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위식도역류 예측에 있어 위식도판막과 위축성 위염의 내시경 분류의 유용성 = Endoscopic grading of gastroesophageal flap valve and atrophic gastritis in predic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6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위식도판막의 내시경 분류는 역류 정도의 좋은 예측인자이며, 위축성 위염은 역류성 식도염과 상반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식도판막과 위축성 위염과 위식도...

      목적 : 위식도판막의 내시경 분류는 역류 정도의 좋은 예측인자이며, 위축성 위염은 역류성 식도염과 상반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식도판막과 위축성 위염과 위식도역류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3년 7월 부터 2005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운동검사실로 의뢰되어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 식도 내압검사, 24시 간 보행성 식도 산도검사 모두를 시행받은 608명의 환자(남자 252명, 여자 356명 ; 평균 연령 51.1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위식도 판막은 Hill 분류법을 이용하여 I-IV도로 분류하였고 다시 I도와 II도는 정상 위식도판막군으로, III도와 IV도는 비정상 위식도판막군으로 구분하였다. 위축성 위염은 내시경적 위축성 경계에 따라 closed-type (C-Type) 군과 open-type (O-type)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간의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 식도 내압검사, 24시간 보행성 식도 산도검사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비정상 위식도판막군에서 역류성 식도염과 위식도역류질환의 빈도는 정상 위식도판막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O-type 위축성 위염군에서 역류성 식도염과 위식도 역류질환의 빈도는 C-type 위축성 위염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결론 : 위식도판막과 위축성 위염의 내시경적 분류는 쉽고 간편하면서 위식도역류 상태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endoscopic grading of the gastroesophageal flap valve (GEFV) has been suggested to be a good predictor of the reflux status. Atrophic gastritis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reflux esophag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

      Purpose: The endoscopic grading of the gastroesophageal flap valve (GEFV) has been suggested to be a good predictor of the reflux status. Atrophic gastritis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reflux esophag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GEFV, atrophic gastritis, and gastroesophageal reflux.
      Subject and methods: A total of 608 patients (252 men and 356 women; mean age 51.1 years) who underwent endoscopy, esophageal manometry, and ambulatory 24-hour pH monitoring were included. GEFV was graded Ⅰ through Ⅳ using Hill's classification: the GEFV was largely classified into 2 groups: the normal GEFV group (grade Ⅰ and Ⅱ) and the abnormal GEFV group (grade Ⅲ and Ⅳ). Atrophic gastritis was classified into 2 groups by endoscopic atrophic border: closed-type (C-type) and open-type (O-type). Findings of endoscopy, esophageal manometry, and ambulatory pH monitoring were compared among the groups.
      Results: The frequency of reflux esophagitis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as associated with an abnormal GEFV grade and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open-type of atrophic gastritis.
      Conclusions: Endoscopic grading of the GEFV and the atrophic gastritis is simple an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gastroesophageal reflux.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