 정상 대조군인 Con군(0.05±0.00)에 비하여 3.5배 많은 MDA를 생성하였지만 매생이 추출물 4, 20 ㎎/㎏ BW투여한 CL, CH군은 MDA의 생성량이 0.05±0.02, 0.08±0.02, 지표물질인 pheophorbide A를 0.2 ㎎/㎏ BW을 투여한 PhA군은 0.12±0.01 nmol/㎎ protein로 샘플투여군에서 과산화물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p<0.05) CFE와 PhA의 항산화 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산화 바이오마커인 GSH와 GSSH 함량 및 GPx, GR, GST 활성을 측정한 결과 CFE와 PhA는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신장 조직의 GSH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막아 당뇨로 인한 신장 손상에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또한 STZ에 유도된 당뇨 쥐의 신장조직엔 많은 양의 과산화물이 축적되어 있으며 이를 소거하기 위해 GPx의 활성이 높아졌는데, AC군과 PhA군에서 GPx 의 증가정도를 유의적으로 완화시켰다(p<0.05). GR 활성은 CL, CH, PhA군에서 Con군 수준까지 올라오는 것으로 보아 신장의 산화적 손상을 정상수준까지 회복 시키는 것으로 보였으며, GST 결과로 미루어 보아 CFE와 PhA는 신장 조직에서 일차적으로 과산화물을 포집하고 GSH를 이용하여 체내의 독성 물질을 분해시켜 STZ로 유도된 당뇨로부터 신장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직내에서 SOD와 CAT의 활성 측정 결과, CFE와 PhA는 지질과산화물의 증가로 산화적 손상이 가속화 될 때,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조직 손상을 완화 시켜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장 조직의 병리학적 관찰 결과 CL, CH 및 PhA군에선 STZ군에 비해 비이상적인 글리코겐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저해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위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하여 매생이 추출물과 PhA가 당뇨병성 신장손상에 보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CFE) and its active compound, pheophorbide A (PhA), on diabetic kidney failure. Diabetes mellitus (DM) was induced by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treptozotocin (STZ;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CFE) and its active compound, pheophorbide A (PhA), on diabetic kidney failure. Diabetes mellitus (DM) was induced by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treptozotocin (STZ; 40 ㎎/㎏ body weight (BW)). After a week, the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CFE (4 and 20 ㎎/㎏ BW) or PhA (0.2 ㎎/㎏ BW) once a day for 9 weeks. After scarification, renal tissue samples were collected for biochemical and histochemical analyses. Our study showed that the treatment with CFE and PhA significantly decreased lipid peroxidation level and the activities of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S-transferase (p<0.05), but it increased glutathione level and the activities of glutathione reductase,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in the renal tissues (p<0.05). The CFE- and PhA-treated rats with DM showed improved histochemical appearance and decreased abnormal glycogen accumula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PhA-containing CFE could exert renal protective effects against STZinduced oxidative str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영준, "채취시기에 따른 매생이, 가시파래 및 청각 식품 성분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687-693, 2005

      2 이명렬, "매생이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402-409, 2006

      3 Vaidya VS, "Urinary kidney injury molecule-1: a sensitive quantitative biomar-ker for early detection of kidney tubular injury" 290 : F517-F529, 2006

      4 Ziyadeh FN, "The extracellular-matrix in diabetic nephropathy" 22 : 736-744, 1993

      5 Mauer SM, "The development of lesions in the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and mesangium after transplantation of normal kidneys to diabetic patients" 32 : 948-952, 1983

      6 Soedamah-Muthu SS, "Soluble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and soluble E-selectin are associated with micro-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1 diabetic patients" 20 : 188-195, 2006

      7 Choi YJ,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diabetes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32 : 2016-2020, 2009

      8 Vlassara H, "Pathogenic effects of advanced glycosylation: biochemical, biologic, and clinical implications for diabetes and aging" 70 : 138-151, 1994

      9 DeFronzo RA, "Pathogenesis of NIDDM. A balanced overview" 15 : 318-368, 1992

      10 Chow CK, "Nutritional influence on cellular antioxidant defense systems" 32 : 1066-1081, 1979

      1 최영준, "채취시기에 따른 매생이, 가시파래 및 청각 식품 성분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687-693, 2005

      2 이명렬, "매생이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402-409, 2006

      3 Vaidya VS, "Urinary kidney injury molecule-1: a sensitive quantitative biomar-ker for early detection of kidney tubular injury" 290 : F517-F529, 2006

      4 Ziyadeh FN, "The extracellular-matrix in diabetic nephropathy" 22 : 736-744, 1993

      5 Mauer SM, "The development of lesions in the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and mesangium after transplantation of normal kidneys to diabetic patients" 32 : 948-952, 1983

      6 Soedamah-Muthu SS, "Soluble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and soluble E-selectin are associated with micro-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1 diabetic patients" 20 : 188-195, 2006

      7 Choi YJ,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diabetes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32 : 2016-2020, 2009

      8 Vlassara H, "Pathogenic effects of advanced glycosylation: biochemical, biologic, and clinical implications for diabetes and aging" 70 : 138-151, 1994

      9 DeFronzo RA, "Pathogenesis of NIDDM. A balanced overview" 15 : 318-368, 1992

      10 Chow CK, "Nutritional influence on cellular antioxidant defense systems" 32 : 1066-1081, 1979

      11 Wolf G, "Molecular mechanisms of diabetic renal hypertrophy" 56 : 393-405, 1999

      12 Kesavulu MM,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 levels in type 2 diabetics with microvascular complications" 26 : 387-392, 2000

      13 Ramachandran B, "Insulin mimetic effects of macrocyclic binuclear oxovanadium complexes on streptozotocin-induced experimental diabetes in rats" 5 : 455-461, 2003

      14 Yan H, "Glycation-induced inactivation and loss of antigenicity of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328 : 599-605, 1997

      15 Bastar I, "Effect of streptozo-tocin on glutathione and lipid peroxide levels in various tissues of rats" 102 : 265-272, 1998

      16 Reagan-Shaw S, "Dose translation from animal to human studies revisited" 22 : 659-661, 2008

      17 Allen PJ, "Creatine metabolism and psychiatric disorders: Does creatine supplementation have therapeutic value?" 36 : 1442-1462, 2012

      18 Tsuji K, "Characteristic features of insulin secretion in the streptozotocin-induced NIDDM rat model" 37 : 1040-1044, 1988

      19 Hwang EK, "Assessment of the nutritional value of Capsosiphon fulvescens (Chlorophyta): developing a new species of marine macroalgae for cultivation in Korea" 20 : 147-151, 2008

      20 Wohaieb SA, "Alterations in free radical tissue-defense mechanisms in streptozocin-induced diabetes in rat. Effects of insulin treatment" 36 : 1014-1018, 1987

      21 Vlassara H,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and diabetes: cause, effect, or both?" 14 : 453-, 2014

      22 Stitt AW,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nd diabetic complications" 11 : 1205-1223, 2002

      23 Putt DA, "Adaptive changes in renal mito-chondrial redox status in diabetic nephropathy" 258 : 188-198, 2012

      24 Levey AS, "A more accurate method to estimate glomerular filtration rate from serum creatinine: a new prediction equation.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Study Group" 130 : 461-470,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