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적 디자인 양상으로서의 융합 - 서울시 좋은 간판 디자인을 중심으로 - = Convergence as an Aspect of Korean Design - Focusing on the design of Seoul Good Sig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1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서울시 옥외 간판 디자인에 나타난 융합양상을 설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서울시 옥외 간판에 나타난 1) 균형의 파괴 2) 도상과 추상의 융합 3) 조형요소의 분리불가능성 양상을...

      연구배경 서울시 옥외 간판 디자인에 나타난 융합양상을 설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서울시 옥외 간판에 나타난 1) 균형의 파괴 2) 도상과 추상의 융합 3) 조형요소의 분리불가능성 양상을 조사 및 분석범주로 만들고 이를 서울시 좋은 간판에 적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설문은 매우 단순하여 그림을 보고 위의 3 범주가 적용되어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OX 응답을 요구하였다. 설문대상자는 총 226명이며 디자인 전공 성인이라면 누구나 응답할 수 있는 조건에서 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균형성과 구상성, 분리성 조사에 대한 응답과 그에 대한 결론을 도출했다. 서울시 좋은 간판은 디자인의 고전적인 의미에서 정확한 1대 1의 균형, 사진상 이미지로서의 구상과 추상표현주의와 같은 추상, 형상들이 서로 정확하게 분리된 기하학적 배열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었다. 즉, 디자인의 고전적인 원칙으로부터 큰 거리를 취하고 있으며 이 모습이 서울의 옥외 간판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옥외 간판은 일반 디자인과는 다르게 길거리 익명의 사람들에게 직접 대면하여 소통하는 가장 직접적인 디자인 물이다. 따라서 작은 기교나 모방 표현마저도 금방 드러나기 마련이며 그만큼 어떤 제작의 특정 관례를 가지고 있다. 편하고, 정보소통에 충실하고 소비자의 특성(한국인의 특성)에 맞도록 고민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결론 분석 결론은 융합적 논리로 드러났다. 아울러 옥외간판이 융합개념에 상응하는 내용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또한 한국문양의 전통이기도 하다는 점도 동시에 이해하게 한다. 한국의 공예 전통과 시각문화는 서구가 만들어 온 디자인의 고전적인 원칙과는 다른 것이며 따라서 서울시 좋은간판이 보여주는 디자인의 특성은 근본에 있어서 서구 디자인의 원칙과는 다른 차원에서 이해 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plain the aspect of convergence of the outdoor sign designs of Seoul. First, the study set 1) destruction of balance 2) convergence of mapping and abstraction and 3) inseparability of formative elements of the Korean o...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plain the aspect of convergence of the outdoor sign designs of Seoul. First, the study set 1) destruction of balance 2) convergence of mapping and abstraction and 3) inseparability of formative elements of the Korean outdoor signs as categories for research and analysis and conducted a survey after applying the categories to Seoul Good Signs.
      Methods The survey was very simple, requiring the OX responses to whether the three categories were applied after looking at the pictur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26 people on a condition to be able to answer the questions if they were design major students.
      Result The analysis found the responses to the research on balance, concreteness and separability and its conclusions. Seoul Good Signs showed that they were not in a geometric arrangement with accurate one on one balance, concreteness as photo images and abstraction like abstract expressionism and accurately separated shapes in a classical sense of design. In other words, they have kept a long distance from the classical principles of design and this was demonstrated in the outdoor signs in Seoul.
      Unlike general designs, outdoor signs are the most direct design products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on the street. Therefore, small techniques or imitation expression are often revealed soon and there are as much particular practices in sign production. There is no other choice but to consider making the designs convenient, easy to communicate and satis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Koreans).
      Conclusion That was appeared to be the logic of convergence. The analysis result gives understanding to that the outdoor signs have the equivalent concept to convergence and that this is also one of the traditions of Korean pattern. Since the craft tradition and visual culture of Korea is different from the classical design principles of the Western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door sign designs in Seoul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western design principl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유섭, "한국미술의 이해 구수한 맛" 다홀미디어 2005

      2 안휘준, "한국고대 회화의 특성과 의미-삼국시대의 인물화를 중심으로"

      3 맹인재, "풍속화고" 한국 민속문화연구소 1975

      4 권일현, "컨버전스 디자인의 한국적 패러다임 연구 : 한국 보자기의 기능과 순환성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5 Wilson, "지식의 대통합 통섭" 사이언스북스 2011

      6 야나기 무네요시, "조선과 그 예술" 신구문화사 1994

      7 이정모, "인지과학 학문간 융합의 원리와 응용"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2010

      8 최순우, "이조회화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한국사의반성" 신구문화사

      9 Car, "역사란 무엇인가?" 홍신문화사 1990

      10 권영필,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 2003

      1 고유섭, "한국미술의 이해 구수한 맛" 다홀미디어 2005

      2 안휘준, "한국고대 회화의 특성과 의미-삼국시대의 인물화를 중심으로"

      3 맹인재, "풍속화고" 한국 민속문화연구소 1975

      4 권일현, "컨버전스 디자인의 한국적 패러다임 연구 : 한국 보자기의 기능과 순환성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5 Wilson, "지식의 대통합 통섭" 사이언스북스 2011

      6 야나기 무네요시, "조선과 그 예술" 신구문화사 1994

      7 이정모, "인지과학 학문간 융합의 원리와 응용"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2010

      8 최순우, "이조회화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한국사의반성" 신구문화사

      9 Car, "역사란 무엇인가?" 홍신문화사 1990

      10 권영필,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 2003

      11 "서울시 좋은간판 공모전 수상작"

      12 Bonsiepe G., "디자인 이론과 실천의 화해" 인터페이스 2004

      13 이구열, "근대한국화의 흐름" 미진사 1983

      14 "http://www.동궁한정식.kr/introduction/introduction02"

      15 "http://www.yackcho.com"

      16 "http://www.vegaskorea.com/yellowpage/694"

      17 "http://www.sodamkj.co.kr"

      18 "http://www.coffeeofdream.com"

      19 "http://blog.ohmynews.com/designaiem/26035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