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초등학교 고학년의 식생활 · 환경적 요인 및 성장과의 관련성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77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구 지역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질환 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알레르기 유병과 관련이 있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알레르기 유병 여부에 따른 대...

      본 연구는 대구 지역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질환 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알레르기 유병과 관련이 있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알레르기 유병 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성장 수준 및 영양 섭취 상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의 어머니 교육수준이 더 높았으며, 부모 및 형제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출생 순위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출생 당시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이유식 섭취 후 부작용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았다. 셋째, 현재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하는 최근 병원 진료 경험 빈도와 감기 및 소화질환 경험 빈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에게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 위험을 높이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부모 및 형제의 알레르기 질환력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lergies are one of the most common chronic diseases during childhood. While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in children is increasing dramatically,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risk and preventive factors related to this health condition, espec...

      Allergies are one of the most common chronic diseases during childhood. While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in children is increasing dramatically,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risk and preventive factors related to this health condition, especially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case-control study was to evaluate independent determinants of allergic disease, and to examine whether it is associated with growth and other health conditions in childhood. The current study included 209 cases and 311 age and sex-matched controls (fifth and sixth graders) residing in Daegu, South Korea. Environmental data was collected, including child and family histories of allergies, birth information, and reaction to weaning foods during infancy. In addition, current dietary habits (assessed by 2 day-24 hr food records), health conditions, and anthropometric data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student health check-ups at the school. Based on chi-square tests, cases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having a disease at birth, an allergic reaction to weaning foods, frequent hospital visits, and frequent experiences of the common cold and digestive diseases. In addition, significantly more mothers had a higher education in the cases compared to controls. Based on multivariable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eater odds for having allergies were parental (OR=21.42) and fraternal (OR=14.40) histories of allergies. The anthropometric measures showed that cases tended to be shorter in height and lighter in weight than the controls,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may indicate that current nutrient intakes may not be the only critical factor associated with delayed growth delay in the allergic group. A well-planned, large cohort study is warranted to confirm our findings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수종, "한국 소아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8 (18): 15-25, 2008

      2 남승연, "학동 전기 소아에서의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과 위험 인자에 관한 연구"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5 (15): 439-445, 2005

      3 이혜숙, "제주지역 소아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 전수 조사"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2 (22): 248-255, 2012

      4 전봉희, "제주 소아 및 청소년의 아토피 및 흡입 알레르기항원에 대한 감작률"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30 (30): 14-20, 2010

      5 윤재국, "울산광역시 일개 초등학교 소아들의 알레르기 및 아토피질환의 유병률"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31 (31): 105-115, 2011

      6 이재선, "영유아의 아토피피부염 중증도 관련 요인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776-782, 2010

      7 편복양, "영유아 아토피피부염의 위험 인자"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5 (15): 235-237, 2005

      8 양승혜, "알레르기 질환 유무에 따른 식생활 습관과 식품섭취패턴의 비교 연구" 한국영양학회 42 (42): 523-535, 2009

      9 김혜영, "알레르기 가족력이 영아기 아토피피부염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9 (19): 106-114, 2009

      10 김지현,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영유아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8 (18): 339-348, 2008

      1 홍수종, "한국 소아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8 (18): 15-25, 2008

      2 남승연, "학동 전기 소아에서의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과 위험 인자에 관한 연구"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5 (15): 439-445, 2005

      3 이혜숙, "제주지역 소아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 전수 조사"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2 (22): 248-255, 2012

      4 전봉희, "제주 소아 및 청소년의 아토피 및 흡입 알레르기항원에 대한 감작률"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30 (30): 14-20, 2010

      5 윤재국, "울산광역시 일개 초등학교 소아들의 알레르기 및 아토피질환의 유병률"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31 (31): 105-115, 2011

      6 이재선, "영유아의 아토피피부염 중증도 관련 요인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776-782, 2010

      7 편복양, "영유아 아토피피부염의 위험 인자"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5 (15): 235-237, 2005

      8 양승혜, "알레르기 질환 유무에 따른 식생활 습관과 식품섭취패턴의 비교 연구" 한국영양학회 42 (42): 523-535, 2009

      9 김혜영, "알레르기 가족력이 영아기 아토피피부염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9 (19): 106-114, 2009

      10 김지현,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영유아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8 (18): 339-348, 2008

      11 Beasley R., "Worldwide variation in prevalence of symptoms of asthma,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and atopic eczema : ISAAC.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ISAAC)Steering Committee" 351 : 1225-1232, 1998

      12 Asher MI., "Worldwide time trends in the prevalence of symptoms of asthma,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and eczema in childhood : ISAAC Phases One and Three repeat multicountry cross-sectional surveys" 368 : 733-743, 2006

      13 Weber AS.,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is influenced by their parents' education : results of two cross-sectional studies conducted in Upper Austria" 21 : 1028-1035, 2010

      14 Dom S., "The influence of parental educational level on the development of atopic sensitization, wheezing and eczema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20 : 438-447, 2009

      15 Doull I., "The effect of asthma and its treatment on growth" 89 : 60-63, 2004

      16 Corvalan C., "Socioeconomic risk factors for asthma in Chilean young adults" 95 : 1375-1381, 2005

      17 Eigenmann PA., "Prevalence of IgE-mediated food allergy among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101 : E8-, 1998

      18 Peroni DG.,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atopic dermatitis in preschool children" 158 : 539-543, 2008

      19 Batlles-Garrido J., "Prevalence and factors linked to allergic rhinitis in 10 and 11-year-old children in Almeria. Isaac Phase II, Spain" 38 : 135-141, 2010

      20 Wahlgren CF., "Pathophysiology of itching in urticaria and atopic dermatitis" 47 : 65-75, 1992

      21 Asher MI.,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ISAAC) : rationale and methods" 8 : 483-491, 1995

      22 Strachan DP., "Hay fever, hygiene, and household size" 299 : 1259-1260, 1989

      23 Kristmundsdottir F., "Growth impairment in children with atopic eczema" 80 : 9-12, 1987

      24 Sampson HA., "Food hypersensitivity and atopic dermatitis : evaluation of 113 patients" 107 : 669-675, 1985

      25 Dannaeus A., "Food allergy in infancy and children : state of the art" 59 : 124-126, 1987

      26 Strachan DP., "Family size, infection and atopy: the first decade of the “hygiene hypothesis”" 55 : S2-S10, 2000

      27 Cole Johnson C., "Family history, dust mite exposure in early childhood, and risk for pediatric atopy and asthma" 114 : 105-110, 2004

      28 Karmaus W., "Does a higher number of siblings protect against the development of allergy and asthma? A review" 56 : 209-217, 2002

      29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25-29, 2010

      30 Baum WF., "Delay of growth and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bronchial asthma,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110 : 53-59, 2002

      31 Lewis SA., "Consistent effects of high socioeconomic status and low birth order, and the modifying effect of maternal smoking on the risk of allergic disease during childhood" 92 : 1237-1244, 1998

      32 Lee SI., "Common allergic diseases in children" 46 : 231-243, 2003

      33 Spergel JM., "Atopic dermatitis and the atopic march" 112 : S118-S127, 2003

      34 Jo JA., "A study on family histor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atopic diseases" 15 : 525-534, 1994

      35 Palit A., "A mixed longitudinal study of physical growth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73 : 171-175, 2007

      36 김영휘, "2009년 학동 전기 소아에서 알레르기질환의 유병률과 위험인자"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1 (21): 165-175, 2011

      37 오재원, "1995년과 2000년의 학동기와 2003년 학동전기 소아에서의 아토피피부염의 역학적 변화에 관한 전국적인 연구"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3 (13): 227-237,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